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로운 지역개발전략으로서의 회복탄력성의 요소와 인과순환적 원형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nents and Systems Archytypes of the Resilience for the New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원문보기

한국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v.16 no.4, 2015년, pp.155 - 178  

최남희 (한국교통대학교 행정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new paradigm of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with the theory of Resilience. Resilience can be defined in terms of a set of interacted capacities to absorb and adapted to different kinds of shocks and disturbance at the regional level. This study focuses particularly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기에서는 먼저 회복탄력성의 속성이라고 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관련 연구들을 통해 검토하고 이러한 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핵심 구성요소들 도출 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핵심 구성요소들은 시스템 사고를 통해 지역개발 맥락에서 상호작용 관계를 인과순환적 피드백구조로 나타내고 그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이 논문의 주요 연구 내용으로는 첫째, 회복탄력성의 시각에서 우리나라의 지역개발 패러다임을 비판하고, 새로운 지역개발 패러다임으로서 회복탄력성의 의의와 필요성을 논의 한 후 관련 연구동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둘째, 회복탄력성의 구성요소를 탐색하고 이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지역개발의 맥락에서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시스템 사고를 통해 검토하여 인과순환적 피드백 구조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셋째, 우리나라 지역시스템의 붕괴사례들을 검토하여 지역시스템이 어떠한 회복탄력성의 한계를 갖고 있는지를 규명한 다음 지역의 회복탄력성을 제고하기 위한 지역개발 전략의 피드백 구조원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물론 회복탄력성을 높일수 있는 지역개발전략의 원형구조가 담아야 할 내용은 하위체계로 내려갈수록 매우 복잡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그림 5]와 같이 회복탄력성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지역에서 개발전략으로 추구해야 하는 인과순환적 원형구조를 탐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지역개발 패러다임으로서 회복탄력성의 다양한 개념들을 재정의 하고, 회복탄력성의 핵심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지역개발의 맥락에서 검토가능하며, 구성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은 어떠한 인과순환적 구조를 갖는지를 시스템 사고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지역시스템의 붕괴사례를 검토하여 회복탄력성을 제고하기 위한 지역개발 전략의 인과순환적 피드백 구조의 원형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의 주요 연구 내용으로는 첫째, 회복탄력성의 시각에서 우리나라의 지역개발 패러다임을 비판하고, 새로운 지역개발 패러다임으로서 회복탄력성의 의의와 필요성을 논의 한 후 관련 연구동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지역개발 맥락에서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재정의 하였으며, 회복탄력성의 구성요소를 지역개발과 연계하여 그 상호작용 관계를 시스템 사고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지역시스템의 붕괴사례들을 검토하여 지역시스템이 어떠한 회복 탄력성의 한계를 갖고 있는지를 규명하였으며, 앞에서 논의된 회복탄력성의 구성요소들 간의 상호작용 구조를 기반으로 지역의 회복탄력성을 제고하기 위한 지역개발 전략의 피드백 구조원형을 도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거제시와 강원도 고성군의 지역경제 붕괴, 충남 서해안 지방의 가뭄, 그리고 영양군의 저출산·고령화 사례를 검토하였다.
