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 위험과 회복력
Future Risk and Resilienc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titute
연구책임자 서지영
참여연구자 박병원 , 이성호 , 조규진 , 윤정현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4-12
과제시작연도 2014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1900018427
과제고유번호 1105008550
사업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DB 구축일자 2020-04-18

초록

□ 연구의 배경
○ 카트리나 사태, 후쿠시마 사태, 인터넷 대란 등 대규모 피해를 유발하는 복합 재난의 증가와 공공부문에서 나타난 대응능력의 취약성은 정부의 역할과 ‘예방’적 대응의 효과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계기가 됨
- 위험에 대한 개인, 지역, 국가 등 다양한 차원에서의 대응이 필요하며, 보다 자율적이면서도 체계적인 대응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형성됨
○ 위험의 통제 가능성이 불명확해지면서, 하나의 위험요소 그 자체의 차단이나 소멸이 아니라, 위험요소가 상존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 위험대응전략을 마련

Abstract

Modern society are facing extreme events and challenges such as Hurricane Katrina or Hukushima nuclear disaster. Furthermore, the accidents served as a momentum to be disclosed vulnerabilities of public sector and low response capabilities of government.

These contexts stimulate the demand fo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 간 사 ... 3
  • 목차 ... 5
  • 표목차 ... 8
  • 그림목차 ... 9
  • 요 약 ... 11
  • 제1장 서론 ... 25
  • 제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 25
  • 1. 연구의 배경 ... 25
  • 2. 정책연구에서 ‘회복력’ 연구의 필요성 ... 29
  • 제2절 연구목적 및 연구프로세스 ... 33
  • 1. 연구목적 ... 33
  • 제2장 회복력에 대한 이론적 논의 ... 37
  • 제1절 회복력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 ... 37
  • 1. 회복력의 의미 ... 37
  • 2. 회복력에 대한 이해의 다양성 ... 40
  • 3. 회복력 개념의 확장 ... 42
  • 제2절 시스템의 중첩성과 이행 ... 46
  • 1. 시스템의 중첩성과 시스템간 상호의존성 ... 46
  • 2. 시스템의 기능적 회복을 위한 기술-사회의 연계 ... 47
  • 3. 기술-사회-시스템의 중첩성 ... 48
  • 4. 기술사회시스템 이행 요인으로서 사회생태적 변화 ... 49
  • 제3절 회복력 있는 시스템의 조건 ... 53
  • 1. 회복력 있는 시스템의 구성요소 ... 53
  • 2. 회복력과 이행(Transition)의 차이와 연결성 ... 54
  • 제3장 다양한 분야에서의 회복력 향상 전략 ... 57
  • 제1절 기업의 회복력 ... 57
  • 1. 기업 경영 관점에서 회복력의 의미 ... 57
  • 2. 기업의 회복력 사례 ... 60
  • 제2절 정부의 정책기획 ... 64
  • 1. 호주 정부의 회복력 접근 ... 64
  • 2. 주요 사회인프라 회복력, 재난회복력, 지역사회회복력 ... 65
  • 3. 호주 주요 사회인프라 회복력의 거버넌스 ... 67
  • 4. 호주 정부의 회복력 정책전략 ... 68
  • 제3절 지역차원의 회복력 (도시 회복력을 중심으로) ... 75
  • 1. 도시 회복력의 정의 및 접근방법 ... 76
  • 2. 도시 회복력의 조건 ... 79
  • 제4절 회복력의 실천적 의미 ... 86
  • 제4장 국내외 연구동향 ... 91
  • 제1절 회복력 관련 연구동향 ... 91
  • 1. 회복력 연구동향 분석 개요 ... 91
  • 2. 회복력 연구동향 분석결과 ... 94
  • 제2절 회복력 관련 연구기관 동향 ... 108
  • 1. 스톡홀름 회복력 센터(Stockholm Resilience Centre) ... 108
  • 2. 스위스 연방기술연구원(ETH)의 리스크 센터(Risk centre) ... 110
  • 3. 독일 ACATECH ... 111
  • 제3절 미래위험 관련 국내 정책 연구 동향 ... 113
  • 1. 정책 연구 동향 분석 개요 ... 113
  • 2. 인구구조변화 대응 정책연구 동향 ... 113
  • 3. 기후변화 대응 정책연구 동향 ... 119
  • 제5장 사례 연구 ... 126
  • 제1절 에너지 시스템 관련 잠재 위험 ... 126
  • 제2절 회복력 관점에서 본 에너지 정책 현황 ... 128
  • 1. 한국의 에너지 현황 ... 128
  • 2. 한국 에너지 정책현황: 제2차 에너지 기본계획을 중심으로 ... 129
  • 3. 에너지 시스템의 회복력 ... 137
  • 제6장 정책적 시사점과 이슈 ... 140
  • 제1절 시사점 ... 140
  • 1. 회복력의 정책적 의미 ... 140
  • 2. 과학기술정책에의 시사점 ... 143
  • 제2절 정책 이슈 ... 147
  • 1. 기술-사회-생태계의 복합적 위험에 대응하는 통합적 위험연구개발 체계 구축 ... 147
  • 2. 주요 사회인프라 회복력 향상 전략 수립 및 위험시나리오 개발 ... 148
  • 제3절 연구개발 이슈 ... 149
  • 1. 회복력 연구의 다양성 확보 ... 149
  • 2. 위험의 측정을 위한 통합적 지표와 기준 마련 ... 150
  • 3. 기술의 위험영향평가(Technology Assessment) 연구의 다양성 및 체계성 확보 ... 151
  • 참고문헌 ... 153
  • SUMMARY ... 163
  • CONTENTS ... 167
  • 끝페이지 ... 178

표/그림 (56)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