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 트렌드와 한국: 과학기술적 대응역량 진단
Global Trends and Korea: Assessment on Science and Technological Readines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titute
연구책임자 윤정현
참여연구자 박병원 , 정다예 , 최수민 , 서용석 , 최연구 , 이승협 , 김성진 , 송태은 , 최은창 , 김정원 , 장성일 , 장보원 , 변성호 , 유성민 , 김미현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7-12
과제시작연도 2017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과제관리전문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titute
등록번호 TRKO201900018449
과제고유번호 1105013031
사업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DB 구축일자 2020-04-18

초록

5.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분석 결과, 한국적 맥락에서의 중요도와 기술개발을 통한 해결가능성이 높은 22개 선별 이슈 전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문제는 R&D 정책 프로세스의 효율성, 규제의 유연성, 인프라 수준이 다른 평가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것

○ R&D 수행 주체라 할 수 있는 대학, 연구소, 기업들의 혁신적 성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부의 일관된 정책 수립과 법․규제의 보완이 필요
- 이 문제는 자율주행 차량, 휴머노이드 로봇과 같이 새로운 신기술 시스템의 개발 뿐만 아니라

Abstract

Recently, Korean society faces serious challenges such as sudden changes in domestic and foreign politics and economic uncertainty. The threat of North Korea, US-China tensions, and instability in Northeast Asia make it hard to predict the fate of Korea. In addition, the recent wave of protectionism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 간 사 ... 3
  • 목차 ... 5
  • 표목차 ... 10
  • 그림목차 ... 12
  • 요 약 ... 19
  • 제1장 서론 ... 39
  •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39
  • 1. 연구 배경 ... 39
  • 2. 연구 목적 ... 42
  • 제2절 연구 프로세스 ... 43
  • 1. 연구 방법 ... 43
  • 2. 연구 추진 프로세스 ... 45
  • 제2장 트렌드 분석의 이해 ... 46
  • 제1절 메가트렌드, 트렌드, 이슈의 주요 개념 ... 46
  • 1. 메가트렌드와 트렌드 ... 46
  • 2. 이머징 이슈(Emerging Issue) ... 47
  • 3. 트렌드를 보는 관점 및 주요 접근법 ... 49
  • 4. 이머징 이슈, 트렌드와 메가트렌드 간의 관계 ... 50
  • 제2절 미래이슈탐색(Horizon Scanning) 활동 ... 51
  • 1. 미래이슈탐색 활동의 이론적 배경, 기능 ... 51
  • 2. 국내의 미래이슈탐색 활동 ... 55
  • 제3장 글로벌 트렌드 메타 분석 ... 57
  • 제1절 주요 글로벌 트렌드 보고서 분석 ... 57
  • 1. 미국 NIC Global Trends “Paradox of Progress” ... 57
  • 2. VERA Project ... 63
  • 3. EU ESPAS ... 69
  • 4. BOHEMIA Project ... 74
  • 5. Global Risks 2035 ... 81
  • 6. The Millennium Project(State of the Future) ... 88
  • 7. Z-punkt 메가트렌드 ... 97
  • 제2절 국내 중장기 미래예측 보고서 분석 ... 103
  • 1. 한국정보화진흥원(NIA) 한국사회의 15대 메가트렌드 ... 103
  • 2. KISTEP 제5회 과학기술예측조사 ... 111
  • 3.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중장기 정책과제 보고서’ ... 117
  • 4. STEPI 미래이슈탐색 시스템 ... 120
  • 제3절 글로벌 트렌드의 메타 분석 결과 ... 122
  • 1. 주요 중장기 글로벌 트렌드 종합 ... 122
  • 2. 연관 키워드별 클러스터링 ... 124
  • 제4장 14대 핵심 트렌드 분석 ... 129
  • 제1절 그린이코노미로의 이행 ... 129
  • 1. 그리노믹스의 부상 ... 129
  • 2. 녹색협약체제의 확산 ... 134
  • 3. 재생에너지 개발의 확대 ... 139