  • 둘째, 회복탄력성의 구성요소를 탐색하고 이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지역개발의 맥락에서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시스템 사고를 통해 검토하여 인과순환적 피드백 구조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셋째, 우리나라 지역시스템의 붕괴사례들을 검토하여 지역시스템이 어떠한 회복탄력성의 한계를 갖고 있는지를 규명한 다음 지역의 회복탄력성을 제고하기 위한 지역개발 전략의 피드백 구조원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회복탄력성의 구성요소들은 회복탄력성의 연구 분야와 개념정의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는 먼저 회복탄력성의 속성이라고 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관련 연구들을 통해 검토하고 이러한 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핵심 구성요소들 도출 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핵심 구성요소들은 시스템 사고를 통해 지역개발 맥락에서 상호작용 관계를 인과순환적 피드백구조로 나타내고 그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한편, 회복탄력성에 대한 국내 연구들은 대부분이 재난 및 공공정책 분야에서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소개하고 있는 연구들이며(류현숙 외, 2009; 정지범 외, 2009; 김현주, 2012;전대욱, 2013; 서지영 외, 2014; 강수영, 2015), 일부 연구들이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지역개발 맥락에서 검토하거나, 적용방안을 탐색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시스템다이내믹스 관점에서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새로운 지역개발전략의 원형을 탐색하고자하는 본 연구와 관련성이 큰 연구들을 중심으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여기에서는 앞에서 살펴 본 바 있는 우리나라 지역의 회복탄력성의 한계를 극복할 수있는 지역개발 전략의 인과순환적 원형구조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물론 회복탄력성을 높일수 있는 지역개발전략의 원형구조가 담아야 할 내용은 하위체계로 내려갈수록 매우 복잡하다.
  •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지역개발 패러다임은 지역사회․경제시스템을 갑작스러운 외부의 충격과 교란으로부터 견뎌낼 수 있는 견고성을 기르고, 빠르게 적응하여 스스로 복구할 수 있는 회복탄력성을 길러주지 못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전통 적인 지역개발 패러다임으로는 적응, 회복하기 어려운 지역사회․경제․환경시스템의 붕괴위기 사례들을 통해 우리나라 지역시스템이 갖고 있는 회복탄력성의 한계가 어떠한 요소에 의해서 초래되고 인과순환적 구조를 갖는가를 시스템 사고를 통해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거제시와 강원도 고성군의 지역경제 붕괴, 충남 서해안 지방의 가뭄, 그리고 영양군의 저출산·고령화 사례를 검토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먼저 우리나라 지역개발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기후변화, 글로벌 경기 침체, 에너지 시장의 불안정, 고령화 등과 같은 환경변화로 인해 지역이 받는 재난재해, 지역경제 붕괴, 지역공동체 소멸 등과 같은 충격으로부터 빠르게 지역사회․경제․생태시스템을 회복하기 위한 개발전략이 선호되고 있는가를 검토하고, 그 한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우리나라의 지역이 직면하고 있는 지역사회․경제․생태시스템의 붕괴라는 충격으로부터 국가적, 지역적으로 ‘회복탄력성’을 높이고자 하는 의미가 전략적으로 고려되거나 선호되고 있는가의 여부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충격의 발생부터 시스템의 성능이 붕괴되고 붕괴된 시스템의 성능이 회복탄력성을 통해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거나 보다 진화된 차원으로 전환하는 동태적이고 복잡한 과정을 인과순환적 피드백 구조로 분석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림 3] 의 피드백 구조들은 회복탄력성의 구성요소들과 시스템 붕괴 및 회복 수준 간의 상호작용에 내재되어 있는 중요한 양의 피드백 루프와 음의 피드백 루프를 탐색하여 나타낸 것이다.
  • 또한, 우리나라 지역시스템의 붕괴사례를 검토하여 회복탄력성을 제고하기 위한 지역개발 전략의 인과순환적 피드백 구조의 원형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의 주요 연구 내용으로는 첫째, 회복탄력성의 시각에서 우리나라의 지역개발 패러다임을 비판하고, 새로운 지역개발 패러다임으로서 회복탄력성의 의의와 필요성을 논의 한 후 관련 연구동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둘째, 회복탄력성의 구성요소를 탐색하고 이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지역개발의 맥락에서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시스템 사고를 통해 검토하여 인과순환적 피드백 구조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 지역개발 맥락에서 회복탄력성을 연구한 대표적인 사례로는 하수정 외(2014)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 회복력 진단과 활용 방안 연구’를 들 수 있다. 이 연구는 지역회복력(Regional Resilience)의 개념을 국토와 지역 정책에 실증적으로 적용하여 취약성지수와 회복력지수를 통해 지역회복력을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토 및 지역 회복력 강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하수정(2015: 27-45)은 해외 지역발전 관련 학계 및 정책 입안자들 사이에서는 지역 회복력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회복탄력성의 개념이 최근에서야 도입되기 시작하고 있으며, 예측하기 어려운 외부적 위기나 충격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지역의 구조와 관련 정책에 대한 논의는 전무한 실정 임을 언급하고 있다.
