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방안 연구 개발
A Study on Framework-Establishment of National Infectious Disease Hospital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충남대학교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연구책임자 이석구
참여연구자 이건세 , 박재현 , 신지연 , 정혜민 , 박형근 , 이진용 , 은상준 , 이근화 , 김현주 , 조민우 , 김선하 , 임남구 , 김자연 , 문재영 , 이준완 , 권순정 , 성민기 , 윤형진 , 오명돈 , 이희영 , 방지환 , 임준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04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등록번호 TRKO201900001283
DB 구축일자 2019-06-29
키워드 중앙 감염병 전문병원.권역 감염병 전문병원.음압병상.해외 유입 감염병.Central infectious disease hospital.Regional infectious disease hospital.Negative pressure isolation bed.New infectious disease.

초록

우리나라는 2006년부터 ‘국가지정 입원치료 격리병상’을 구축하여 2015년 현재 전국에 19개 병원에 109개의 음압병상을 설치하여 해외 호흡기 감염병의 국내 유입에 대비하여 왔으나, 2015년의 메르스 유행으로 의료시설이나 전문인력 측면 등 다양한 면에서 양적, 질적으로 보다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나라에 적합한 감염병 전문병원의 규모와 소요인력은 미래의 매우 불확실한 공중보건위기 상황에 대비하여 준비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근거나 수식을 가지고 접근하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Abstract

