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연구책임자 |
김수진
|
참여연구자 |
김완수
,
박인용
,
서민희
,
한정아
,
김준엽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6-12 |
과제시작연도 |
2016 |
주관부처 |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등록번호 |
TRKO201900002328 |
과제고유번호 |
1105011788 |
사업명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DB 구축일자 |
2019-06-15
|
DOI |
https://doi.org/10.23000/TRKO201900002328 |
초록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우리나라 학생의 성취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 관리 및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보고 및 활용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에 따라 국외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산출 및 활용 동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활용 실태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학생의 학업성취 지표 및 학교의 성과지표의 활용도 제고 방안을 마련하였다. 각 연구 주제에 따라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산출 및 활용 실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우리나라 학생의 성취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 관리 및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보고 및 활용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에 따라 국외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산출 및 활용 동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활용 실태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학생의 학업성취 지표 및 학교의 성과지표의 활용도 제고 방안을 마련하였다. 각 연구 주제에 따라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산출 및 활용 실태
현재 학업성취도 평가 시행 후 산출하는 지표들을 살펴보고, 학교현장에서 이러한 평가 결과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 교육청 및 지원청 담당자, 교사,학생 대상으로 학업성취도 평가의 중요성, 평가 결과에 대한 이해도 및 활용도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학업성취도 평가의 중요성에 대해 시·도 교육청 담당자들의 경우 대체로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교사와 학생은 시·도 담당자들 보다는 낮은 인식을 보였다. 교사 및 학생들의 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은 이유로는 평가 결과 활용의 한계, 주요 교과만의 시행, 평가 시기, 대입과 무관함 등으로 나타났다. 시·도 교육청 담당자,교사, 학생 모두 평가 결과 지표들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연구에서 실시한 심층면담 결과에 따르면 실제 이해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결과 지표들의 유용성과 활용도 측면에서는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과 향상도 지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낮은 유용성과 활용도를 보였다. 현재 제공되는 평가 결과 외에 추가로 제공되기를 바라는 정보로는 학급별 성취수준 비율과 영역별 성취율,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상대적 위치 등을 선택하였다. 평가 결과 활용도 제고를 위한 평가 개선 방향으로는 평가 결과를 활용하고 보정교육이 가능하도록 평가 시기를 3∼5월로 앞당기고, 고입, 대입에 대한 부담감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평가 대상 학년도를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으로 낮추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설문결과와 심층 면담을 통하여 학교 교육의 책무성 점검을 위한 학교향상도 지표의 개선이 필요하고,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및 평가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하며, 진로나 적성 개발을 위한 유용한 자료의 제공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국외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 산출 및 활용 동향
우리나라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미국, 영국, 호주,일본 등 다른 나라에서 시행되는 국외 학업성취도 평가의 산출 지표를 분석하고 평가 결과의 활용 동향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영국과 호주는 학생수준에서 척도점수와 성취수준정보, 학교수준에서 평가 영역별 평균 척도점수 및 성취수준별 학생 비율과 연도별 추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정보로 그 지역의 비슷한 학교들 혹은 전국수준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하고, 평가 결과는 교사들의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되며 학생과 학부모에게까지 온라인 형태로 제공되고 있어 평가 결과의 적극적 활용이 특징이었다. 일본은 학교수준에서 원점수의 기술통계, 정답률, 그리고 학생 및 학교 설문 결과 정보를 제공하면서 특히 교수·학습에서의 평가 활용이 가능하도록 수업지도안 또는 평가 문항 및 평가 결과와 수업 전략을 연계하여 질높은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 돋보였다. 미국의 국가수준 평가인 NAEP는 주, 지역, 국가수준에서는 평균 척도점수 및 성취수준 정보와 연도별 추이정보를 제공하지만 개별 학교나 학생수준에서의 평가 결과는 공개하지 않는 특징이 있었다.
대신, 주 단위의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다양한 지표를 사용하여 개별 학교 또는 학생수준의 평가 결과를 보고함으로써 이원화된 체제를 운영하고 있었다. 국외 사례 분석 결과, 학교수준의 평가 결과를 학교별, 지역별, 주별 등 다양한 수준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결과의 공개범위도 넓어 우리나라보다 더 다양하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평가 결과를 교실 수업에서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대한 구체적 활용 자료 및 예시를 개발하는 것과 온라인 시스템에서 사용자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석 결과를 산출할 수 있어 우리나라 학업성취도 결과 활용에 많은 시사점을 주었다.
