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과제명 | 2021년 KISTEP 미래유망기술 선정에 관한 연구 |
---|---|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0-12 |
과제시작년도 | 2020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등록번호 | TRKO202100009206 |
과제고유번호 | 1711125611 |
사업명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DB 구축일자 | 2021-08-21 |
COVID-19 팬더믹으로 촉발된 글로벌 환경변화로 우리사회의 비대면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원격 수업, 온라인 쇼핑 등 우리 삶의 비대면화는 이미 시작되었고,4차 산업혁명 기술과의 융합으로 점점 더 빨라질 전망이다....
COVID-19 팬더믹으로 촉발된 글로벌 환경변화로 우리사회의 비대면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원격 수업, 온라인 쇼핑 등 우리 삶의 비대면화는 이미 시작되었고,4차 산업혁명 기술과의 융합으로 점점 더 빨라질 전망이다. 이러한 미래사회의 비대면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미래먹거리를 발굴하기 위해서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KISTEP은 2009년부터 한국사회의 핵심 트렌드 또는 변화로 인해 발생가능한 미래이슈를 선정하고, 향후 10년 내 대응할 수 있는 Breakthrough 기술을 발굴하여 발표하고 있다. 문헌조사 및 설문조사 등을 통해 2021년 핵심트렌드를 ‘비대면사회’로 선정하였다.
먼저 비대면사회로의 전환에 대비하기 위해 미래사회 니즈를 분석하였다. 의료, 교통,소비, 교육, 정보통신 등 각 영역별로 미래사회의 니즈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니즈를 해결하기 위한 유망기술은 어떤 것이 있는지 서지분석, 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통해 후보기술들을 발굴하였다. 비대면사회의 주요 니즈는 다양성・맞춤형・실감형・디지털화・스마트화로 요약될 수 있었다. 제품・서비스 공급자 관점에서는 안전하고 스마트한 이동 솔루션 개발, 초고속・초저지연 정보 제공, 학습방법의 다양화, D・N・A(Data, Network, AI) 기술의 활용 극대화 등이 핵심 키워드로 도출되었으며, 수요자 관점에서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 확대, 쌍방향 소통 및 인터렉티브(Interactive) 기술확대, 개인 정보의 안전한 관리 등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미래사회 니즈를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후보기술들이 발굴되었으며, 전문가 평가를 통해 14개 후보기술로 압축하였다.
14개 후보기술별 기업 간담회, 설문조사, 특허분석, 내부 연구진 토론 등을 통해 10개 유망기술이 최종 선정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비침습 생체정보 기반의 심혈관 질환 관리 기술, ② 교통약자를 위한 Level 4 자율주행 자동차, ③ LXP(Learning eXperience Platform) 기반의 개인 맞춤형 큐레이션 기술, ④ 자율주행 기반의 라스트 마일 딜리버리 서비스, ⑤ 지능형 엣지 컴퓨팅, ⑥ 인터페이스의 벽을 허무는 Beyond Screen 기술, ⑦ VR/홀로그램 기반의 실시간 협업 플랫폼, ⑧ 초연결 시대의 사이버 지킴이, 인공지능 보안 기술, ⑨ 비대면 초실감 미디어 제작 및 중계 기술, ⑩ 온라인 쇼핑 쓰레기를 줄이는 녹색 포장 기술이다. 이러한 비대면사회 10대 미래유망기술들의 상용화를 촉진하고, 국민들의 삶의 질 제고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기술실현 저해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과제 추진과 함께, 연구자・기업・지자체・시민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
(출처 : 요약문 5p)
참여 연구원 |
---|
2021년 KISTEP 미래유망기술 선정에 관한 연구 - 비대면사회의 미래유망기술
주관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발행년월 : 2020-12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2021년 KISTEP 미래유망기술 선정에 관한 연구 |
---|---|
연구책임자(Manager) : | 박노언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2014 ~ 2020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422,500,000원 |
키워드(keyword) : | 기술예측, 유망기술, 미래기술, 미래사회, 과학기술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연구목표(Goal) : | • 2021년 KISTEP 미래유망기술 선정 - 향후 10년 이내에 한국사회에 커다란 변혁을 가져올 수 있는 breakthrough 기술 발굴 |
연구내용(Abstract) : | • 미래유망기술 도출을 위한 연구방법론 및 프로세스 수립 - 국내외 미래유망기술 관련 동향, KISTEP 미래유망기술 선정 프로세스 및 평가 결과 분석을 통한 추진 방향 설정• 미래유망기술 도출 및 심층 분석 - 미래사회에 중요하게 등장할 기술적 혹은 사회·경제적 이슈 선정 - 선정된 핵심 이슈와 관련하여 큰 영향력을 가진 breakthrough 기술... |
기대효과(Effect) : | • KISTEP 내부의 기술기획 및 기술예측 역량 강화 - 국내외 미래 사회 전망과 미래유망기술 정보 수집 및 분석을 통해 기술예측 관련 노하우 및 방법론 등의 전문성 향상 • 국내 연구자에게 기술개발 및 사업기획 시 활용 가능한 기초 자료 제공 - 미래 사회 변화와 이슈에 대응하는 미래유망기술에 대한 R&D 기획을 통해 자원의 효율적 배분 및 신규 기...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