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전기·전자제품 및 폐자동차의 자원순환 고도화 방안 마련
A Study on Recycling of 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s and End of Life Vehicl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신상철
참여연구자 김광임 , 박동하 , 양은모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10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800042232
DB 구축일자 2019-05-18
키워드 폐전기·전자제품.폐자동차.재활용목표관리제.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s.End-of-Life Vehicles (ELV).Recycle.

초록

이 연구에서는 폐전기·전자제품 및 폐자동차를 대상으로 재활용제도 고찰, 재활용 현황 분석, 해외사례 분석, 재활용 저해요인 파악 등을 통하여 향후에 폐전기·전자제품 및 폐자동차의 자원순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여러 사항들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제2장에서는 폐전기·전자제품의 자원순환제도의 법적 근거, 자원순환 현황 등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는 2014년 1월 1일부터 폐전기·전자제품 재활용목표관리제를 도입함으로써 기존의 제도와는 차별적인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폐전기·전자제품

Abstract

As the volumes of 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waste from end of life vehicles are increasing rapidly, the management of these wastes is becoming a growing issue in Korea. To manage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wastes more efficiently, from January 2014, Korean government has i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 언 ... 3
  • 국문 요약 ... 5
  • 목차 ... 9
  • 표목차 ... 12
  • 그림목차 ... 14
  • 제1장 서 론 ... 15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5
  • 가. 폐전기·전자제품 ... 15
  • 나. 폐자동차 ... 15
  • 2. 연구의 범위 ... 16
  • 제2장 폐전기·전자제품 자원순환 현황과 방향 ... 18
  • 1. 환경성보장제도 ... 18
  • 가. 환경성보장제도의 개요 ... 18
  • 나. 환경성보장제도의 근거 법률 ... 18
  • 2. 한국의 폐전기·전자제품 자원순환 제도 ... 18
  • 가.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에서「폐전기·전자제품 재활용 목표관리제」로 전환 ... 19
  • 나. 「폐전기·전자제품 재활용목표관리제」의 주요 특징 ... 21
  • 다. 폐전기·전자제품 재활용목표 달성을 위해 시행 중인 정책 리뷰 ... 24
  • 3. 폐전기·전자제품 재활용 현황 ... 24
  • 가. 폐전기·전자제품 재활용 관련 업체 현황 ... 24
  • 나. 재활용 실적 분석 ... 26
  • 4. 폐전기·전자제품 재활용 활성화 장애 요인 및 대처 방안 ... 31
  • 가. 재활용의무대상 품목에서 제외되어 있는 유사 폐전자제품의 배출체계 정비 필요 ... 31
  • 나. 소형가전에 대한 재활용능률 제고 필요 ... 32
  • 다. 비제도권 재활용업체의 제도권으로의 편입 확대를 통한 재활용 효율 제고 필요 ... 33
  • 라. 유가성이 높은 부품들에 대한 부적정 재활용 처리 방지 필요 ... 33
  • 마. 다양한 폐전기·전자제품 수거체계 구축 ... 35
  • 바. 소형가전에 대한 배출체계 정비 필요 ... 36
  • 사. 가전제품 내 분리배출마크 부착 검토 ... 37
  • 제3장 폐자동차 자원순환 현황과 방향 ... 38
  • 1.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의 폐자동차 자원 순환 관련 재활용방법 및 기준 ... 38
  • 가. 「폐자동차 자원순환제도」의 법적 근거 ... 38
  • 나.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의 목적 및 특징 ... 39
  • 다. 「자원순환법」중 폐자동차 재활용 관련 주요 내용 ... 40
  • 2. 우리나라의 폐자동차 자원순환 체계 ... 42
  • 가. 우리나라의 폐자동차 자원순환 체계 ... 42
  • 나. 우리나라의 폐자동차 재활용 업체 현황 ... 44
  • 3. 국내 폐자동차 재활용 실적 목표 및 현황 ... 44
  • 가. 폐자동차의 재활용 목표 ... 44
  • 나. 폐자동차(ELV) 재활용 실적 현황 ... 45
  • 4. 국내 폐자동차 재활용 관련 문제점 및 재활용촉진을 위한 제언 ... 46
  • 가. 국내 폐자동차 재활용 관련 문제점 ... 46
  • 나. 국내 폐자동차 재활용 수준향상을 위하여 EPR 도입 검토 필요 ... 49
  • 제4장 해외의 폐전기·전자제품 및 폐자동차 자원순환 동향 ... 50
  • 1. 유럽연합(EU) 대상품목 자원순환제도 이행 사례 및 성과 분석 ... 50
  • 가. EU 폐차처리지침(EU ELV Directive) 연혁 ... 50
  • 나. EU 폐차처리지침(EU ELV Directive) 주요 내용 ... 50
  • 다. EU ELV Directive에 나타난 폐자동차 재활용 목표 ... 51
  • 라. EU ELV Directive에 따른 폐자동차 재활용사업에 대한 평가 ... 52
  • 마. 한국의 폐자동차 재활용제도와 EU ELV Directive의 비교 ... 53
  • 2. 독일의 폐자동차 재활용 정책과 현황 ... 54
  • 가. 독일의 폐기물관리정책 ... 54
  • 나. 독일의 폐자동차 recycling(재활용)/recovery(에너지회수포함) 목표(target) ... 55
  • 다. 독일의 폐자동차 재활용 정책의 특징 ... 57
  • 라. 독일의 폐자동차 재활용 단계별 주요 정책의 특징 ... 59
  • 마. 독일의 폐자동차(ELV) 재활용 산업 현황 ... 60
  • 바. 독일 폐자동차 파쇄잔재물(ASR) 재활용현황 및 경제성 분석 사례 ... 62
  • 3. 일본의 폐자동차 재활용 정책과 현황 ... 65
  • 가. 일본의「자동차 재활용법」(使用濟自動車の再資源化等に閱する法律) ... 65
  • 나. 일본 폐자동차 재자원하(再資源化) 목표 ... 65
  • 다. 일본의「자동차 재활용법」주요 내용 ... 67
  • 라. 일본의「자동차 재활용법」개념도 ... 76
  • 마. 일본의「자동차 재활용법」현황 ... 77
  • 바. 일본의 폐자동차 불법투기 및 낙도 대책 현황 ... 79
  • 4. 독일 및 일본의 폐자동차 재활용 제도 비교 및 시사점 ... 80
  • 가. 독일 및 일본의 폐자동차 재활용 제도 비교 ... 80
  • 나. 독일 및 일본의 폐자동차 재활용 제도 시사점 ... 82
  • 제5장 요약 및 결론 ... 84
  • 참고 문헌 ... 93
  • Abstract ... 97
  • 끝페이지 ... 112

표/그림 (5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