❏ 교육의 책무성 점검을 위한 활용도 제고 방안: 학교 성과지표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제공되는 학교향상도는 학교현장에서 향상도 산출 공식과 산출된 수치 해석의 어려움에 대한 불만이 컸으며, 2016년부터는 중학교 향상도 산출이 불가능하게 됨에 따라 학교 성과지표의 개선이 필요함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방향은 기존의 향상도를 유지하되 해석을 보완하는 방법과 중·고등학교 모두 산출가능한 새로운 향상도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첫째, 기존 향상도의 해석 방법을 보완하기 위해 향상도의 표준화 점수 활용과 향상도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대점수 대비 실제점수의 해석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안들에 대하여 학교현장에서의 적합성을 검토한 결과 기대점수에 대한 실제점수의 비율을 사용하여 달성정도로 해석하는 것이 이해하기 쉽다고 평가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기대점수를 사용하는 만큼 학교에서 어려워하는 기대점수의 산출 방법에 대한 이해와 설명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의 평가 시행이 폐지되어 더 이상 중학교의 향상도 산출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개별 학생 점수가 아닌 전년도 학교점수를 활용한 학교의 학업성취 지표를 제안하였다. 학교수준에서 전년대비 또는 동일한 학교의 이전 평가 결과 대비 올해 학업성취수준의 자료를 활용하는 방법이며, 2013년과 2014년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모형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새로 개발한 지표는 중,고등학교 모두 산출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학교의 향상도를 측정하기에는 기존 향상도가 더 적합하다는 학계의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따라서 현재의 학교향상도 개념을 유지한다면 초등학교 평가가 재시행 되거나 새로운 개념의 지수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될 때 까지학교현장에서의 해석 방법을 보완하는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 교육적 환류를 위한 활용도 제고 방안: 학생 성취지표
5장에서는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의 산출 및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생의 성취 파악을 위한 다양한 정보 산출 및 활용 방안에서는 하위영역별 정보 및 정오표 확인을 통해 학력을 점검하고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성취수준의 다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는 방안에서는 규준참조 지표를 활용하여 국가수준, 지역교육청 및 학교수준의 상대적 정보를 제공하여 본인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과 성장지표를 통해 개인의 성장도를 확인하여 어느 교과에서 향상이 이뤄졌고 좀 더 학습이 필요한 교과가 무엇인지 점검하는 것이 있다. 둘째. 교수·학습개선을 위한 학생 학업성취 지표의 활용 방향에서는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활용을 높이는 방안으로써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활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학생의 성취수준을 활용한 수준별 교수·학습을 실시하고 영역 및 문항별 성취율을 활용한 맞춤형 교수·학습을 실시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셋째, 인지적‧정의적 통합적 접근을 통한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활용 방안에서는 학생 및 학교 특성 진단 정보를 활용하여 통합적 진단 및 관리를 진행하는 겻과 학교단위 정보 기반의 진로 적성 교육을 지원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상으로 제시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네 가지 측면에서 정책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업성취도 평가의 평가 결과 자료에 대한 이해도 제고 및 활용 역량 강화 측면에서는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학교 현장의 인식 전환 및 이해도 제고와 결과 활용을 위한 교사의 평가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정책제언을 제안하였다. 둘째, 평가 목적 달성 및 결과 활용 극대화를 위한 결과 제공 방법 개선 측면에서는 학업성취도 평가결과표 제공 대상을 확대하고 결과표 양식을 개선하는 것과 학교향상도의 이해를 돕는 해석 지수를 제공하고 안내 자료를 개발하는 것을 제언하였다. 셋째, 평가 결과 활용의 다차원화를 위한 교육 기관 간 협업체제 구축 측면의 정책제언으로는 교육 관련 데이터와의 원활한 교류를 위하여 개방형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였다. 넷째, 학업성취도 평가 목적과 활용도 제고를 위하여 평가 체제를 개선해야 함을 정책제언으로 제시하였다.
(출처 : 연구요약 7p)
Abstract
▼
In order to constantly monitor students’ educational outcomes and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n educational accountability system at national level in Korea. Withthe need for the improved reporting and uses
In order to constantly monitor students’ educational outcomes and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n educational accountability system at national level in Korea. Withthe need for the improved reporting and uses of the test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cope of using the NAEA results and to explore ways to make thebest use of outcome measures on individual students and school performance based on the review of international trends in test-based accountability policies.
