$\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범부처 융합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oss governmental dual-pol. radar harmoniza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기상레이더센터
Weather Radar Center
연구책임자 이선기
참여연구자 이정환 , 정성화 , 남경엽 , 석미경 , 김해림 , 정성아 , 구지영 , 황지영 , 신윤숙 , 김지원 , 노미현 , 김현성 , 김성호 , 임충환 , 정찬기 , 박창환 , 김광호 , 정종훈 , 조인해 , 모선진 , 이상미 , 박진우 , 정우미 , 오영아 , 이정은 , 최윤 , 손명재 , 김언식 , 이슬비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7-12
과제시작연도 2017
주관부처 기상청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등록번호 TRKO201800035598
과제고유번호 1365002503
사업명 범부처융합이중편파레이더활용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8-07-21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35598

초록

제 1 장 서 론
기상레이더센터는 위험기상의 조기 탐지, 예측 능력 향상을 위하여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연차적으로 11대의 S밴드 이중편파레이더를 도입하고 있다. 또한 레이더를 운영하는 범부처(기상청, 국방부, 국토교통부) 융합 활용기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2013년부터 '범부처 융합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 개발(R&D)'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2017년은 범부처 융합 이중편파레이더 핵심 및 응용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단계이며, 본 보고서에는 2017년에 수행된 연구개발 내용을 기술하였다.

