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과제명 | ICT산업 중장기전망(2021~2025) 및 ICT 수출 대응전략 |
---|---|
주관연구기관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
연구책임자 | 고동환 |
참여연구자 | 정용찬, 라성현, 고세란, 유선실, 김민식, 이경남, 오정숙, 이은민, 노희윤, 오윤석, 진정민 ...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0-12 |
과제시작년도 | 2020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등록번호 | TRKO202100009013 |
과제고유번호 | 1711116837 |
사업명 | ICT진흥및혁신기반조성(R&D) |
DB 구축일자 | 2021-09-18 |
4. 연구 내용 및 결과
국내외 거시환경을 분석한 결과 우선 2019년 12월 중국에서 발생한 코로나19가 2020년 3월 이후 전세계로 확산하는 팬데믹으로 진화하면서 세계경제가 크게 위축되었으나 하반기 들어 중국의 빠른 회복으...
4. 연구 내용 및 결과
국내외 거시환경을 분석한 결과 우선 2019년 12월 중국에서 발생한 코로나19가 2020년 3월 이후 전세계로 확산하는 팬데믹으로 진화하면서 세계경제가 크게 위축되었으나 하반기 들어 중국의 빠른 회복으로 인해 2020년 및 2021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이상향조정되고 있다. OECD와 IMF 등 주요기관들은 2021년 세계 경제성장률을 2020년 대비 크게 반등한 4.2~5.2%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고 중장기적으로도 3.5%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OECD와 IMF와 한국은행, KDI 등은 2019년 한국 경제성장률이 2.0%에서 2020년 경제성장률이 –1.1% ~ -0.8%로 마이너스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되며, 2021년에는 다시 3%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된다. WTO와 IMF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세계교역량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10% 수준으로 크게 하락하였으나 2021년에는 빠르게 회복하여 7~8%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기존 공급망의 취약성이 드러나면서 GVC 재편 가능성이 존재하고 이 경우 세계교역량 회복세가 예상보다 늦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Seasonal ARIMA 모형기반으로 ICT 산업의 생산 및 수출을 2025년 12월까지 전망한 결과 ICT 기기 생산은 전자부품의 생산 회복세가 뚜렷하고, 통신 및 방송기기와 영상 및 음향기기는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ICT 서비스 생산은 소폭 둔화되기는 하나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ICT 기기 수출은 코로나19로 인해 주춤하였으나 2019년을 저점으로 여전히 회복세가 뚜렷하다.
가트너(Gartner)에 따르면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한 매출 불확실성 증대와 IT투자감소로 모든 부문에서 IT 시장이 축소하여 전년대비 –5.4% 성장한 3조 6천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장기적으로, 기기부문 시장은 정체를, 데이터센터시스템과 통신시장 서비스는 안정적인 성장세를, 클라우드 시장 확대로 인한 소프트웨어 시장 및 IT서비스 시장은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연평균(’19~’24) 3.1% 성장해 2024년에는 약 4조 4천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한국 ICT 산업의 생산은 2021~2025년 연평균 1.5%의 성장을 보여 2025년에 약 495조 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ICT 기기 시장은 차세대 시스템 반도체 및 지능형 반도체 부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겠으나 중국의 점유율 확대 및글로벌 경쟁의 심화로 중장기적 성장률은 정체 수준에 머물 전망이며, 정보통신 방송서비스 시장은 디지털 뉴딜 정책에 근간이 되는 5G 서비스의 활성화로 통신서비스는 소폭 상승, 방송 시장의 안정적 성장 및 모바일 광고 시장의 고성장 지속을 통해 견조한 성장세를 기록할 전망이다. 소프트웨어 시장은 클라우드 전환, 디지털 뉴딜 등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관련 사업이 확대되고,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게임 수요 지속으로 안정적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우리나라 ICT 산업 수출은 2021~2025년 연평균 4.5%의 성장을 보여 2025년에 약 2,339억 달러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적으로 OLED 패널의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 국내 기업의 기술 경쟁력이 우위를 선점하면서 전자부품의 수출은연평균 5.1%의 성장을 보일 전망이다. 통신 및 방송기기는 5G 네트워크 투자 본격화로 유무선통신장비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스마트폰 시장 포화에 따른 수요 정체,해외생산 증가, 해외사업자와의 경쟁심화로 수출 감소세는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글로벌 SSD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컴퓨터 및 주변기기의 수출은 중소폭 성장(4.4%)을 보일 전망이다.
기존 해외진출 지원사업의 지원 서비스 및 내용을 분석한 결과 각 사업내용에 가장 많이 포함된 지원 서비스 분야는 컨설팅 서비스(58.8%)이나 K-Global 사업에 참여한 기업대상 설문조사 결과, 가장 필요한 지원서비스는 ‘사업화 자금지원’으로 나타나 실제 지원서비스와의 간극이 나타났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지원하는 국제화 지원사업에 대한 희망참여도는 꽤 높으나, 이에 비해 국제화 지원사업에 대한 홍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진출 관련 정부지원사업에 대해 알고 있거나, 참여해본 경험이 있는 전문가의 경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사업에 참여한 경우는 드물었으며, 문화체육관광부(방송서비스 분야), KOTRA 등 타기관의 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제화 지원사업에 대한 홍보 효과 및 이용자 편의를 위해 타기관의 수출 및 해외진출 사업까지 포괄한 범정부적 차원의 ‘해외진출 지원사업 플랫폼’을 구상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은 그 이전부터 진행되어 오던 ‘디지털 전환’을 더욱 촉진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고, ‘디지털 전환’을 사회 곳곳에 ICT가 도입되고 활용되는 것이라고 이해한다면, ICT 산업의 성장과 산업정책 또한 매우 중요하다. 정부는 디지털 전환에 따른 ICT 수요에 맞게 기업들이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불필요한 규제가 있는지 자세히 검토하고, 디지털 역량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교육정책을 마련하는 데 경주해야 할 것이다. 또한 ‘디지털 전환’에 따른 불평등의 확대와 사이버 위협에 대해서도 충분히 고민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더불어, 디지털 전환으로부터 소외되는 집단이 없도록 포용성에 더욱 관심을 두고 국제적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촉발된 ‘디지털 전환’의 모멘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출처 : 요약문 20p)
4. Research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omestic and overseas macro-environment, the global economy greatly contracted...