❏ A Survey on the Uses and the Reporting of NAEA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stake-holders (e.g., students,teachers, and officials in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etc.) on various aspects of NAEA. Its purposes were to examine various outcome measures that are derived from the NAEA data and to evaluate how the test results are recognized and utilized at the school site. The survey showed that students and teachers did not value the benefits of test results, while officials in POE tend to value it. Teachers and students' low perceptions on the importance of NAEA appear to be related to the limited uses of thetest results, implementation of a test for major subjects only, testing schedule, and irrelevance to college admission. All participants tended to show high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test results, whereas according to the in-depth interviews the actual understanding level was not high. By contrast, they showed low perceptions towards the usefulness and the utilization. In terms of the usefulness and utilization of the NAEA indicators, it showed mostly low perceptions on the usefulness and utilization except for the ratio of students below basic and the improvement index. In addition to the existing indicators derived from the NAEA data,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suggest that the percentage of achievement level by class, achievement rate by content domains, and norm-referenced information such as relative standing of a student within the group need to be included. When options are given for a testing schedule and target group, themajority of the participants preferred April of a year and they perceived that 8th and10th graders rather than 9th and 11th graders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be asse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the in-depth interviews, it is necessary to refinethe school improvement index to monitor the accountability of school education.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NAEA results should be provided so that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can be improved. Also,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useful data for students’ career and aptitude development.
❏ International Trends in the Uses and Reporting of Achievement Test Results
A number of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implemented national-level or state-level tests for monitoring students’ achievement, and the range of applications of these tests has been varied. This part of analysis is focused on the examination of international trends in the uses and reporting of national-level achievement test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UK and Australia provi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scale score and achievement levels at the student level, and the average scale score at the school level, the ratio of the students by the achievement level, and the yearly trend. These data were released at both student and school levels, and were compared among similar schools within the district or compared with the national norm. In addition, the test results were actively utilized a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instructional purposes, and were provided online to students and parents. The national-level assessment program in Japan provides raw scor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t the school level. In particular, it was shown that the teaching·learning and the evaluation items and results were linked with each other to develop high qualit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strategies so that the test results could be more close linked to teaching and learning components. The NAEP, which is a national-level achievement assessment program of the United States, provided average scale scores, achievement levels, and year-by-year trend information at the state, regional, and national levels, but it did not disclose the results of individual students or schools. Summing up, the school-level data appear to be provided at various levels such as school, region, and state in many countries, and the disclosure range of the results is broader, providing more detailed and diverse information than that of NAEA. In addition, the review of other countries’ cases imply the it woul be possible to develop concrete data and examples on how national-level assessment results can be used in classroom lessons.
❏ Improved Uses of NAEA Results for Educational Accountability : School Performance Indicators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more refined and intelligent measures that can better indicate how schools are performing. One of the major caveats with the existing measures is related to the difficulty of the numerical interpretation.
Moreover, it will be impossible to calculate the school improvement index at a middle school. Thus, the direction suggested in this study is to maintain the existing measure for improvement at the school level but to develop a new index that can be calculated for both middle and high schools. First, we considered two scaling approaches. One was to use standard scores; and the other was to interpret a ratio of actual scores over expected scores in order to monitor school accountability. Second, we proposed the academic achievement index of the school using the previous year's school score instead of the individual student score. This approach seems reasonable under the situation in which the administration of elementary schools has been abolished and it is currently impossible to calculate the improvement index at middle schools. The newly developed measure was validated using test results from 2013 and 2014 administration data. While the new index can be achievable at both middle and high schools, majority of experts addressed that the existing index would be more robust. Therefore, if the current concept of school improvement is maintained, it may be desirable to take an alternativethat complements the interpretation at the schools until the NAEA is carried out again.
❏ Improved Uses of NAEA Results for Educational Feedback : Student Performance Indicators
Assessment results can serve as meaningful sources of information for students, teachers, and schools. Depending on which of measures (or indices, indicators) we obtained from NAEA, various forms of interpretation and uses can be suggested. First, when students are given criterion-referenced measures such as a performance profile indicating their weaknesses and strengths among the test domains, teachers can facilitate learning by providing students with important feedback on their learning progress and by helping them identify learning problems. Thus, students would be able to monitor their learning and grow as a self-regulated learner. As another scenario, norm-referenced measures can be produced from the test administr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on individual students’ or schools’ relative standings within a group. At the school level, these indicators can be most useful for education authorities in identifying those schools with significantly above average performance and those with clearly below average performance. Second, individualized learning considering a student’s achievement level would be possible based on the NAEA results. Third, it is desirable to pursue a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cognitive and non-cognitive achievements. To achieve this, information regarding student and school characteristics produced by NAEA results would be helpfu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esented above, policy suggestions were derived for the following aspects. First, in terms of enhancing the understanding level of the test results and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test use, we proposes a policy recommendation to strengthen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evaluation . Second, in terms of improving the method of reporting and maximizing the uses of test resul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target and the intended uses. For example, NAEA results can be provided students and parents with feedback about students’ progress toward learning goals. Such information can be further used to establish a plan for home and school to work together. Third, as a policy for establishing a collaboration system among multiple educational institutions, we proposed to build open system for exchanging educational data smoothly. Fourth, policy suggestion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educational accountability system.
