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제환경협력사업 내실화를 위한 국가전략 개발
Development of National Strategy to Enhance International Environment Coopera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이윤
참여연구자 김호석 , 김광임 , 강택구 , 구재남 , 김기덕 , 임소영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10
과제시작연도 2012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800042345
과제고유번호 1105006985
사업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DB 구축일자 2019-05-04
키워드 국제협력.환경협력.공적개발원조.기후변화.International Cooperation.Environmental Cooperation.ODA.Climate Change.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42345

초록

우리 정부는 「녹색성장 5개년계획」을 추진하면서 ‘세계적인 녹색성장 모범국가 구현’을 위해 ① 동아시아 기후 파트너십, ②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의 녹색화 추진, ③ 개도국 온실가스 감축 추진, ④ 대개도국 녹색기술 지원 등 4대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글로벌 환경 거버넌스 참여 및 그린리더십 강화를 위해 ① 국제기구와의 녹색성장 비전 공유를 위한 협력 강화, ② 아·태지역 녹색성장 비전 확산을 위한 협력사업 확대, ③ 개도국을 대상을 한 녹색 ODA 단계

Abstract

The Korean government is pushing ahead with a five‐year plan for green growth to realize the goal of playing as an important role in the field of green growth. To do so, the Korean government proposed four major policy themes such as East Asia Climate Partnership, Gree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 언 ... 3
  • 국문요약 ... 5
  • 목차 ... 9
  • 표목차 ... 12
  • 그림목차 ... 14
  • 제1장 서 론 ... 16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6
  • 2. 연구의 내용 및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 18
  • 제2장 국제환경협력사업의 형성배경 및 유인 구조분석 ... 22
  • 1. 국제환경협력사업의 발생원인 ... 22
  • 가. 개발도상국의 환경문제와 수요 ... 27
  • 나. 국제환경협력의 국내적 형성 배경 ... 39
  • 2. 환경분야 지원 사업 사례분석 ... 43
  • 가. 임업 사업 ... 43
  • 나. 환경 질 개선 사업 ... 46
  • 다. 신재생에너지 사업 ... 47
  • 3. 사업 단계별 협력관계 성패요인 ... 50
  • 가. 단계별 분석 ... 50
  • 나. 분석결과 ... 53
  • 제3장 국제환경협력사업 추진 현황 ... 56
  • 1. 유형분석체계 ... 57
  • 가. 원조의 형태 ... 57
  • 나. 주요 분류 기준에 따른 사업 유형 정리 ... 61
  • 2. 우리나라 국제환경협력사업 현황 ... 66
  • 3. 우리나라의 국제환경협력 수행 기관 ... 71
  • 가. 한국국제협력단 ... 71
  • 나.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72
  • 다. 한국환경공단 ... 75
  • 라. 대외경제협력기금 ... 76
  • 4. 선진국의 환경협력사업 현황 ... 79
  • 가. 일반 현황 ... 79
  • 나. 일본 ... 81
  • 다. 독일 ... 84
  • 라. 미국 ... 86
  • 마. 덴마크 ... 88
  • 5.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GAP 분석 ... 91
  • 가. 규모 ... 92
  • 나. 분야 ... 98
  • 6. 시사점 ... 105
  • 제4장 국제환경협력 사업의 유형 분석 ... 107
  • 1. 평가기준 구조 분석 ... 107
  • 가. OECD/DAC의 개발협력에 대한 5대 평가기준 ... 107
  • 나. 우리나라의 평가기준 ... 110
  • 다. 우리나라 국가환경협력 사업의 평가 및 사후 관리 ... 117
  • 2. 평가기준 체계 개발 ... 125
  • 가. 내부적 요건으로서 선진 한국형 평가체계 마련 ... 125
  • 나. 외부적 요건: 수원국 및 국제기구와 다각적인 협력 ... 128
  • 3. 선진국의 평가 기준 ... 131
  • 가. 일본 JICA의 평가제도 ... 131
  • 나. 덴마크 DANIDA의 평가체계 ... 135
  • 4. 국제환경협력 평가의 결과 ... 138
  • 5. 환경협력 사업 평가 사례 ... 141
  • 가. KOICA 케냐 식수개발사업 ... 141
  • 나. EDCF 스리랑카 Galle 광역시 상수도 개발사업 ... 142
  • 다. 평가 제언 ... 143
  • 제5장 결론 및 제언 ... 145
  • 참고 문헌 ... 148
  • 부록 ... 154
  • Abstract ... 182
  • 끝페이지 ... 184

표/그림 (7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