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양성분 측정표준 확립 및 측정 네트워크 구축
Establishing Measurement Standards for Nutrients and Building Laboratory Network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연구책임자 김병주
참여연구자 백송이 , 이선영 , 안성희 , 이준희 , 이홍희 , 임동규 , 최기환 , 최종오 , 한지수 , 형석원 , 임용현 , 김명수 , 김숙현 , 민형식 , 서정기 , 이경석 , 이종해 , 이종화 , 임명철 , 임영란 , 조경민 , 조하나 , 한명섭 , 허성우 , 황의진 , 강덕진 , 권하정 , 양인철 , 이화심 , 정지선 , 심희정 , 이혜영 , 성민경 , 주현정 , 주자연 , 손선웅 , 요시 아리스티아완 , 모하메드 , 권현정 , 김보미 , 강혜영 , 고청아 , 김은화 , 김휘진 , 다사리 , 오지선 , 윤정노 , 이상준 , 이예지 , 이지수 , 이현석 , 이형준 , 최성 , 최지하 , 홍상 , 김영은 , 이선영 , 김주옥 , 트란 흐엉 , 노르디아나 로즐리 , 박수정 , 김권성
보고서유형1단계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8-10
과제시작연도 2018
주관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등록번호 TRKO201900003009
과제고유번호 1711079136
사업명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DB 구축일자 2019-07-06
키워드 영양성분.측정표준.식품분석.임상분석.인증표준물질.Nutrients.Measurement standards.Food analysis.Clinical analysis.Certified reference materials (CRM).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900003009

초록

1. 영양성분 측정표준 확립 : 주요 식품군별 및 임상시료별 주요 영양성분에 대한 측정표준을 확립하였다. 최종적으로 표준연에서는 조제분유 중 비타민 14종, 지방산 6종, 무기여양원소 9종의 측정표준을 확립하였으며, 종합영양제 중 영양성분 측정표준 확립, 곡류 (쌀 및 밀가루) 중 비타민 4종 지방산 1종, 채소류(배추, 시금치) 중 비타민 9종 지방산 1 종, 육류 및 어류 중 콜레스테롤 1 종의 측정표준을 확립하였다. 혈청 및 혈장 시료 중 질환 진단 대상 아미노산 5종, 비타민 5종에 대한 측정표준을 확립하였다. 이를 위하여