4. Research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omestic and overseas macro-environment, the global economy greatly contracted as Corona 19, which occurred in China in December 2019, evolved into a pandemic that spreads around the world after March 2020. The outlook for global economic growth in 2012 is being revised upward. Major organizations such as the OECD and the IMF project the global economic growth rate in 2021 to rebound significantly from 2020 to a level of 4.2~5.2%, and is expected to remain at the level of 3.5% in the mid to long term. The OECD, the IMF, the Bank of Korea, and KDI are expected to see negative growth from 2.0% in 2019 to -1.1% to -0.8% in 2020, and to recover to 3% in 2021. It is expected to be. According to reports from the WTO and the IMF, world trade volume in 2020 fell sharply to the level of -10% due to the impact of Corona 19, but is expected to recover rapidly and reach 7-8% level in 2021. However, as the vulnerability of the existing supply chain is revealed due to Corona 19, the possibility of GVC reorganization exists, and in this case, the recovery of global trade volume is expected to be delayed than expected.
As a result of forecasting the production and export of the ICT industry by December 2025 based on the Seasonal ARIMA model, the production of ICT devices is expected to show a clear recovery in the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and the decline in communications and broadcasting devices and video and audio devices is expected to continue. Although production of ICT services will slow slightly, the rise is expected to continue. ICT device exports have slowed due to Corona 19, but the recovery trend is still clear after the bottom of 2019.
According to Gartner, in 2020, the IT market is expected to contract in all sectors due to increased sales uncertainty due to Corona 19 and decreased IT investment, to reach $3.6 trillion, an increase of -5.4% from the previous year. In the mid- to long-term, the device market stagnated, the data center system and telecommunications market services continued to grow, while the software market and IT service market maintained high growth due to the expansion of the cloud market, with an annual average of 3.1%('19~'24). It is expected to grow and reach about $4.4 trillion by 2024.
The production of the Korean ICT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at an annual average of 1.5% from 2021 to 2025, forming a scale of about 495 trillion won in 2025. In detail, in the ICT device market, the demand for next-generation system semiconductors and intelligent semiconductor components will increase, but the mid- to long-term growth rate is expected to remain at a stagnant level due to increased market share in China and intensifying global competition. With the revitalization of 5G services, which are the basis for policy, communication services are expected to record solid growth through a slight increase, stable growth in the broadcasting market, and high growth in the mobile advertising market. The software market is expected to record a stable growth rate dueto continued expans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DX) related businesses such as cloud conversion and digital new deal, and continued game demand due to the influence of Corona 19.
Korea's ICT industry exports are expected to grow at an annual average of 4.5% from 2021 to 2025, reaching about $233.9 billion in 2025. In the mid- to long-term, the range of OLED panel use is expected to expand, and as domestic companies'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prevails in the memory semiconductor field, the export of electronic components is expected to grow at an annual average of 5.1%. For telecommunications and broadcasting equipment, the demand for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s expected to increase due to full-scale investment in 5G networks, but exports will continue to decline due to stagnant demand due to the saturation of the smartphone market, increased overseas production, and intensifying competition with overseas operators. In addition, as the global SSD market expands, exports of computer and peripheral devices are expected to show small to medium-sized growth (4.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pport services and contents of the existing overseas expansion support projects, the field of support services most often included in each project content is consulting service (58.8%), or a survey result of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K-Global project, and the most necessary support service is It appeared as'commercialization funding', revealing a gap with the actual support service. In addition, although the degree of hoped participation in the internationalization support project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as quite high, it was found that the promotion of the internationalization support project was insufficient. Experts who know or have experience in government support projects related to overseas expansion rarely participated in the projects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projects of other organiza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broadcasting service field) and KOTRA. There was this. For the promotion effect and user convenience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s internationalization support project, it is necessary to conceive a government-wide “overseas expansion support project platform” that includes exports and overseas expansion projects of other organizations.
Finally, the Corona 19 pandemic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further promoted the'digital transformation' that has been going on since then, and if you understand that'digital transformation' is the introduction and use of ICT in various places in society, Growth and industrial policy are also very important. The government should carefully review whether there are unnecessary regulations so that companies can respond agilely to the ICT demands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race to prepare concrete and practical educational policies to cultivate human resources with digital capabilit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ully consider the expansion of inequality and cyber threats caused by the “digital transformation” and make efforts to minimize them. In addition, we need to focus more on inclusion and strengthen international cooperation so that no groups are left out of digital transformation, so that the momentum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triggered by the Corona 19 pandemic can be maintained.
(출처 : SUMMARY 26p)
ICT 산업 중장기 전망(2021~2025년) 및 ICT 수출 대응전략
주관연구기관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책임연구자 :
고동환
발행년월 : 2020-12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