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피용 살균소독제 심사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Study on the review guideline of disinfectan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순천대학교
SunChon Nati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김민선
참여연구자 박영철 , 문희 , 이호빈 , 윤선혜 , 이주훈 , 조가영 , 박준현 , 이강섭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8-11
과제시작연도 2018
주관부처 식품의약품안전처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등록번호 TRKO201900003564
과제고유번호 1475010449
사업명 의약품등안전관리(R&D)
DB 구축일자 2019-07-13
키워드 소독제.효력시험.가이드라인.감염.disinfectant.efficay test.guideline.infection.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900003564

초록

외피용살균소독제는 개인 위생 및 수술 전.후의 환자의 소독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인플루엔자나 메르스 사태 등의 발생으로 사전 예방의 수단으로써 개인위생 및 공중위생에서 외피용살균소독제의 중요성은 더 증가되고 있다. 의약품으로서 외피용살균소독제는 사람의 피부 등을 직접 살균하는 소독제를 의미한다. 현재 의약품, 의약외품, 공산품으로서 허가 및 등록되고 있는 외피용살균소독제는 관련된 단독의 심사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과제에서는 미국, 유럽 등의 허가 사항을 비교. 검토하여 의약품으로서의 외피용

Abstract

Disinfectnat for skin has been used for personal hygiene and disinfection before and after surgery for patients and health care personnels etc. The occurrence of influenza, MERS evokes the importance of disinfectants as a preventive tool for personal hygiene and public health. Disinfectant for medic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용역연구개발과제 최종보고서 ... 2
  • 제출문 ... 3
  • 목차 ... 4
  • Ⅰ. 총괄연구 개발과제 요약문 ... 6
  • 국문 요약문 ... 6
  • Summary ... 8
  • Ⅱ. 총괄연구 개발과제 연구 결과 ... 10
  • 제1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적 및 필요성 ... 10
  • 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 ... 10
  • 2.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 12
  • 3. 총괄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13
  •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 23
  • 1. 용어 정의 ... 23
  • 2. 국내외 외피용살균소독제 분류 체계 정리 ... 30
  • 3. 외국 외피용 살균소독제 효력평가 가이드라인 ... 51
  • 4. 국내외 외피용 살균소독제 안전성 평가 가이드라인 정리 ... 62
  • 5. 국내외 외피용 살균소독제 허가사항 기재 정리 ... 74
  •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결과 및 고찰 ... 78
  • 1. 국내외 분류체계 비교 ... 78
  • 2. 효력평가를 위한 국내외 표준시험법 비교 ... 79
  • 3. 안전성 평가를 위한 국내외 표준시험법 비교 정리 ... 91
  • 4. 임상시험 관련 저널 리뷰 ... 113
  • 5. 보건의료 전문가 자문 내용 ... 121
  • 제4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 129
  • 1. 외피용 살균소독제 심사 가이드라인 마련 ... 129
  • 3. 고찰 ... 146
  • 제5장 총괄주요연구 변경사항 ... 147
  • 제6장 총괄참고문헌 ... 148
  • 제7장 총괄첨부서류 ... 149
  • 끝페이지 ... 262

표/그림 (1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