(출처 : ABSTRACT 241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협력진 ... 3
- 머리말 ... 5
- 연구요약 ... 7
- 목차 ... 11
- 표목차 ... 15
- 그림목차 ... 17
- Ⅰ 서론 ... 2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3
- 2. 연구 내용 ... 26
- 가. 평가 결과 보고 자료의 활용 실태 및 요구 분석 ... 26
- 나. 최근 학생평가 및 해외 학업성취도 평가의 동향 분석 ... 27
- 다. 학교 성과지표 검토 및 활용도 제고 방안 ... 27
- 라. 다양한 학생 성취지표 산출 및 활용도 제고 방안 ... 28
- 3. 연구 방법 ... 29
- 가. 문헌연구 ... 29
- 나. 설문조사 ... 29
- 다. 통계 분석 ... 30
- 라. 전문가협의회 ... 30
- 마. 세미나 개최 ... 31
- Ⅱ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산출 및 활용 실태 ... 33
- 1.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지표 ... 35
- 가. 학생 성취지표 ... 35
- 나. 학교 성과지표 ... 39
- 2.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활용 실태 ... 46
- 가. 학업성취도 평가의 중요성 및 필요성 ... 49
- 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이해도, 유용도 및 활용도 ... 53
- 다. 활용도 제고를 위한 학업성취도 평가 개선 방향 ... 62
- 3. 시사점 ... 68
- Ⅲ 국외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 산출 및 활용 동향 ... 71
- 1. 학생들의 성취수준 파악을 위한 결과 산출 및 활용 ... 73
- 가. 학생수준에서의 평가 결과 제공 ... 73
- 나. 학교 및 지역 수준에서의 성취 파악 ... 81
- 2. 학교의 책무성 점검을 위한 평가 결과 산출 및 활용 ... 97
- 가. 국가수준 평가 결과 활용 ... 97
- 나. 향상도 산출 및 활용 ... 102
- 3.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결과 산출 및 활용 ... 108
- 가. 교사의 교수·학습 활용 자료 ... 108
- 나. 학생/학부모 교수·학습 자료 제공 ... 115
- 4. 시사점 ... 117
- Ⅳ 교육의 책무성 점검을 위한 활용도 제고 방안:학교 성과지표 ... 121
- 1. 현행 학교 성과지표의 제한점 및 개선 방향 ... 123
- 가. 현행 학교 성과지표 활용의 제한점 ... 123
- 나. 학교 성과지표의 개선 방향 ... 126
- 2. 학교 성과지표 활용을 위한 개선 방안 ... 129
- 가. 향상도 지수의 이해 및 해석 제고 방안 ... 129
- 나. 새로운 학교 성과지표 개발 방안 ... 138
- 3. 새로운 학교 성과지표 적용 결과 분석 ... 144
- 가. 사전성취도 수준과 향상/하락 수준에 따른 학교점수 향상지수 비교 ... 145
- 나. 사전성취도와 학교점수 향상도의 연관성 ... 149
- Ⅴ 교육적 환류를 위한 활용도 제고 방안: 학생 성취지표 ... 155
- 1. 학생의 성취수준 파악을 위한 다양한 정보 산출 및 제공 ... 157
- 가. 정오표 및 하위 영역별 정보 확인을 통한 학력 점검 ... 157
- 나. 다양한 기준을 적용한 성취수준의 다각적 정보 제공 ... 164
- 2.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학생 성취지표의 활용 예시 개발 ... 167
- 가. 학생의 성취수준을 활용한 수준별 교수·학습 실시 ... 168
- 나. 영역 및 문항별 성취율을 활용한 맞춤형 교수·학습 실시 ... 172
- 3. 인지적·정의적 통합적 접근을 통한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활용 ... 177
- 가. 학생 및 학교 특성 진단 정보를 활용한 통합적 진단 및 관리 ... 177
- 나. 학교단위 정보 기반의 진로 적성 교육 지원 ... 183
- Ⅵ 결론 및 제언 ... 189
- 1. 결론 ... 191
- 2. 제언 ... 198
- 가. 학업성취도 평가와 평가 결과 자료에 대한 이해도 제고 및 활용 역량 강화 ... 200
- 나. 평가 목적 달성 및 결과 활용 극대화를 위한 결과 제공 방법 개선 ... 212
- 다. 평가 결과 활용의 다차원화를 위한 교육 기관 간 협업 체제 구축 ... 222
- 라. 평가 목적에 따른 학업성취도 평가 체제 개선 ... 226
- 참 고 문 헌 ... 231
- ABSTRACT ... 241
- 부 록 ... 247
- [부록 1]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활용 및 인식에 관한 설문지 ... 249
- 끝페이지 ... 28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