2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 구 보 고 서 ... 3
  • 목차 ... 5
  • Contents ... 10
  • 표목차 ... 15
  • 그림목차 ... 17
  • 제 1 장 서 론 ... 29
  • 제 2 장 이중편파레이더 자료처리 기술 개발 ... 31
  • 제 1 절 레이더 사이트별 자료처리 최적화 기술 개발 ... 31
  • 1. 서론 ... 31
  • 2. 원거리(480 km) 레이더자료 품질관리 기술 개발 ... 32
  • 3. 신규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비강수에코 정보 현업제공 ... 41
  • 4. 이중편파레이더 반사도, 차등반사도 보정오차 산출 ... 47
  • 5. 요약 및 결론 ... 54
  • 제 2 절 대기수상체분류 적용 및 온도자료에 따른 결과 분석 ... 55
  • 1. 서론 ... 55
  • 2. 신규 이중편파레이더 대기수상체분류 현업제공 ... 55
  • 3. 수치모델 온도자료에 따른 대기수상체분류 ... 59
  • 4. 요약 및 결론 ... 62
  • 제 3 절 부분 빔 차폐 영역의 반사도 보정을 통한 강우추정개선 ... 63
  • 1. 서론 ... 63
  • 2. 자료 ... 65
  • 3. 방법론 ... 68
  • 4. 결과 ... 77
  • 5. 요약 및 결론 ... 83
  • 제 4 절 무인 비행 장치를 이용한 레이더 관측환경조사 ... 85
  • 1. 서론 ... 85
  • 2. 자료 ... 86
  • 3. 연구방법 ... 87
  • 4. 연구결과 ... 92
  • 5. 요약 및 결론 ... 100
  • 제 3 장 예보지원을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 개발 ... 101
  • 제 1 절 이중편파레이더 강우량 추정 산출 기술 개발·평가·검증 ... 101
  • 1. 서론 ... 101
  • 2. 자료 ... 102
  • 3. 이중편파레이더 강우량 추정 산출 기술 개선 ... 103
  • 4. 사례분석 ... 123
  • 5. 검증결과 ... 127
  • 6. 요약 및 결론 ... 131
  • 제 2 절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스톰탐지·예측 기반 기술 개발 ... 132
  • 1. 서론 ... 132
  • 2. 연구 자료 ... 134
  • 3. 연구 방법 ... 135
  • 4. 사례 분석 결과 ... 142
  • 5. 요약 및 결론 ... 149
  • 제 3 절 레이더 강설강도 산출 기술 개발 ... 150
  • 1. 서론 ... 150
  • 2. 자료 및 사례 ... 152
  • 3. 레이더 강설강도 추정 알고리즘 ... 155
  • 4. 결과 ... 161
  • 5. 요약 및 결론 ... 165
  • 제 4 절 다중레이더 3차원 바람장 적용 기반기술 개발 ... 166
  • 1. 서론 ... 166
  • 2. 배경바람장 ... 168
  • 3. 배경바람장을 이용한 시선속도 접힘풀기 ... 175
  • 4. 요약 및 결론 ... 183
  • 제 5 절 변분법 기반 다중레이더 바람장 산출 기술 개발 ... 184
  • 1. 서론 ... 184
  • 2. 변분법 기반 다중레이더의 3차원 바람장 산출 방법 ... 185
  • 3. 알고리즘 개발 및 검증 ... 192
  • 4. 요약 및 결론 ... 203
  • 제 6 절 이중편파레이더 강우량 예측 현업 활용 기반기술 개발 ... 204
  • 1. 서론 ... 204
  • 2. 레이더강수실황예측모델 소개 ... 205
  • 3. 레이더강수실황예측모델(3종) 정확도 검증 및 개선 ... 208
  • 4. 레이더강수실황예측모델 이동벡터 산출 개선 ... 218
  • 5. 요약 및 결론 ... 222
  • 제 4 장 범부처 레이더 융합 활용기술 개발 ... 223
  • 제 1 절 레이더자료 품질감시기술 개발 및 분석 ... 223
  • 1. 서론 ... 223
  • 2. 이중편파 강우량 추정 산출식 개선 ... 223
  • 3. 용인테스트베드레이더 관측오차 분석 ... 229
  • 4. 이중편파레이더 특성지표를 이용한 자료품질 감시 ... 233
  • 5. 요약 및 결론 ... 235
  • 제 2 절 범부처 확대적용을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강우량 추정 및 합성기술 개발 ... 236
  • 1. 서론 ... 236
  • 2. 다중고도각기반 레이더 추정 강우량 현업 제공 ... 236
  • 3. 다중고도각기반 레이더 추정 강우량 현업운영 ... 241
  • 4. 요약 및 결론 ... 242
  • 제 3 절 위험기상 입체분석을 위한 강수 연직구조 시계열 ... 243
  • 1. 서론 ... 243
  • 2. 사례분석 ... 244
  • 3. 요약 및 결론 ... 249
  • 제 4 절 레이더 기반 격자 강우량 산출기술 개발 ... 250
  • 1. 서론 ... 250
  • 2. 레이더 기반 격자 강우량 산출기술 기법 ... 251
  • 3. 레이더 기반 격자 강우량 의 우량계 자료처리 프로그램 개발 ... 252
  • 4. 레이더-우량계 평균 관계식 도출 및 적용 ... 255
  • 5. 레이더 강우량 오차 역가중 보정방법(Error Inversed Weighted Correction) 적용 ... 267
  • 6. 요약 및 결론 ... 273
  • 제 5 장 연구용 레이더 신기술 선행연구 및 현업활용기술 ... 274
  • 제 1 절 연구용 레이더 운영기술 개발 ... 274
  • 1. 서론 ... 274
  • 2. 운영현황 ... 275
  • 3. 정밀점검 및 결과 ... 278
  • 제 2 절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 구축 ... 280
  • 1. 서론 ... 280
  • 2. 설치, 위치, 제원 ... 281
  • 3. 사례분석(대형기상레이더 VS 소형기상레이더) ... 286
  • 4. 요약 및 결론 ... 297
  • 제 3 절 연구용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 자료분석 ... 298
  • 1. 서론 ... 298
  • 2. 하이브리드 펄스 송신 기법 관측자료 특성 분석 ... 299
  • 3. 하이브리드 펄스의 경계 영역 내 불연속 완화기법 개발 ... 304
  • 4. 요약 및 결론 ... 308
  • 제 4 절 위상배열레이더 기술개발현황 분석 ... 309
  • 1. 서론 ... 309
  • 2. 국외 위상배열레이더 기술개발 현황 ... 309
  • 3. 요약 및 결론 ... 318
  • 제 6 장 요약 및 향후계획 ... 319
  • 참고문헌 ... 322
  • 부록 A. 연구용레이더(무안) 장애발생 및 대응 ... 333
  • A.1. 연구용레이더(무안) 장애발생 ... 333
  • A.2. 로터리 조인트 ... 333
  • A.3. Dehydrator 메인보드 교체 및 압력 표출계 설치 ... 334
  • A.4. 피드혼 ... 336
  • A.5. RCM(Radar Control Monitor) 신규 설치 ... 339
  • A.6. 모듈레이터 승압 ... 341
  • A.7. 태양 보정 ... 342
  • A.8. 기타 점검사항 ... 343
  • A.9. 운영실 누수 ... 346
  • 부록 B. 연구용소형기상레이더 운영 매뉴얼 ... 348
  • B.1. 안전예방 ... 348
  • B.2. WeatherScout ... 348
  • B.3. IRIS ... 358
  • B.4. IRIS Focus ... 363
  • 부록 C.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 전자파 측정 ... 366
  • C.1. 전자파 의미 ... 366
  • C.2. 전자기파 종류 ... 367
  • C.3. 소형기상레이더 전자파 ... 368
  • C.4. 전자파 측정장비 ... 370
  • C.5. 소형기상레이더 전자파 측정 및 결과 ... 372
  • 부록 D. 진천레이더비교관측소 관측일지 ... 379
  • D.1. 서론 ... 379
  • D.2. 2차원 영상 우적계 점검 및 운영 ... 380
  • D.3. 주요 장애 사례 ... 383
  • 부록 E. 레이더자료 활용기술 확산 및 교육 ... 385
  • E.1. 범부처 레이더자료 공동활용을 위한 기술공유 ... 385
  • E.2. 2017년 국제 기상-수문레이더 컨퍼런스 개최 ... 386
  • E.3. 2017년 “레이더영상 분석과정” 현장맞춤형 교육 실시 ... 387
  • 부록 F. 2017년 연구성과 ... 388
  • 끝페이지 ... 396

표/그림 (263)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