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R&D연구보고서]과학기술인재 육성을 위한 정책방향: 행동경제학 및 젠더 측면을 고려한 융합적 고찰 How to nurture human capital in STEM fields? Lessons from gender and be havioral economics원문보기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본 연구의 목표는 융합적인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여성의 과학기술분야 참여를 결정하는 요인 및 정책적 대안점을 찾는데 두고 있다. 여성의 과학기술분야 선택에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이 다수 존재할 수 있으나, 본 연구는 이중에서 협업(collaboration)에 한정하여 연구를 계획하였다. 최근 이공계 학술분야 전반에서 협업의 중요성이 배가되고 있다. 협업은 무작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연구자의 네트워크 안에서 결정되는 점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여성 연구자에 불이익이 있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본 연구의 목표는 융합적인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여성의 과학기술분야 참여를 결정하는 요인 및 정책적 대안점을 찾는데 두고 있다. 여성의 과학기술분야 선택에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이 다수 존재할 수 있으나, 본 연구는 이중에서 협업(collaboration)에 한정하여 연구를 계획하였다. 최근 이공계 학술분야 전반에서 협업의 중요성이 배가되고 있다. 협업은 무작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연구자의 네트워크 안에서 결정되는 점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여성 연구자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고 예상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협업 증진이 여성들의 STEM fields 참여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를 젠더와 행동경제학적 측면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본 연구팀은 학문적 연구결과로 총 두 편의 논문을 완성하였다. 한 편은 학진등재지 “노동경제논집”에 게재하였으며, 다른 한 편은 국제 저명학술지인 “Research Policy”에 최종심사 중이다. 여성의 저조한 STEM fields 참여에 대한 매커니즘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팀은 고등학교에서의 계열 선택의 성별차이에 주목했다. 고등학교에서의 문과/이과 계열 선택이 학생의 최종 career choice를 의미하지는 않지만, career choice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대학 전공선택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 해당 연구는 여학생과 남학생이 그들의 상대 성적(relative performance)에 다르게 반응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여학생의 경우 수학 성적이 동일한 경우에도 동료들과 대비해 상대 순위가 높을 경우 남학생에 대비해 이과에 진학할 확률이 약 11%pts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는 협업 증진이 여성들의 STEM fields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며, “Research Policy”의 주편집장인 B.Martin 교수로부터 “수정 후 재투고”하라는 결과를 받아 현재 최종 심사 중이다. 본 논문은 각 학술분야 및 연도별로 출간된 논문의 평균적인 공저자수를 협업의 대리변수(proxy)로 사용하여 이 변수가 신규박사 취득자들 중 여성의 비율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상관관계가 아닌 인과관계를 도출하기 위하여 실증경제학 방법에서 이용하는 패널데이터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공저자의 수가 1명 증가하는 것이 여성 박사의 비율을 2.5%pts 상승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학술분야에서의 협업 증가가 여성들의 참여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본 연구팀은 학술연구 결과의 정책적 외연을 확장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다수의 국·내외 교류를 수행하였다. 첫째, 가장 권위 있는 경제학회 중 하나인 미국 전미경제학회(AEA)에서의 논문발표를 진행하였다. 학회 기간 중 AEA 산하의 위원회인 전미여성경제학회(CSWEP)의 세션에 참가하여 발표 및 정책협의도 함께 진행하였다. 둘째로 미주개발은행(IDB)의 수석연구자 Dr.Busso와 한 달간의 공동연구를 추진하였다. 한국과 중남미 국가들에서의 여성 STEM fields 참여를 살펴봄으로써 연구범위를 확장시키고자 했다. 셋째, 국내의 경우 2018년 2월부로 조세재정연구원의 “4차산업과 재정정책 분과”위원으로 임명되어 여성 과학기술인력 증진에 대한 조언을 전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2018년 5월 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래인재양성과의 담당 과장과 소규모 세미나가 예정되어 있어, 정책자문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출처 : 한글요약문 4p)
Abstract▼
□ Purpose& contents Using econometric techniques, we establish the causal effect of collaboration on female representation across academic fields. We narrow our focus to the U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on, as measured by co-authorship, and women’s representation in acad
□ Purpose& contents Using econometric techniques, we establish the causal effect of collaboration on female representation across academic fields. We narrow our focus to the U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on, as measured by co-authorship, and women’s representation in academic disciplines. We use data from the NSF on the annual number of doctorate recipients by gender in 30 academic fields for the past 40 years. To measure collaboration, we use data from the Web of Science to compute the mean number of authors per article. Using this data, we will estimate regression models, controlling for time- and field-fixed effects.
□ Result We successfully reached our goals as follows. As for the academic goals, we completed two papers - one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Labor Economics,” and the other under review at “Research Policy”, a well-renounced international journal. To examine the underlying mechanisms behind the underrepresentation of women in STEM fields, we first started the gender differences in track choices that take place in high schools. In South Korea, students need to choose either Humanities/Social Studies track or Science/Engineering track. Although this track choice does not bind the student’s career choice, the track choice stills effectively constrains student’s college major choices, ultimately affecting career choice. Based on this observation, we analyze the hypothesis that girls and boys may react differently to relative performance conditional on their abilities. Indeed, we find that conditional on their math scores, girls who are ranked above their peers are 11% pts more likely to choose the Science/Engineering track compared to boys. The other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llaboration on female representation across academic fields. We submitted this paper to the “Research Policy” and got “revise and resubmit” from the main editor. We resubmitted it for the review in Jan 2018. Using panel data. We find that one additional author on the average paper published in a field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of 2.5% pts in the female share of Ph.D. recipients. This relationship implies that increased collaboration can account for around 30% of the rise in female share during our sample period. Our data suggest that the recent rise in coauthorship could be beneficial to female representation in academic fields.
□ Expected Contribution In addition to the academic contribution explained above, we conducted multiple activities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our academic findings and reach out policy makers as follows. First, we presented the main paper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AEA meeting herein). During the conference, we participated in the special session hosted by the official subcommittee under the AEA promoting gender diversity, called CSWEP, and reported the results. Second, we were invited by the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IDB) for one month and started research initiatives to further study the female representation in STEM fields. Third, we are invited to be a member of professional networks form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As a network member, we conduct a policy report discussing lessons to help South Korea equipped with well-educated STEM professionals – particularly among women. Finally, we initiated policy dialogue with government officials at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who are in charge of STEM educations. We will have a small-group conference with them in early May 2018.
(출처 : SUMMARY 5p)
목차 Contents
표지 ... 1
목차 ... 2
연구계획 요약문 ... 3
연구결과 요약문 ... 4
한글요약문 ... 4
SUMMARY ... 5
연구내용 및 결과 ... 6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6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8
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 8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10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13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정보 ... 13
7. 주관연구책임자 대표적 연구실적 ... 13
8. 참고문헌 ... 14
9. 연구성과 ... 15
10.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 18
11.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 18
12. 기타사항 ... 18
[별첨1] 대 표 연 구 실 적 ... 19
[별첨2] 세부 목표 관련 증빙 ... 21
끝페이지 ... 30
참고문헌 (25)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