  • 이 연구에서는 회복탄력성이라는 시각에서 전통적 지역개발 전략을 비판하고, 새로운 지역개발 패러다임으로서 회복탄력성 기반의 지역개발 전략의 의의와 필요성을 논의하였다.이 논문에서는 지역개발 맥락에서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재정의 하였으며, 회복탄력성의 구성요소를 지역개발과 연계하여 그 상호작용 관계를 시스템 사고를 통해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지역개발 패러다임으로서 회복탄력성의 다양한 개념들을 재정의 하고, 회복탄력성의 핵심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지역개발의 맥락에서 검토가능하며, 구성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은 어떠한 인과순환적 구조를 갖는지를 시스템 사고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지역시스템의 붕괴사례를 검토하여 회복탄력성을 제고하기 위한 지역개발 전략의 인과순환적 피드백 구조의 원형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의 일차적인 초점은 앞에서 살펴 본 회복탄력성의 구성요소들이 회복탄력성의 수준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인과순환적 상호작용구조를 통해 탐색하는데 있다.즉,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스템 성능의 비선형적인 회복 수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회복탄력성의 구성요소들 간에는 회복탄력성(적응 등)과 관련하여 상호작용 관계가 존재하는데(Bonstrom et al., 2014),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인과순환적 피드백 구조를 통해 살펴 보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회복탄력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이 부분에 대하여 회복탄력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일방향적 관계로만 설명하고 있을 뿐시스템 사고를 통해 다차원적인 상호작용의 피드백 구조를 설명하고 있지는 않다.
  • 즉, 우리나라의 지역이 직면하고 있는 지역사회․경제․생태시스템의 붕괴라는 충격으로부터 국가적, 지역적으로 ‘회복탄력성’을 높이고자 하는 의미가 전략적으로 고려되거나 선호되고 있는가의 여부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인 지역개발 정책의 목표는? 전통적인 지역개발 정책의 목표는 지역의 사회경제적 인프라를 확충하고, 이를 기반으로 산업경제활동을 활성화 시키거나 정주여건을 개선하는데 있었다. 그러나 세계적인 경기 쇠퇴와 저성장, 저출산과 고령화, 기후변화, 그리고 각종 재난재해 등으로 인해 지역의 위기와 충격이 증폭되고 있어 새로운 접근시각에서 지역개발 정책이 모색되어야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새로운 접근시각에서 지역개발 정책이 모색되어야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사회적 배경은 무엇인가? 전통적인 지역개발 정책의 목표는 지역의 사회경제적 인프라를 확충하고, 이를 기반으로 산업경제활동을 활성화 시키거나 정주여건을 개선하는데 있었다. 그러나 세계적인 경기 쇠퇴와 저성장, 저출산과 고령화, 기후변화, 그리고 각종 재난재해 등으로 인해 지역의 위기와 충격이 증폭되고 있어 새로운 접근시각에서 지역개발 정책이 모색되어야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역시스템이 갖고 있는 구조는? 이 논문의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지역은 위험사회의 소용돌이 속에서 언제나 커다란 충격에 붕괴될 가능성이 있음에도 지역개발 전략은 여전히 개발시대의 패러다임에 갇혀있으며,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것이 곧 지역개발이라는 접근시각이 결여되어 있다고 판단된다.특히, 우리나라 지역사회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지역사회경제시스템의 붕괴사례를 검토한 결과에 따르면 지역시스템 자체가 충격에 견디기 어려운 내생적인 구조적 취약성을 갖고 있었으며,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견고성, 자원동원성, 가외성, 신속성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이 발현되기 어려운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강상준. (2014). "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자연재해로부터 커뮤니티 회복탄력성 개념의 재정립". GRI 연구논총 제16권 1호: 321-341. 

