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상파UHD 기술기준(안) 및 지상파 방송 규제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echnical specification for terrestrial UHD television broadcasting and improvement of regulatory framework for terrestrial television broadcasting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전파진흥협회
Korea Radio Promotion Association
연구책임자 서창호
참여연구자 김영태 , 이주남 , 전강옥 , 임윤혁 , 이현민 , 정선옥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02
과제시작연도 2015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등록번호 TRKO201900001410
과제고유번호 1711033932
사업명 방통융합기반정책연구
DB 구축일자 2019-06-29

초록

4. 연구 내용 및 결과

본 보고서에서는 지상파 UHD 기술기준(안) 및 검사기준(안), 오디오 음량레벨 사후관리방안, 초단파 방송국 재허가 개선방안 마련 등을 통해 방송기술의 진보에 따라 방송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이용자의 편익을 증진시키기 위해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차세대 방송기술 방식 선정을 위해 현재 상황에서 검증 가능한 부분부터 사전 검토를 통해 기술기준(안) 및 검사기준(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차세대 방송과 관련한 각종 이슈가 마무리된 후 최대한 신속하게 기술기준을 작성할 수 있도록

Abstract

4. Study Results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steps containing preparation of improved solutions. the steps include a renewal of permission about VHF station, management of audio volume level, terrestrial UHD test regulation to improve the citizen’s benefit and cope with changes of broadcast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목차 ... 4
  • 그림목차 ... 6
  • 표목차 ... 7
  • 요약문 ... 8
  • SUMMARY ... 12
  • Content ... 18
  • 제1장 서론 ... 20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0
  • 제2절 연구의 구성 및 범위 ... 22
  • 제2장 지상파UHDTV기술기준연구(안)및검사방법연구(안) ... 23
  • 제1절 지상파 DTV 시스템 기술기준 ... 23
  • 1. 개요 ... 23
  • 2. 방송신호의 구성 ... 24
  • 3. 서비스 다중화부 ... 27
  • 4. RF 송신부 ... 28
  • 제2절 지상파 UHDTV 시스템 기술기준 연구(안) ... 31
  • 1. DVB-T2 기술 ... 31
  • 2. DVB-T2 기반 무선설비규칙(안) 검토 ... 39
  • 3. ATSC 3.0 기술 ... 44
  • 4. ATSC 3.0 기반 무선설비규칙(안) 검토 ... 65
  • 제3절 지상파 UHDTV 방송관련 해외동향 ... 70
  • 1. 유럽 ... 70
  • 2. 미국 ... 72
  • 3. 일본 ... 73
  • 제4절 지상파 UHDTV 검사방법 연구(안) ... 74
  • 1. Base Band 구간 및 영상・음성신호 압축부분 ... 74
  • 2. RF 송신설비 부분 ... 80
  • 제3장 오디오 음량레벨 사후관리방안 연구 ... 84
  • 제1절 오디오 음량레벨 규격 및 기초사항 ... 84
  • 1. 오디오 음량의 개요 ... 84
  • 2. 방송 프로그램 오디오 송출시스템 및 송출 워크플로우 분석 ... 92
  • 3. 음량레벨 준수여부 실측 조사 절차 방안 ... 102
  • 4. 홍보 방안 ... 108
  • 제2절 오디오 음량레벨 사후관리방안 지침 ... 109
  • 제4장 초단파(FM)방송국 검사기준 검토 및 개정(안) ... 119
  • 제1절 개선방안 ... 119
  • 1. 기술개요 ... 119
  • 2. 해외사례 ... 121
  • 3. 개선방안 ... 121
  • 4. 검사기준 개정(안) ... 122
  •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 124
  • 끝페이지 ... 127

표/그림 (46)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