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다양성협약 이행·지원 프로그램 기획·운영
Planning and Operation of Support Program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황상일
참여연구자 구경아 , 오일찬 , 이현우 , 김충기 , 김종호 , 김이진 , 정아영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8-12
과제시작연도 2018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1900017282
과제고유번호 1105013611
사업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R&D)
DB 구축일자 2019-11-16
키워드 생물다양성협약.SBSTTA22.SBI2.COP14.생물다양성 재정.생물다양성 네트워크.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SBSTTA22.SBI2.COP14.Biodiversity Finance.Biodiversity Network.

초록

생물다양성협약의 목적인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서는 협약에 제시된 생물다양성 목표와 여러 의제에 대한 결정문 및 권고문에 따라 지속적인 이행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물다양성협약에서는 새로운 의제 및 결정문과 권고문이 매해 열리는 다양한 회의에서 도출되므로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통해 최근의 논의를 반영하여 대응방향을 설정하고 이행을 지원·촉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과제에서는 효과적인 생물다양성협약의 이행 지원과 촉진을 위하여 ‘생물다양성 이행·지원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여 ① 생물다양성협약의 의제

Abstract

It is important to promote continuous implementation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which are the objectives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CBD), in accordance with Aichi Biodiversity Targets and the decisions on many agendas of CBD. Since emerging issues, new tasks an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 언 ... 3
  • 국문요약 ... 5
  • 목차 ... 9
  • 표목차 ... 11
  • 그림목차 ... 12
  • 약어 ... 13
  • 제1장 서 론 ... 15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5
  • 2. 주요 연구내용 및 수행체계 ... 17
  • 제2장 생물다양성협약 논의 동향 및 대응방안 ... 19
  • 1. 생물다양성협약 회의 개요 ... 19
  • 가. 제22차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회의(SBSTTA22) ... 20
  • 나. 제2차 이행부속기구회의(SBI2) ... 22
  • 다. 제14차 당사국총회(COP14) ... 24
  • 2. 주요 의제 논의 동향 및 대응방안 ... 26
  • 가. 2011-2020 생물다양성 전략계획과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 이행 점검 ... 26
  • 나. 생물다양성과 기후변화 ... 35
  • 다. 보호지역 및 관련 기타 조치 ... 40
  • 라. 재원 동원 및 재정 메커니즘 ... 44
  • 마. 역량배양 및 과학기술협력 ... 47
  • 바. 다른 협약 및 국제기구, 이니셔티브와의 협력 ... 52
  • 사.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준비 ... 56
  • 아. 이행 점검을 위한 메커니즘 ... 61
  • 제3장 생물다양성 재정 분석 ... 66
  • 1.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생물다양성지출 ... 66
  • 가. 재정 분석을 위한 기반자료 구축 ... 66
  • 나. 국내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생물다양성지출 분석 ... 67
  • 제4장 국내외 네트워크 기반 구축 및 교류 ... 73
  • 1. 국가 간 생물다양성 과학기술협력 기반 구축 ... 74
  • 가. 한·중 생태계서비스와 의사결정에 관한 지식 교류와 경험 및 사례 연구 ... 74
  • 나. 한·중 생물다양성과 환경 거버넌스에 관한 지식 교류와 경험 및 사례 연구 ... 76
  • 2. 국내 시민단체, 전문가 등 생물다양성 관계 이해관계자 간 교류·협력 ... 78
  • 가. ‘해양과 생물다양성’ 이슈에 대한 시민단체 대상 워크숍 개최 ... 78
  • 나. 국가 및 지역 생물다양성 이행전략에 대한 전문가 교류 ... 80
  • 참고문헌 ... 85
  • Abstract ... 89
  • 끝페이지 ... 92

표/그림 (3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