  2. 강수영. (2015). "회복력(Resilience) 요인에 따른 사회생태계의 재난복구과정 구현". 한국지역지리학회 학술대회발표집, 129-133. 

  3. 김동환. (2004). 시스템 사고. 선학사. 

  4. 김묵한. (2014). "회복탄력성 도시". 세계와 도시 제7호: 82-86. 

  5. 김재홍. (2014). "정부 3.0 시대의 지역발전 전략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국토 1월호, 통권 387호: 52-58. 

  6. 김현주. (2012). 지역사회 방재리질리언스 프레임워크 개발. 국립방재연구원. 

  7. 김현호.이소영.오은주.이원섭. (2010). 미래환경변화에 대응한 지역발전전략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8. 마이클 루이스.팻 코너티(저), 미래가치와 리질리언스 포럼(역). 전환의 키워드, 회복력 위기의 시대를 살아가기 위한 12가지 이야기. 따비. 

  9. 맹태훈. (2015). "위기의 계룡시, 인구 4만명 '붕괴'". 시사충청. 8월13일자. 

  10. 방설아.신유승. (2015). Goal 11 - 회복력있고 지속가능한 도시와 거주지 조성. 연구보고서, 217-238. 

  11. 변창욱. (2015). "지역경제 회복력의 개념과 정책방향". 국토, 2월호, 통권 400호: 11-16. 

  12. 서지영.조규진. (2014). "회복력(Resilience)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과 이슈". STEPI Insight 제147호: 1-32. 

  13. 서지영. (2015). "회복력의 구성요소와 실행방향". 국토 2월호, 통권 400호: 6-10. 

  14. 세계일보. (2013). "농촌인구 유출.고령화... 고향 마을이 사라진다". 9월23일자. 

  15. 세계일보. (2015). "[사설] 가뭄 이겨낼 근본적인 물관리 대책 세워야". 10월 7일자. 

  16. 연합뉴스. (2014). "지역개발 주도권 중앙서 지방으로...패러다임 바뀐다". 3월12일자. 

  17. 영양군. (2013). 2013. 영양군 통계연보. 

  18. 오은열.변혜선.채성주.이미홍.김태병.장철순. (2015). "지역개발제도의 통합과 의미". 도시정보 통권 제399호(2015-06): 4-15. 

  19. 유현숙 외. (2009). 재난에 강한 사회시스템 구축: 복원력과 사회적 자본. 정지범.이재열(편). 서울: 법문사. 

  20. 월간중앙. (2014). "주민소득 전국 1위 '조선(造船) 도시'의 비명소리 - 수만 명 잘린다는데...불황공포 거제를 덮치다". 12월호. 11월30일자. 

  21. 이양수. (2009). "참여정부와 신정부의 지역개발정책 평가와 전망". 한국지방자치연구 제10권 4호: 25-46. 

  22. 이용균. (2014). "지역개발 패러다임의 변화와 미래 개발의 방향". 한국지리학회지, 3(2), 147-157. 

  23. 장원봉. (2015). "지역재생을 위한 사회적 경제의 의미와 역할". 국토 11월호, 통권 409호: 5-11. 

  24. 전대욱. (2013). "시스템의 회복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의 적용". 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제14권 2호: 5-30. 

  25. 전대욱.전진형. (2014). "가리왕산 스키장 건설을 둘러싼 논쟁과 생태관광의 회복력 (resilience)에 대한 시스템 사고".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15권3호: 61-79. 

  26. 전대욱. (2015a). "지역공동 회복력 (Community Resilience)의 개념과 적용방안". 국토 2월호, 통권400호: 34-39. 

