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녹지확보방안
Strategies for conserving green spaces for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변병설
참여연구자 이병준 , 계기석 , 박소현 , 백명수 , 이동근 , 전성우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2-12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800044056
DB 구축일자 2019-06-01

초록

본 연구는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도시지역 내 녹지를 효율적으로 보전·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도시녹지는 일반적으로 도시지역 내에서 인위적·자연적인 수단에 의하여 형성된 수목, 초본 등 각종 식물에 의하여 녹화된 공간 또는 그와 일체화되어 있는 토지, 물을 포함하는 오픈스페이스(open space)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도시녹지는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시녹지의 효과는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 방지, 대기정화, 소음감소, 미(微)기후 조절, 자연생태계 보전, 경관형성, 도시재난의 방지 등으로 요약할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dicate strategies to conserve green tract of lands in urban area for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A green tract of land in an urban area can be defined as an open space including water, trees, and grassland within the city and these portion of land can have various positive eff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 언 ... 2
  • 국문요약 ... 4
  • 목차 ... 6
  • 표목차 ... 10
  • 그림목차 ... 11
  • 제1장 서론 ... 12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2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13
  • 제2장 도시녹지의 개념과 효과 ... 15
  • 1. 도시녹지의 개념 ... 15
  • 2. 도시녹지의 필요성 ... 18
  • 3. 도시녹지의 효과 ... 22
  • 가. 공간조절효과 ... 23
  • 나. 환경효과 ... 23
  • 다. 보건효과 ... 31
  • 라. 방재효과 ... 32
  • 마. 이용효과 ... 33
  • 제3장 도시녹지의 현황과 확보방향 ... 35
  • 1. 도시녹지의 현황 ... 35
  • 가. 개요 ... 35
  • 나. 공원현황 ... 35
  • 다. 녹지와 유원지 현황 ... 36
  • 라. 임야 현황 ... 38
  • 2. 도시녹지의 문제점 ... 41
  • 가. 개요 ... 41
  • 나. 녹지의 부족과 감소 ... 41
  • 다. 녹지관리체계의 미흡 ... 43
  • 라. 녹지의 연결성 부족 ... 43
  • 마. 토지의 사유권 강화에 따른 녹지확보의 어려움 ... 44
  • 바. 시민참여의 부족 ... 45
  • 사.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의 양산 ... 45
  • 아. 생활권공원의 부족 ... 46
  • 자. 법․제도의 미정비 ... 47
  • 3. 도시녹지의 확보방향 ... 47
  • 가. 녹지총량의 증대 ... 47
  • 나. 관리기반의 강화 ... 49
  • 다. 녹지네트워크 구축 ... 50
  • 라. 시민참여의 활성화 ... 50
  • 마. 법․제도의 개선 ... 52
  • 제4장 특수공간의 녹화방안 ... 54
  • 1. 특수공간녹화의 필요성 ... 54
  • 2. 특수공간녹화의 종류 ... 56
  • 3. 특수공간녹화의 목표 ... 57
  • 4. 특수공간녹화의 기능 ... 58
  • 가. 주변환경의 개선 ... 60
  • 나. 경제적인 기능 ... 63
  • 다. 도시환경 개선 효과 ... 65
  • 5. 특수공간녹화의 사례 ... 66
  • 가. 옥상 녹화 ... 66
  • 나. 벽면 녹화 ... 69
  • 다. 테라스 녹화 ... 70
  • 라. 플랜트 박스 녹화 ... 71
  • 6. 특수공간녹화 관련제도 및 현황 ... 72
  • 가. 국내의 특수공간녹화 관련제도 및 현황 ... 72
  • 나. 국외의 특수공간녹화 관련제도 및 현황 ... 74
  • 7. 특수공간녹화의 문제점 및 개선책 ... 79
  • 제5장 도시녹지네트워크 구축방안 ... 82
  • 1. 개요 ... 82
  • 2. 도시녹지네트워크의 개념 ... 83
  • 가. 단어해석상 의미 ... 83
  • 나. 개념적 정의 ... 84
  • 다. 유사개념 검토 ... 84
  • 3. 도시녹지네트워크 구축방안 ... 90
  • 가. 도시녹지네트워크의 특징 ... 90
  • 나. 도시녹지네트워크의 구성원리 ... 91
  • 다. 도시녹지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고려사항 ... 91
  • 라. 도시녹지네트워크 구축방안 ... 93
  • 4. 소결 ... 98
  • 제6장 지속 가능한 도시녹지환경을 위한 시민의 역할 ... 100
  • 1. 개요 ... 100
  • 2. 지속가능한 도시녹지 환경 ... 101
  • 가. 도시녹지 환경의 악화 ... 101
  • 나. 시민참여의 중요성과 역할 ... 105
  • 3. 도시녹지의 조성 및 보전을 위한 시민참여 ... 108
  • 가. 보전사례 ... 108
  • 나. 조성사례 ... 110
  • 다. 관리사례 ... 114
  • 4. 시민의 역할과 과제 ... 118
  • 제7장 도시녹지의 보전과 확충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 121
  • 1. 개요 ... 121
  • 2. 도시녹지의 특성과 제도상의 의의 ... 122
  • 3. 도시녹지 관련제도 ... 124
  • 가. 도시녹지 관련법 체계 ... 124
  • 나. 도시녹지 관련제도의 내용 ... 126
  • 다. 지자체의 도시녹지 관련조례 ... 130
  • 4. 도시녹지 관련 여건의 변화와 제도적 문제점 ... 131
  • 가. 도시녹지 관련 여건의 변화 ... 131
  • 나. 도시녹지의 보전 및 확충을 위한 제도적 문제점 ... 132
  • 5. 도시녹지 확충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 134
  • 가. 녹지개념의 확대와 다원화 ... 135
  • 나. 종합적인 “도시녹지기본계획”의 수립 ... 135
  • 다. 커뮤니티 단위의 도시녹지 확충 시행계획 수립 ... 136
  • 라. 계약에 의한 사유녹지의 활용제도 실시 ... 137
  • 마. 개발행위허가제의 적극 활용 ... 137
  • 바. 주민들이 참여하는 도시녹지 보전 및 확충방안 ... 138
  • 사. 녹지확보 수준의 변경 ... 139
  • 아. 장기미집행 공원의 선 매입 - 후 귀속 ... 139
  • 자. 도시정비 및 개발과정에서의 녹지확보방안 ... 140
  • 6. 도시녹지관련법률의 정비방안 ... 140
  • 가. 도시녹지관련 기존법률의 보완 ... 141
  • 나. 새로운 도시녹지법의 제정 ... 141
  • 다. 지역특성에 부합되는 지방조례의 육성 ... 142
  • 제8장 연구의 요약 및 향후 과제 ... 143
  • 참고문헌 ... 146
  • Abstract ... 153
  • 집필자 약력 ... 155
  • 끝페이지 ... 156

표/그림 (4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