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긴급 재난현장 대응 구급장비 패키지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Package Technology of Disaster Medical Service(DMS) Eq uipments using for CBRN Disaster Respons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신상도
참여연구자 송경준 , 이경원 , 홍기정 , 이정찬 , 남윤자 , 박주옥 , 윤명오 , 정주 , 송성욱 , 유병욱 , 선석규 , 이준녕 , 양승만 , 주윤하 , 노영선 , 김태한 , 노유민 , 김경선 , 이혜린 , 권순규 , 김선영 , 안기옥 , 박정호 , 공소연 , 박관진 , 박용주 , 정승민 , 송소라 , 신지영 , 강현정 , 박지수 , 김정은 , 김나영 , 김승현 , 이설아 , 오영진 , 엄효식 , 강예원 , 이주연 , 김현정 , 이지민 , 윤선민 , 함승희 , 이영주 , 최진우 , 이경희 , 차정민
보고서유형연차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7-05
과제시작연도 2016
주관부처 국민안전처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등록번호 TRKO201900014298
과제고유번호 1741000537
사업명 소방안전및119구조ㆍ구급기술연구개발
DB 구축일자 2019-09-07
키워드 화생방 및 핵 특수재난.재난응급의료체계.구급장비.CBRN disaster.Disaster Emergency Medical Service.EMS device.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900014298

초록

□ 연구목적
○ 화생방 및 핵물질에 의한 특수 재난 현장 대응을 위한 구급대원용 장비 개발
○ 핵심 장비의 기능을 모듈화하고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패키지 기술 개발

□ 연구내용
○ CBRN 특수재난용 AV 통신 기능 최적화 개인보호장비
○ CBRN 특수재난용 휴대형 위해인자 탐지분석기록장비
○ CBRN 특수재난용 격리 환자 응급 처치 시스템
○ CBRN 특수재난용 이송 침상 기술
○ CBRN 특수재난용 환자 격리 및 공기정화장비
○ CBRN 특수재난대응 통합형 구급장비 패

Abstract

IV. Outcomes
1. Prototyp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optimized by Korean standard body shape and head shape. PPE design for efficient dressing and undressing. Real time bidirectional AV communication function using wearable camera, voice device and software controlling communication statu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보고서 초록 ... 5
  • 요 약 문 ... 7
  • SUMMARY ... 10
  • 목차 ... 13
  • 표목차 ... 16
  • 그림목차 ... 19
  • 제 1 장 서 론 ... 27
  • 1.1 연구개발의 필요성 ... 27
  • 1.1.1 연구개발의 중요성 ... 27
  • 1.1.2 특수재난 구급장비 패키지 기술개발의 세계적 수준 ... 50
  • 1.1.3 기능성 구급침상 개발 및 구급대 적용과 관련한 연구개발 실적 ... 50
  • 1.1.4 현 기술상태의 취약성 ... 58
  • 1.1.5 앞으로의 전망 ... 63
  • 1.1.6 기술도입의 가능성 ... 64
  • 제 2 장 연구개발 목표 및 평가의 착안점 ... 65
  • 2.1 연구개발 목표 ... 65
  • 2.1.1 과제별 연구개발 목표 ... 65
  • 2.1.2 평가의 착안점 ... 66
  • 제 3 장 연구범위 및 연구수행 방법 ... 67
  • 3.1 특수재난용 AV통신기능 최적화 개인보호장비 ... 67
  • 3.1.1 특수재난용 구급대원 개인보호장비 ... 67
  • 3.1.2 특수재난용 음성화상정보통신장비 ... 71
  • 3.1.3 특수재난용 음성화상 통제시스템 ... 73
  • 3.2 특수재난용 휴대형 위해인자탐지 분석기록장비 ... 76
  • 3.2.1 동시다종탐지분석 장비 시제품 개발 ... 76
  • 3.2.2 타재난장비와 위험환경 알람 등 연동을 위한 기능성 기술 ... 80
  • 3.2.3 측정결과와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 개발 ... 80
  • 3.3 특수재난용 격리 환자 응급 처치 시스템 ... 86
  • 3.3.1 연구배경 ... 86
  • 3.3.2 연구방법 ... 87
  • 3.4 특수재난용 이송 침상 기술 ... 92
  • 3.4.1 특수재난용 이송침상 개발을 위한 기반기술 ... 92
  • 3.4.2 특수재난 이송침상 디자인 ... 93
  • 3.4.3 워킹타입 시제품 설계 및 개발, 테스트 ... 93
  • 3.4.4 최종시제품 개발 및 성능테스트 ... 93
  • 3.5 특수재난용 환자 격리 및 공기정화장비 ... 94
  • 3.5.1 하드소재 격리모듈 개발 ... 94
  • 3.5.2 소프트소재 격리모듈 개발 ... 96
  • 3.5.3 공기정화장치 개발 ... 97
  • 3.5.4 격리 모듈의 사용이 심폐소생술의 질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동물실험 ... 98
  • 제 4 장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 102
  • 4.1 특수재난용 AV통신기능 최적화 개인보호장비 ... 102
  • 4.1.1 특수재난용 구급대원 개인보호장비 ... 102
  • 4.1.2 특수재난용 음성화상정보통신장비 ... 140
  • 4.1.3 특수재난용 음성화상 통제시스템 ... 149
  • 4.2 특수재난용 휴대형 위해인자탐지 분석기록장비 ... 158
  • 4.2.1 동시다종탐지분석 장비 시제품 개발 ... 158
  • 4.2.2 타재난장비와 위험환경 알람 등 연동을 위한 기능성 기술 ... 175
  • 4.2.3 측정결과와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 개발 ... 178
  • 4.3 특수재난용 격리 환자 응급 처치 시스템 ... 185
  • 4.3.1 CBRN 특수재난용 격리 환자 응급처치 시스템 개발 ... 185
  • 4.4 특수재난용 이송 침상 기술 ... 220
  • 4.4.1 특수재난용 이송침상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검토 ... 220
  • 4.4.2 특수재난용 이송침상 개발을 위한 제안 기술 ... 223
  • 4.4.3 특수재난용 이송침상 개발을 위한 시장 조사 ... 225
  • 4.4.4 특수재난용 이송침상 개발을 위한 디자인 개발 ... 228
  • 4.4.5 특수재난용 이송침상 개발을 위한 워킹타입 시작품 개발 ... 233
  • 4.4.6 특수재난용 이송침상 개발을 위한 최종 시제품 개발 ... 239
  • 4.5 특수재난용 환자 격리 및 공기정화장비 ... 245
  • 4.5.1 하드소재 격리모듈 ... 245
  • 4.5.2 소프트소재 격리모듈 ... 249
  • 4.5.3 공기정화장비 ... 256
  • 4.5.4 격리 모듈의 사용이 심폐소생술의 질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동물실험 ... 261
  • 제 5 장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264
  • 5.1 기대효과 ... 264
  • 5.1.1 기술적 측면 ... 264
  • 5.1.2 경제・산업적 측면 ... 264
  • 5.2 활용방안 ... 265
  • 참고문헌 ... 268
  • 끝페이지 ... 272

표/그림 (25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