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연구책임자 |
전종홍
|
참여연구자 |
임원봉
,
심규원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9-10 |
과제시작연도 |
2019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연구관리전문기관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
등록번호 |
TRKO202000029879 |
과제고유번호 |
1475011078 |
사업명 |
의료기기등안전관리(R&D) |
DB 구축일자 |
2020-09-26
|
키워드 |
사물인터넷.웰니스.3D프린팅.스마트 헬스케어.표준화.IoT.Wearable.3D printing.IoMT.Smart Healthcare.
|
초록
▼
스마트 헬스케어란 헬스케어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3D 프린팅 등의 기술들이 융합된 새로운 개념으로, 기존의 헬스케어 영역에서 더 나아가 언제 어디서나 개인이 손쉽게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어 최근 각광받는 분야이다.
헬스케어 분야는 전통적인 병원중심의 의료산업 영역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을 의료분야에 결합하여 다양한 수요자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형태의 건강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들로 발전되어 왔다(표1). 특히 최근에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웨
스마트 헬스케어란 헬스케어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3D 프린팅 등의 기술들이 융합된 새로운 개념으로, 기존의 헬스케어 영역에서 더 나아가 언제 어디서나 개인이 손쉽게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어 최근 각광받는 분야이다.
헬스케어 분야는 전통적인 병원중심의 의료산업 영역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을 의료분야에 결합하여 다양한 수요자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형태의 건강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들로 발전되어 왔다(표1). 특히 최근에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의료분야 밖에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디지털 기술을 의료분야에 접목하면서 더욱 광범위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정책적·기술적·사회적 대응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 분야는 정보통신 및 기타 최첨단 과학기술을 빠르게 융합시키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기존 의료기기와 달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른 기기 또는 앱 등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제품 출시 사이클도 기존 의료기기와 비교해 1/10 정도로 짧아지는 특징을 갖고 있고, 복잡도의 측면에서도 여러 기능이 융복합되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와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기존 의료기기 방식과는 다른 규제 및 관리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스마트 헬스케어 융복합 제품들 중 사물인터넷, 개인건강관리기기, 의료 3D프린팅 분야에서의 표준화 이슈들을 발굴하고, 국내 관련 기업들과 함께 협력하며, 국내/국제 표준 개발을 추진하였다. 또한 스마트 헬스케어 표준화 전략 도출을 위한 로드맵 개발과 함께 향후 대응 전략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출처 : 요약문 7p)
Abstract
▼
Smart healthcare is one of a new concept that combines technologies such as healthcare, artificial intelligence (AI), big data, the Internet of Things, and 3D printing. It can go beyond the existing healthcare area and allow individuals to easily receive health care anytime, anywhere.
The hea
Smart healthcare is one of a new concept that combines technologies such as healthcare, artificial intelligence (AI), big data, the Internet of Things, and 3D printing. It can go beyond the existing healthcare area and allow individuals to easily receive health care anytime, anywhere.
The healthcare sector has evolved in several attempts to provide more convenient and diverse forms of health-related services to diverse consumers by combin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 the medical sector in the traditional hospital-oriented healthcare sector. . In particular, the recent changes in the medical field have led to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the Internet of Things, and wearable devices, which are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the field of smart medical devices is characterized by the rapid convergence of telecommunications and other advanced technologies, unlike traditional medical devices using networks to connect to other devices or apps. The product launch cycle is about one-tenth shorter than traditional medical devices, and complex features converge in terms of complexity.
Therefore, in order to foster these smart healthcare devices and related industr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ifferent regulations and management methods than the existing medical device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issues of standardiz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personal health care devices, and medical 3D printing among these smart healthcare convergence products, collaborating with domestic companies, and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ndards. This study also developed a roadmap for deriving smart healthcare standardization strategies and suggested future measures.
(출처 : Summary 9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최종보고서 ... 2
- 제출문 ... 3
- 목차 ... 4
- Ⅰ. 총괄연구개발과제 요약문 ... 7
- 국문 요약문 ... 7
- Summary ... 9
- Ⅱ.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11
- 제1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적 및 필요성 ... 11
-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 65
-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결과 및 고찰 ... 72
- 제4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 75
- 제5장 총괄주요연구 변경사항 ... 92
- 제6장 총괄참고문헌 ... 93
- 제7장 총괄첨부서류 ... 94
- Ⅲ. 제(1)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 95
- 제(1)세부 연구개발과제 요약문 ... 97
- 제2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 102
- 제3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 105
- 제4장 세부연구개발과제의 결과 및 고찰 ... 118
- 제5장 대표 성과 및 파급 효과 ... 128
- 제6장 향후 후속 전략 ... 129
- 제7장 세부참고문헌 ... 130
- 끝페이지 ... 13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