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염병 예방 및 대응체계에 관한 법제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and System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법제연구원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연구책임자 이준서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8-10
과제시작연도 2018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1900018113
과제고유번호 1105013388
사업명 한국법제연구원(R&D)
DB 구축일자 2019-11-30
키워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감염병예방법).법정감염병.메르스 대응.의료관련 감염.방역조치와 인권.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Legal Infectious Disease.Response to the MERS.Medical Infection.Prevention Measures and Human Rights.

초록

Ⅰ. 배경 및 목적
▶ 감염병 관련 법적 쟁점 검토의 필요성
○ 메르스 사태를 통해 알 수 있다시피,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정부의 검역·방역조치는, 그것이 작위이든 부작위이든, 그와 관련된 다양한 법적 쟁점들을 포함하고 있다. 지난 2015년의 메르스 사태에 대응하면서 발생하였던 문제점들인 검역체계의 미비, 감염병 관리체계에 관한 정부·지자체의 거버넌스, 방역조치에 대한 정부의 책임, 의료정보시스템의 미비, 의료 관련 감염 대응책의 미비 등의 문제와 더불어 감염병 관련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감염의심자의 인권 보장, 자가

Abstract

Ⅰ. Backgrounds and Purposes
▶ Necessity of reviewing legal issues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 The government's quarantine measures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clude various legal issues related to it, whether it is innocent or not. The lack of a quarantine system, the g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요 약 문 ... 7
  • Abstract ... 15
  • 목차 ... 19
  • 제1장 서 론 ... 2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3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2
  • 제2장 감염병 관련 법령과 사례분석을 통한 현행 법제의 문제점 분석 ... 43
  • 제1절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령의 쟁점 ... 45
  • Ⅰ.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변천 ... 45
  • Ⅱ.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쟁점 ... 49
  • 제2절 국내 대규모 감염병 대응 사례의 분석과 쟁점 ... 70
  • Ⅰ. 격리조치의 쟁점 ... 70
  • Ⅱ. 의료관련감염의 쟁점 ... 76
  • Ⅲ. 행정규칙의 위임에 대한 쟁점 ... 81
  • Ⅳ.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쟁점 ... 83
  • Ⅴ. 손실보상과 국가배상의 문제 ... 89
  • 제3장 감염병 관련 법적 쟁점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 95
  • 제1절 감염병 관련 법적 쟁점에 관한 비교법 개관 ... 97
  • Ⅰ. 국제보건규칙 ... 97
  • Ⅲ. 감염병 예방ㆍ관리에 관한 주요국의 법제 ... 104
  • 제2절 감염병 관련 법적 쟁점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 114
  • Ⅰ. 감염병 예방 및 대응에 관한 행정 체계 ... 114
  • Ⅱ. 검역・방역・격리의 구분 ... 123
  • Ⅲ. 의료관련감염 ... 132
  • Ⅲ. 손실보상과 국가배상의 문제 ... 146
  • Ⅴ. 감염병 관련 국제공조 ... 150
  • Ⅵ. 비교법적 시사점 검토 ... 156
  • 제4장 감염병 예방 및 대응체계에 관한 법제개선방안 ... 161
  • Ⅰ. 법률의 구성과 유사 입법과의 관계 ... 163
  • Ⅱ. 검역․방역조치 대상으로서의 법정감염병 ... 167
  • Ⅲ. 공중보건 위기 시 대응 기관의 권한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 173
  • Ⅳ. 의료 관련 감염 ... 176
  • Ⅴ. 국가배상에서의 공법원리 적용 ... 180
  • Ⅵ. 격리대상자의 인권보장을 위한 절차 ... 182
  • 제5장 결 론 ... 189
  • 참고문헌 ... 193
  • 끝페이지 ... 212

표/그림 (3)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