  • 4. 녹색 소비운동의 확산 ... 146
  • 제2절 저탄소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 ... 150
  • 1. 에너지 수급의 불안정 ... 150
  • 2. 신에너지 개발 확대 ... 155
  • 3. 에너지 효율화 경쟁의 확대 ... 160
  • 제3절 기후변화의 도전 ... 165
  • 1. 자원안보 이슈의 부상 ... 165
  • 2. 기후복지 이슈의 부상 ... 171
  • 3. 신기후체제로의 이행 ... 176
  • 제4절 스마트 시티의 부상 ... 182
  • 1. 메가시티의 확대 ... 182
  • 2. 지능형, 자립형 도시의 부상 ... 186
  • 3. 지속가능한 도시기능의 확대 ... 192
  • 제5절 고용 불안의 확산 ... 197
  • 1. 노동 인구 구조의 변화 ... 197
  • 2. 스마트 팩토리의 확산 ... 204
  • 3. 인간 노동의 지식화 및 정보화 ... 210
  • 제6절 사회적 불평등의 확대 ... 217
  • 1. 경제적 양극화의 심화 ... 217
  • 2. 의료서비스 혜택의 불평등 확대(건강 불평등의 확대) ... 221
  • 3. 정보 불평등으로 인한 정치적·사회적 불안 증가(정보 격차) ... 225
  • 제7절 초고령 사회의 도래 ... 229
  • 1. 전 지구적 고령화의 진전 ... 229
  • 2.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재정압박 심화 ... 234
  • 3. 청년세대와 고령세대 간의 세대 간 갈등 심화 ... 239
  • 제8절 네트워크 경제의 심화 ... 244
  • 1. 블록체인 혁명 ... 245
  • 2. 공유경제의 확산 ... 255
  • 3. 네트워크 규제 및 보안이슈 증가 ... 261
  • 제9절 디지털 문화의 확산 및 다원화 ... 266
  • 1. 디지털 문화기술과 콘텐츠의 확산 ... 266
  • 2. 새로운 사이버 집단 정체성의 부상 ... 271
  • 3. 휴머노이드 로봇의 사회적 인간관계 대체 ... 276
  • 제10절 기술융합 ... 283
  • 1. 사이버-물리시스템(CPS)이 만나는 사회시스템 변화 ... 283
  • 2. 사물인터넷 시대의 보안과 프라이버시 보호 ... 287
  • 3. 유전자 교정기술의 확대와 생명 윤리 논쟁의 심화 ... 290
  • 제11절 자동화 및 인공지능 기반 시대의 도래 ... 293
  • 1. 자율주행차량의 사고 책임과 규제이슈 부상 ... 293
  • 2. 로봇이용의 확대와 로봇세 ... 297
  • 3. 인공지능의 윤리와 알고리즘 거버넌스 이슈의 부상 ... 300
  • 제12절 개인 역량의 확대 및 정치 패러다임 변화 ... 305
  • 1. 시민관여의 증대 ... 305
  • 2. 개인의 사회적 지위 향상 ... 312
  • 3. 전통적 패러다임의 변화 ... 315
  • 제13절 신흥 안보이슈의 부상 ... 319
  • 1. 사이버 보안과 사이버 안보문제의 도전 ... 319
  • 2. 테러와 대량살상무기 위협의 증대 ... 324
  • 3. 보건안보와 인간안보 논의의 발전 ... 331
  • 제14절 전통적 거버넌스 체계의 약화 ... 335
  • 1. 국가-중앙정부의 통제력 약화 ... 335
  • 2. 신 교역 시스템에 대한 국제 거버넌스 필요성 증대 ... 339
  • 3. 국제 질서의 불확실성 심화 ... 345
  • 제5장 글로벌 트렌드의 한국적 시사점 ... 352
  • 제1절 핵심 트렌드에 대한 대국민․전문가 설문조사 ... 352
  • 1. 조사 방법 ... 353
  • 2.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 ... 356
  • 3.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 374
  • 제2절 분석의 시사점 ... 393
  • 1. 한국적 중요도와 기술개발을 통한 해결가능성이 높은 이슈 ... 393
  • 2. 관련 R&D 시스템의 전반적 개선이 시급한 주요 이슈 ... 395
  • 3. 관련 R&D 인프라의 투자 확충이 시급한 주요 이슈 ... 396
  • 4. 규제의 유연화 및 법제도 보완이 시급한 이슈 ... 397
  • 5. 각 부문별 균형있는 대응 수준을 보여주는 이슈들 ... 400
  • 6. 신기술 개발시 고려해야할 요소들(22개 선정 이슈) ... 404
  •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412
  • 제1절 결론 ... 412
  • 제2절 정책적 시사점 ... 415
  • 참고문헌 ... 419
  • 부록 ... 437
  • 1. 설문조사지 세부 내용 ... 437
  • 2. 대국민 설문 응답자 분포 ... 447
  • 3. 대국민 설문 이슈별 우려 사항 기타 응답 (무응답 이슈 제외) ... 451
  • 4. 전문가 설문 응답자 분포 ... 460
  • 5. 전문가 설문 이슈별 위험요소 기타 응답 (무응답 이슈 제외) ... 460
  • 6. 이슈별 전문가/대국민 위험요소(우려 사항) 비교 ... 462
  • Summary ... 467
  • Contents ... 469
  • 끝페이지 ... 486

표/그림 (19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