Since 2006, South Korea has been running a designated national isolation treatment hospital bed system. As a result of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outbreak in 2015, South Korea is now more aware of the need to improve a variety of medical facilities and professional staff training an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정책연구용역사업 최종결과보고서 ... 4
  • 참여연구진 ... 6
  • 목차 ... 8
  • 표목차 ... 14
  • 그림목차 ... 29
  • 요약문 ... 44
  • Summary ... 46
  • 제1장 연구결과 (총괄) ... 48
  •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표 ... 50
  • 1. 연구 목적 ... 50
  • 2. 연구의 필요성 ... 50
  • 3. 목표 ... 52
  • 제2절 국내외 기술현황 ... 54
  • 제3절 연구 내용 및 방법 ... 56
  • 1. 추진체계 ... 56
  • 2. 연구수행과정 ... 57
  • 제4절 연구결과 (요약) ... 59
  • 1. 제1세부과제 (감염병 전담 치료 의료기관의 필요성과 최소 필요 수요 예측, 지역적 배치방안 개발) ... 59
  • 2. 제2세부과제 (신종 감염병 유행대비 국가방역자원으로서 감염병 전문병원 운영방안 개발) ... 69
  • 3. 제3세부과제 (감염병 전문병원의 기본모델 정립과 시설기준 작성) ... 72
  • 4. 제4세부과제 (신종 감염병 대비 국가방역체계 개편방향과 대응조직체계 개발) ... 80
  • 제5절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 86
  • 1. 연구성과 ... 87
  • 2. 활용계획(연구사업 종료 후) ... 88
  • 제6절 해외과학기술정보 수집내용 ... 90
  • 제7절 연구비 사용내역 ... 90
  • 제2장 제1세부과제 (감염병 전담 치료 의료기관의 필요성과 최소 필요 수요 예측, 지역적 배치방안 개발) ... 92
  •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표 ... 94
  • 1. 연구의 필요성 ... 94
  • 2. 연구목표 ... 95
  •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 95
  • 1. 연구수행체계 ... 95
  • 2. 연구방법 ... 97
  • 제3절 연구결과 ... 98
  • 1. 감염병 전문병원의 타당성 검토 ... 98
  • 2. 감염병 전문병원의 입원대상 감염병 ... 130
  • 3. 중앙 감염병 전문병원의 소요 병상수 ... 133
  • 4. 권역 감염병 전문병원의 규모와 기능 ... 157
  • 5. 감염병 전문 병원의 기본 기능과 업무 개발(평상시 기능) ... 164
  • 6. 설치방안 ... 186
  • 제4절 고찰 및 결론 ... 196
  • 제5절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 197
  • 제6절 해외과학기술정보 수집내용 ... 197
  • 제7절 주요 연구 변경 사항 ... 197
  • 제8절 연구비 사용내역 ... 198
  • 제9절 참고문헌 ... 199
  • 제3장 제2세부과제(신종 감염병 유행대비 국가방역자원으로서 감염병 전문병원 운영방안 개발) ... 200
  •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표 ... 202
  • 1. 연구 필요성 ... 202
  • 2. 연구 목표 ... 203
  •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 203
  • 1. 연구내용 ... 203
  • 2. 연구방법 ... 204
  • 제3절 연구결과 ... 205
  • 1. 우리나라 병원시장 특성과 메르스 유행 경험의 감염병 전문치료시설 설치 시사점 ... 205
  • 2. 해외 감염병 전문병원 운영 현황 ... 216
  • 3. 감염병 전문병원 운영 기본 방향 및 조직 운영 단위 ... 277
  • 4. 중앙 감염병 전문병원 운영모델 ... 284
  • 5. 권역 감염병 전문병원 운영모델 ... 316
  • 6. 감염병 전문병원 장비 배치 계획 ... 326
  • 7. 감염병 전문병원 운영모델에 따른 운영 비용 추계 ... 343
  • 제4절 고찰 및 결론 ... 363
  • 1. 감염병 전문병원이 갖추어야 할 조건과 특성 ... 363
  • 2. 해외 감염병 전문병원 운영 시사점 ... 363
  • 3. 감염병 전문병원 운영 방향 ... 363
  • 4. 평상시 및 비상시 감염병 전문병원 운영 모델 ... 364
  • 5. 중앙 및 권역 감염병 전문병원 경제성 평가 ... 365
  • 제5절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 367
  • 제6절 해외과학기술정보 수집내용 ... 367
  • 제7절 주요 연구 변경 사항 ... 367
  • 제8절 연구비 사용내역 ... 367
  • 제9절 참고문헌 ... 368
  • 제4장 제3세부과제(감염병 전문병원의 기본모델 정립과 시설기준 작성) ... 370
  •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표 ... 372
  • 1. 연구의 배경 ... 372
  •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372
  •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 374
  • 1. 연구의 내용 ... 374
  • 2. 연구의 방법 ... 377
  • 제3절 연구결과 ... 381
  • 1. 건축계획 일반사항 ... 381
  • 2. 동선계획 ... 388
  • 3. 부서별 건축계획 ... 394
  • 4. 건축설비계획 ... 475
  • 5. 시설유지관리계획 ... 501
  • 6. 권역별 감염병 전문병원의 계획 ... 508
  • 7. 면적계획 ... 522
  • 제4절 고찰 및 결론 ... 532
  • 1.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532
  • 2. 연구의 방법 ... 532
  • 3. 건축계획 일반사항 ... 532
  • 4. 동선계획 ... 534
  • 5. 건축설비계획 ... 534
  • 6. 유지관리계획 ... 536
  • 7. 면적계획 ... 536
  • 8. 추정 공사비 및 건축사업일정 ... 539
  • 9. 면적계획표 및 계획설계 ... 540
  • 제5절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 540
  • 1. 기대효과 ... 540
  • 2. 활용방안 ... 541
  • 제6절 해외 감염병관리시설 사례분석 ... 542
  • 1. 국립국제의료연구센터 (National Center for Global Health and Medicine, NCGM), 일본 ... 542
  • 2. PMH의 IDC, 홍콩 ... 552
  • 3. Charité 병원의 격리병동, 독일 ... 564
  • 4. Royal Free Hospital 의 HLIU, 영국 ... 572
  • 5. Infectious Disease Hospital, 쿠웨이트. (2012년도 계획안) ... 579
  • 제7절 주요 연구 변경 사항 ... 591
  • 제8절 연구비 사용내역 ... 592
  • 제9절 참고문헌 ... 593
  • 1. 국내 시설 관련 지침 ... 593
  • 2. 국외 문헌 ... 594
  • 제5장 제4세부과제(신종 감염병 대비 국가방역체계 개편방향과 대응조직체계 개발) ... 596
  •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표연구 필요성 및 목표 ... 598
  • 1. 목적 ... 598
  • 2. 필요성 ... 598
  •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 604
  • 1. 신종감염병 대비 국가방역체계 분석 및 평가 ... 604
  • 2. 감염병전문병원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 신종감염병 대비 국가방역체계 개선 방안 ... 604
  • 3. 감염병 전문병원 연구기획 ... 604
  • 제3절 연구결과 ... 605
  • 1. 신종감염병 대비 국가방역체계 분석 및 평가 ... 605
  • 2. 감염병 전문병원 기반 임상 및 역학분야 연구개발과제 개발 및 연구기획 ... 661
  • 제4절 고찰 및 결론 ... 686
  • 제5절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 687
  • 제6절 해외과학기술정보 수집내용 ... 688
  • 1. 영국 Royal Free Hospital의 연구 활동 ... 688
  • 2. 독일 감염병 전문병원의 연구 활동 ... 689
  • 제7절 주요 연구 변경 사항 ... 690
  • 제8절 연구비 사용내역 ... 691
  • 제9절 참고문헌 ... 691
  • 제6장 부록 ... 694
  • 1. 총괄 및 제1세부과제 ... 696
  • 2. 제3세부과제 ... 754
  • 끝페이지 ... 776

표/그림 (30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