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동북아 과학기술협력 패턴 변화에 따른 대응전략: 중국을 중심으로
Strategy to Respond to Changes in S&T Cooperation Patterns in Northeast Asia; Focused on China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titute
연구책임자 홍성범
참여연구자 김기국 , 유철 , 임상현 , 이진상 , 김병목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2-12
과제시작연도 2012
주관부처 국무총리실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과제관리전문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titute
등록번호 TRKO201900018285
과제고유번호 1105006221
사업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DB 구축일자 2020-03-21

초록

1. 서 론
□ 연구 필요성
○ 급변하는 동북아 국제기술 환경 변화에 대한 국가전략 도출 필요
- 러시아는 푸틴 재집권에 맞춰 북극항로(NSR) 개발, 야말LNG개발, 자체 위성항법시스템 GLONASS 등 역동적 정책 추진예상
- 중국은 상해협력기구(SCO), 중-아세안 FTA, 대만 ECFA, 메콩강유역개발사업 등을 통해 중국이 아닌 중화패권국가로 부활. 특히 금융위기 이후 G2로 급부상한 중국의 한국에 대한 영향력 급증
- 일본은 지진이후 대만, 아세안을 축으로 하는 신경제벨트 구상
- 중앙아시아

Abstract

3. Conclusion
The review on the evolution process of the globalization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s by country suggests the following findings. Though Canada, Japan andKorea all started off when their R&D intensity was quite low and their technologytrade was in a pre-matured stage, Canada and J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요약 ... 5
  • 목차 ... 23
  • 표목차 ... 25
  • 그림목차 ... 27
  • 제1장 서론 ... 29
  • 제1절 연구의 배경 ... 29
  • 제2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1
  • 제3절 연구의 구성 ... 33
  • 제2장 동북아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개념적 이해 ... 34
  • 제1절 동북아 국가들의 과학기술 환경 ... 34
  • 제2절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이해 ... 45
  • 제3장 국별 과학기술 국제협력정책 및 기본 현황 ... 55
  • 제1절 중국의 과학기술 국제협력 ... 55
  • 제2절 일본의 과학기술 국제협력 ... 74
  • 제3절 한국의 과학기술 국제협력 ... 90
  • 제4절 러시아의 과학기술 국제협력 및 기본 현황 ... 107
  • 제4장 동북아 역내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 ... 130
  • 제1절 중・러시아 양자 간 현황 ... 130
  • 제2절 중・일 양자 간 현황 ... 168
  • 제3절 한・일 양자 간 현황 ... 179
  • 제4절 한・중 양자 간 현황 ... 186
  • 제5장 동북아 과학기술 국제협력 패턴 분석: 중국을 중심으로 ... 199
  • 제1절 중국 기초연구 분야 국제협력 분석 ... 199
  • 제2절 중국 재생에너지산업의 국제협력 분석 ... 212
  • 제6장 동북아 과학기술협력 대응전략 ... 221
  • 제1절 경쟁과 협력의 이중주: 한·중 과기협력 ... 221
  • 제2절 중장기 원천기술협력: 한·러 과기협력 ... 225
  • 제3절 다자간 과기협력공동체 구상: 한·중·일 과기협력 ... 227
  • 참고문헌 ... 234
  • 부록1. 중국의 유형별 과학기술 국제협력 추진 현황 ... 237
  • 부록2. “11·5 규획”(2006~2010) 기간 중국 과학기술 국제협력 성과 ... 250
  • SUMMARY ... 255
  • CONTENTS ... 260
  • 끝페이지 ... 262

표/그림 (4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