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식품의약품 분야 시험검사기관 지정관리체계 조사
A research study on domestic and overseas management system of testing and inspection body in food and drug sector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엔스타알앤씨
연구책임자 노재동
참여연구자 이광원 , 최민혁 , 손권빈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04
주관부처 식품의약품안전처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등록번호 TRKO201900001263
DB 구축일자 2019-06-29
키워드 시험검사기관.지정인정체계.상호인정협정.

초록

국가 간 교역이 활발해짐에 따라 동일 상품에 대한 시험·검사를 수출·입 국가에서 별도로 수행하지 않고 하나의 국가에서 실시한 시험·검사 결과를 인정하는 상호인정협정(MRA)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국내 식품·의약품분야에서도 자국민을 보호하고 국제무역 마찰을 최소화시키고 식품의약품분야 시험검사기관 및 제도를 국제적인 수준으로 성장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KOLAS(한국인정기구)의 적합성평가 체계를 조사하고 국내 타부처 시험·검사기관의 지정·인정제도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국제실험실인정체계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용역과제 최종보고서 ... 2
  • 제출문 ... 6
  • 목차 ... 8
  • 표목차 ... 10
  • 그림목차 ... 12
  • 부록목차 ... 14
  • 국문 요약문 ... 18
  • I. 서론 ... 20
  • 1. 연구 배경 및 목적 ... 20
  • 2. 연구 수행 범위 ... 21
  • 3. 연구 방법 ... 21
  • II. 국내 시험·검사기관 지정·관리 및 적합성평가 현황 ... 23
  • 1. 적합성평가의 의의 ... 23
  • 2. 우리나라 적합성평가체계 ... 32
  • 3. 적합성평가와 상호인정 ... 68
  • III. 주요 부처별 시험·검사기관 지정·관리체계 조사 ... 72
  • 1. 국내 타 부처 시험검사기관 지정·관리체계 ... 72
  • 2. 미래창조과학부 지정관리체계 ... 73
  • 3. 환경부의 지정관리체계 ... 82
  • 4. 산업통상자원부 지정관리체계 ... 91
  • 5. 식품의약품안전처 지정관리체계 ... 105
  • 6. KOLAS 식품·의약품분야 시험·검사기관 인정 현황 ... 117
  • IV. 주요국 식품의약품분야 시험·검사기관 지정·인정제도 운영 현황 ... 126
  • 1. 지정제도와 인정제도 분석 ... 126
  • 2. 영국의 식품분야 시험기관 지정제도 운영 현황 ... 131
  • 3. 미국의 식품분야 시험기관 지정제도 운영 현황 ... 135
  • 4. 호주의 식품분야 시험기관 지정제도 운영 현황 ... 137
  • 5. 중국의 식품분야 시험기관 지정제도 운영 현황 ... 139
  • 6. 일본의 식품분야 시험기관 지정제도 운영 현황 ... 143
  • V. ILAC/APLAC 시험·검사기관 인정제도 운영 현황 ... 147
  • 1. ILAC 및 APLAC의 개요 및 운영 현황 조사 ... 147
  • 2. ILAC 인정제도 운영 관련 기준 문서 분석 ... 158
  • 3. APLAC 인정제도 운영 관련 기준 문서 분석 ... 169
  • VI. 식품․의약품분야 시험·검사기관 지정·관리체계 개선 방안 ... 186
  • 1. 식품․의약품 분야 시험·검사기관 지정·관리체계 개선방안 ... 186
  • 2. 국가인정체계개편 시 식품·의약품분야 시험·검사기관 인정제도 운영 방안 ... 186
  • 3. 식품·의약품분야 시험·검사기관 인정업무의 국제기준 부합화 및 국제상호인정 추진 방안 ... 187
  • VII. 결론 및 제언 ... 188
  • 부록 ... 190
  • 1-1. FDA Food Safety Modernization Act ... 190
  • 1-2. FSIS Acrredired LAbs ALP_Current ... 282
  • 1-3. ORA(Office of Regulatory Affairs) 소개 자료 ... 298
  • 1-4. 제3자 식품안전 심사 및 인증기관 인정기준 ... 306
  • 1-5. IMDRF-Requirements for Medical Device Auditing Organizations for Regulatory Authority Recognition ... 330
  • 1-6. MQSA Regulation(방사선) ... 358
  • 1-7. FDA Volutary Qualified Importer Program ... 392
  • 2-1. Imported Food Control Act 1992 ... 422
  • 2-2. Independent Employer of AAOs Accreditation Scheme ... 486
  • 3-1. 일본 식품안전체계 개요(영문) ... 506
  • 3-2. 일본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관계도(영문) ... 510
  • 4. 연결 사이트 출력본 ... 514
  • 끝페이지 ... 530

표/그림 (75)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