Abstract

Ⅳ. Results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of measurement standards in nutrient analysis]
o Establishment of measurement standards for organic nutrient analysis
· Establishment of primary method for thiamine analysis
· Establishment of primary method for niacin analysis
· Establishment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보고서 요약서 ... 5
  • 요 약 문 ... 7
  • SUMMARY ... 15
  • 목차 ... 23
  • 제 1 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 29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33
  • 제 1 절 영양성분 측정표준 확립 및 보급 ... 33
  • 1. 영양성분 측정표준 ... 33
  • 2. 연구개발 방향 및 주요 핵심기술 ... 36
  • 3. 국내 현황 ... 37
  • 4. 국외 현황 ... 39
  • 제 2 절 유기영양성분 측정표준 확립 및 보급 ... 42
  • 1. 유기분석 표준 분야 ... 42
  • 2. 유기영양성분 분석의 표준체계 ... 45
  • 제 3 절 무기분석 측정표준 확립 및 보급 ... 53
  • 1. 무기분석 표준 분야 ... 53
  • 2. 무기 영양성분 분석의 표준체계 ... 54
  • 제 3 장 영양성분 측정 소급성 강화 및 측정 표준 향상 ... 61
  • 제 1 절 유기 영양성분 측정표준 확립 ... 61
  • 1. 티아민 동위원소희석 LC/MS법 개발 ... 61
  • 2. 나이아신 동위원소희석 LC/MS법 개발 ... 73
  • 3. 판토텐산 및 피리독신 동위원소희석 LC/MS법 개발 ... 76
  • 4. 비오틴 동위원소희석 LC/MS법 개발 ... 88
  • 5. B12 동위원소희석 LC/MS법 개발 ... 96
  • 6. 비타민 D 동위원소희석 LC/MS법 개발 ... 103
  • 7. 비타민 K 동위원소희석 LC/MS법 개발 ... 107
  • 8. 비타민 E 동위원소희석 LC/MS법 개발 ... 112
  • 9. 필수지방산 동위원소희석 GC/MS법 개발 ... 116
  • 10. 콜레스테롤 동위원소희석 LC/MS법 개발 ... 128
  • 제 2 절 무기 영양원소 측정표준 확립 ... 132
  • 1. Exact matrix-matching (EMM) ICP-OES 원소인증법 ... 132
  • 2. 아이오딘(I) 인증법 개발 및 유효성 검토 ... 138
  • 3. 염소(Cl) 인증법 개발 ... 148
  • 4. 마그네슘(Mg) 인증법 유효성 검토 ... 157
  • 5. 몰리브데넘(Mo) 인증법 유효성 검토 ... 159
  • 제 3 절 임상 영양성분 측정표준 확립 ... 161
  • 1. 혈중 비타민 D 대사체 동위원소희석 LC/MS법 개발 ... 161
  • 2. 혈중 folates 동위원소희석 LC/MS법 개발 ... 163
  • 3. 혈중 유리 아미노산 최상위분석법 개발 ... 168
  • 4. 혈중 단당류 최상위분석법 개발 ... 174
  • 제 4 절 임상 시료 중 아미노산 및 단당류 프로파일 기법 개발 ... 185
  • 1. 아미노산 프로파일 기법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 185
  • 2. 아미노산 프로파일 기법 연구개발 결과 ... 191
  • 3. 단당류 프로파일 기법 연구개발 내용 및 방법 ... 289
  • 제 5 절 일반성분 정밀 분광분석 기법 개발 ... 305
  • 1. 서론 ... 305
  • 2. 분광법을 이용한 분유 분석법 연구 ... 306
  • 3. 분광법을 이용한 쌀 분석 연구 ... 326
  • 4. 분광법을 이용한 채소 분석 연구 ... 343
  • 5. 분광법을 이용한 소고기 분석 연구 ... 350
  • 6. 분광법을 이용한 Certified Reference Material(CRM) 분석 ... 354
  • 제 6 절 식품 및 환경 중 유기화합물 측정표준 확립 ... 364
  • 1. 서론 ... 364
  • 2. 고순도 유기물질 순도분석법 연구 ... 364
  • 3. LC 기반 분석 대상 농약 최상위측정법 개발 ... 376
  • 4. 곰팡이 독소(Fumonicin) ID-LC/MS 분석법 개발 ... 381
  • 5. 고지방 식품 중 PAHs ID-GC/MS 분석법 개발 ... 387
  • 6. 육류 중 잔류항생제(sulfadiazine) 최상위분석법 개발 ... 392
  • 7. 플라스틱 중 HBCD 최상위분석법 개발 ... 397
  • 8. 플라스틱 중 PAHs 최상위분석법 개발 ... 403
  • 9. Multi-column array LC 시스템 개발 ... 408
  • 10. CE-MS 시스템 구축 ... 411
  • 제 4 장 영양성분 측정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413
  • 제 1 절 유기 영양성분 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413
  • 1. 조제분유(유기영양소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413
  • 2. 종합영양제(유기영양소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445
  • 3. 쌀 분말(유기영양소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456
  • 4. 밀가루(유기영양소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463
  • 5. 시금치 분말(유기영양소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470
  • 6. 배추 분말(유기영양소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481
  • 7. 사과 분말(유기영양소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493
  • 8. 소고기 분말(유기영양소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496
  • 9. 다랑어 분말(유기영양소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500
  • 제 2 절 무기 영양원소 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505
  • 1. 조제분유(원소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505
  • 2. 영양제 분말(원소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530
  • 3. 밀가루(원소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542
  • 4. 쌀 분말(원소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560
  • 5. 마늘 분말(원소분석용) 인증표준물질 중 무기영양원소 인증 ... 568
  • 6. 배추 분말(원소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576
  • 7. 배추 분말(원소분석용) 인증표준물질 추가 인증 ... 587
  • 제 3 절 임상 영양성분 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594
  • 1. 동결 인간 혈장 인증표준물질 개발 ... 594
  • 2. 아미노산 분석용 동결 인간 혈장 인증표준물질 개발 ... 605
  • 3. 단당 분석용 동결 인간 혈청 인증표준물질 개발 ... 610
  • 제 4 절 식품 및 환경 중 유기화합물 분석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 614
  • 1. 잔류농약 분석용 배추분말 인증표준물질 및 숙련도시험 기준시료 개발 ... 614
  • 2. 식품첨가물 분석용 차음료 인증표준물질 개발 ... 640
  • 3. 오크라톡신 A 분석용 된장분말 인증표준물질 개발 ... 649
  • 4. 패튤린 분석용 사과 주스 인증표준물질 개발 ... 654
  • 5. 클로람페니콜 분석용 조제분유 인증표준물질 개발 ... 656
  • 6. Fluoroquinolone계 항생제 분석용 육류 인증표준물질 개발 ... 661
  • 7.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분석용 올리브유 인증표준물질 개발 ... 672
  • 8.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분석용 HIPS 인증표준물질 개발 ... 675
  • 9. 유기분석 분야 보유 중 CRM의 안정도 검사 ... 676
  • 제 5 장 국제비교 수행 및 숙련도시험 제공 ... 681
  • 제 1 절 국제비교 수행 ... 681
  • 1. CCQM-K55.d (Folic acid 순도분석) 국제비교 수행 ... 681
  • 2. CCQM-K102 (침적토 중 PBDEs 분석) 국제비교 수행 ... 683
  • 3. CCQM-K131 (PAH 표준용액) 국제비교 수행 ... 688
  • 4. CCQM-K132 (혈청 중 비타민 D 대사체 분석) 국제비교 수행 ... 690
  • 5. CCQM-K109 (혈청 중 urea/uric acid분석) 국제비교 수행 ... 695
  • 6. CCQM-K142 (혈청 중 urea/uric acid분석용 CRM) 국제비교 수행 ... 702
  • 7. CCQM-K141 (소고기 중 잔류항생제(sulfadiazine, enrofloxacin) 분석 ... 702
  • 8. CCQM-K139 & P173 (인간 혈청 중 원소 분석) 국제비교 수행 ... 706
  • 9. CCQM-K78.a (아미노산 표준용액) 국제비교 수행 ... 718
  • 10. CCQM-P150.b (qNMR 순도분석) ... 719
  • 11. CCQM-K125 & P159 (조제분유 중 원소 분석) 국제비교 수행 ... 724
  • 12. CCQM-K147 (Niacin 분석용 조제분유/분유 CRM) 국제비교 수행 ... 732
  • 13. APMP.QM-S8 (간장 중 Benzoic Acid, Methyl Paraben, n-butyl Paraben 분석) 국제비교 수행 ... 733
  • 제 2 절 숙련도시험 제공 ... 737
  • 1. APLAC PT T094 (배추 중 잔류농약 분석) 숙련도 시험 제공 ... 737
  • 제 6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741
  • 제 7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744
  • 제 8 장 참고문헌 ... 745
  • 끝페이지 ... 748

표/그림 (30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