  27. 전대욱. (2015b). "회복력(resilience) 이론의 경제적 적용". 2015년도 제4차 지역정책포럼(지역회복력(resilience) 및 위기관리 관점에서의 새로운 지역산업정책의 모색) 발표자료. 한국지역정책학회: 1-25. 

  28. 정지범.이재열.김은성 외 4인. (2009). 재난에 강한 사회시스템 구축. 한국행정연구원 사회위험.안전관리 연구총서, 09-34-04. 파주: 법문사. 

  29. 조한종. (2015). "금강산 관광 중단 7년, 지역경제 시간 갈수록 피폐...가정 붕괴되는 현실에 눈물...정부가 나서 희망불씨 지펴야". 서울신문. 7월7일자. 

  30. 최병호. (2014). "예산 늘었지만 비전은 실종..지역개발 계획 논란". 뉴스토마토. 12월2일자. 

  31. 최남희.이종근.김근세.이명석. (2014). "우리나라 군지역의 고령화 위기와 동태성의 인과순환적 구조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제15권 1호: 75-96. 

  32. 하수정.남기찬.민성희.전성제.박종순. (2014).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 회복력 진단과 활용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33. 하수정. (2015).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 회복력 진단과 활용 방안". 한국지역정책학회 2015년도 제4차 지역정책 포럼, 27-45. 

  34. 행정자치부. (2015). 주민등록 인구통계. 11월. 

  35. 허재완. (2015). "새로운 지역개발제도". 도시정보 6월호(No. 399): 2-3. 

  36. MBC 뉴스. (2015). "'수도권 젖줄' 소양강댐.충주댐 가뭄 비상". 뉴스. 11월 4일자. 

  37. Springe. (2013). Resilience in Ecology and Urban Design Linking Theory and Practice for Sustainable Cities. Springer. 4-15. 

  38. Bonstrom, H., & Corotis, R. B. (2014). First-order reliability approach to quantify and improve building portfolio resilience.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C4014001. 

  39. Bristow, G.(2010). Resilient regions: re-'place'ing regional competitiveness.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no. 3(1): 153-167. 

  40. CARRI.(2011). Community Resilience System Initiative(CRSI) Final Report. A CARRI Report. 

  41. CARRI.(2013). Definitions of Community Resilience: An Analysis. A CARRI Report. 

  42. Dawley, S., Pike, A., & Tomaney, J. (2010). Towards the resilient region?. Local Economy, 25(8), 650-667. 

  43. Grosvenor. (2014). Resilient cities: a Grosvenor research report. (http://www.grosvenor.com, 2015년 10월31일 확인) 

  44. Holling, C. (1973). Resilience and stability of ecological system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4: 1-23. 

  45. Pinto, H. (Ed.). (2015). Resilient Territories: Innovation and Creativity for New Modes of Regional Development.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46. Leanne Seeliger, Ivan Turok.(2013). Towards Sustainable Cities: Extending Resilience with Insights from Vulnerability and Transition Theory. Sustainability, 5, 2108-2128. 

  47. Martin, R. (2012). Regional economic resilience, hysteresis and recessionary shocks.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no. 12(1): 1-32. 

  48. O'Rourke, T. (2007). Critical Infrastructure, Interdependencies, and Resilience. The Bridge, no.37(1): 22-29. 

  49. Perloff, H. S. (1963). How a region grows. Committee for Economic Development. 

  50. Silva, D.J., B. Morera. (2014). City Resilience Index: City Resilience Framework. London, U.K.: Ove Arup & Partners International. 

  51. Seeliger, L., & Turok, I. (2013). Towards sustainable cities: extending resilience with insights from vulnerability and transition theory. Sustainability, 5(5): 2108-2128. 

  52. Walker, B., D. Salt (2006). Resilience Thinking: Sustaining Ecosystems and People in a Chaing World. Washington DC, USA: Island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