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부장적 가정의례 문화의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 장례문화를 중심으로
Research on Policy Measures to Improve Patriarchal Family Ritual Systems: Focus on Funeral Cultur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송효진
참여연구자 선보영 , 최진희 , 성경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9-10
과제시작연도 2019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2000005552
과제고유번호 1105014745
사업명 한국여성정책연구원(R&D)
DB 구축일자 2020-07-29
키워드 장례.가정의례.상례.가부장적 장례문화.무연고 장례.고비용 장례문화.대안적 장례.

초록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성별 위계와 차별적 구분 없는 장례문화로
○ 시대에 맞지 않는 가부장적이고 성 불평등한 장례문화는 개선이 시급함. 호주제가 폐지된 지 십년이 지났으나 여전히 우리 일상에 깊숙이 남아 있는 가부장적 가족 문화가 상업화된 장례시스템을 통하여 구시대적인내용의 법제의 지지 하에 장례에서 소환되고・재연되는 현실을 바로 잡기 위해서는 정책적・제도적 노력이 필요함.

가. 장례인력 양성과정에 다양한 가족에 대한 이해와 성인지 감수성을 높일 수 있는 커리큘럼 포함
○ 장례지도사 등 장례인력

Abstract

Funeral rituals, among families, have acted as a mechanism in which gender inequalities are maintained and reconfirmed via patriarchal formalities and procedures. Despite that, in the name of traditions, customs, and a private family culture, they have been overlooked or passively supported in the c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4
  • 연구요약 ... 5
  • 목차 ... 27
  • 표목차 ... 30
  • 그림목차 ... 32
  • Ⅰ. 서 론 ... 34
  • 1. 연구 배경 및 목적 ... 35
  • 2. 연구 내용과 방법 ... 37
  • 가. 연구 내용 ... 37
  • 나. 연구 방법 ... 37
  • Ⅱ. 장례문화 관련 법제 및 정책 ... 38
  • 1. 장례문화 관련 우리나라의 주요 법제 및 정책 ... 39
  • 가. 장사 등에 관한 법률 및 관련 제도 운용 ... 39
  • 나. 장제비 지원 관련 법제 및 관련 제도 운용 ... 57
  • 다. 건전가정의례의 정착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및 관련 제도 운용 ... 59
  • 2. 장례 관련 외국 법제 및 정책 사례: 일본과 대만을 중심으로 ... 62
  • 가. 일본의 장례문화의 대안적인 방안 ... 62
  • 나. 일본의 무연고자 장례 및 비혈연 가족구성원에 의한 장례에 대한 법제・정책 현황 ... 80
  • 다. 외국의 공적부조체계에서의 장제비 지원 등의 사례 ... 83
  • 라. 시사점 ... 87
  • Ⅲ. FGI를 통해 본 장례 문화 ... 90
  • 1. 초점집단인터뷰(FGI) 개요 ... 91
  • 2. FGI 결과 분석 ... 93
  • 가. 가부장적이고 성 불평등한 장례문화 ... 93
  • 나. 장례의 기억 ... 105
  • 다. 도전받는 장례: 변화하는 의식, 가족 ... 117
  • 라. 바라는 장례, 장례의 의미: 본질의 회복과 다양성의 확대 ... 124
  • 마. 장례의 본질: 다시 장례를 이야기하다 ... 129
  • 바. 장례문화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 의견 ... 131
  • 3. 소결 ... 136
  • Ⅳ. 한국 장례문화에 대한 인식 조사 ... 138
  • 1. 조사 개요 ... 139
  • 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39
  • 2. 한국 장례문화의 실태 ... 142
  • 가. 성 불평등성에 대한 인식 및 태도 ... 142
  • 나. 형식 및 절차에 대한 인식 및 태도 ... 155
  • 3. 대안적인 장례문화 및 정책 ... 168
  • 가. 성 평등한 장례문화 및 관련 정책 ... 168
  • 나. 대안적인 장례 방식 및 관련 정책 ... 176
  • 4. 소결 ... 184
  • Ⅴ. 결론 및 정책제언 ... 185
  • 1. 성별 위계와 차별적 구분 없는 장례문화로 ... 186
  • 가. 장례인력 양성과정에 다양한 가족에 대한 이해와 성인지 감수성을 높일 수 있는 커리큘럼 포함 ... 186
  • 나. 성 불평등한 장례문화 개선을 위한 연구 및 대안적 장례 콘텐츠 개발 ... 188
  • 다. 헌법 가치에 맞지 않는 가부장적이고 성 불평등한 장례문화 관련 법제의 개선 ... 189
  • 라. 성평등한 장례문화 확산을 위한 홍보・캠페인 ... 189
  • 2. 가부장적 혈연가족에서 다양한 개인과 가 ... 190
  • 가. 가족 형태와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최소한의 추모 보장 ... 190
  • 나. 가족관계 변동에 따른 가족범위 확장 ... 191
  • 다. 후견제도의 보완 등-사후자기결정권 보장을 위한 제도적 보완 ... 192
  • 3. 의례와 절차 중심의 장례에서 추모와 애도가 있는 장례로 ... 193
  • 가. 고비용 장례문화 개선 ... 193
  • 나. 죽음과 장례에 관한 일상적 준비를 지원하는 사회분위기/문화 조성 ... 194
  • 참고문헌 ... 195
  • 부록 ... 202
  • 장례문화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설문지) ... 203
  • Abstract ... 210
  • 끝페이지 ... 216

표/그림 (5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