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수재해 감시 및 수자원 활용을 위한 디지털페어링 핵심요소기술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Pairing Core Technology for Water Resource Utilization and Disaster Surveillance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연구책임자 장봉주
참여연구자 임상훈 , 노희성 , 정인택 , 김진국 , 이강오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20-12
과제시작연도 2020
주관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연구관리전문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등록번호 TRKO202100022051
과제고유번호 1711124601
사업명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DB 구축일자 2021-11-13
키워드 화이트박스.디지털페어링.기상감시.기상재해.기상관측.WhiteBox.Digital Pairing.Weather Surveillance.Weather Disaster.Weather Observation.

초록

본 연구는 시공간적 비임계치 특성을 갖는, 쉽고, 저렴하고, 작고, 정확한 첨단 기상 관측 기술과 언제나, 어디서나, 누구나 설치 및 활용할 수 있는 정밀 강수관측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관측 자료의 디지털페어링 기술 및 실시간 시뮬레이션 해석 기술을 개발하여, 도심, 도로망, 및 농림 수산업 단위의 수재해 예측 및 수자원 활용 서비스 핵심 기술 개발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결과는 MEC(mobile edge computing) 기반의 GPS, 초소형 전파센서, 온습도, 대기압 및 비전 센서 등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n easy, inexpensive, small and accurate advanced weather observation technology with spatio-temporal non-critical characteristics and a precise precipitation and atmospheric wheather observation network technology that anyone can install and use anytime, anywhere. In addition,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요약문 ... 4
  • Executive Summary ... 8
  • 목차 ... 12
  • 표목차 ... 14
  • 그림목차 ... 16
  • 제1장 서론 ... 19
  • 1. 연구의 필요성 및 개요 ... 19
  • 2. 국내외 기술 동향 ... 24
  • 3.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 29
  • 제2장 디지털 페어링을 위한 요소 기술 개발 ... 33
  • 1. 인공강우 네스트 개발 ... 35
  • 2. 초소형 전파센서 기반 강수관측 기술 개발 ... 39
  • 2.1 전파센서 활용 강수 관측자료 분석 ... 39
  • 2.2 초소형 전파센서 기반 강수관측 알고리즘 개발 ... 41
  • 3. 다중센서를 포함한 WhiteBox 프로토타입 개발 ... 44
  • 4. WhiteBox 프로토타입 검증 결과 ... 49
  • 5. WhiteBox를 활용한 디지털 페어링 요소 기술 ... 52
  • 5.1 다종 센서 관측값 자동 동기화 기술 ... 52
  • 5.2 실시간 WhiteBox 자료 분석 및 GIS 표출 시스템 ... 54
  • 제3장 정밀 강수 관측 및 검증 기술 개발 ... 57
  • 1. 개요 ... 57
  • 2. 정밀 강수 관측을 위한 시스템 구성 ... 60
  • 3. 정밀 강수 관측 알고리즘 ... 62
  • 4. 정밀 강수 관측 실증 및 고찰 ... 64
  • 제4장 하천 재해 감시 단말 기술 개발 ... 73
  • 1. 개요 ... 73
  • 2. RF-WAVE 세부 기술 ... 76
  • 2.1 RF-WAVE 유속 측정 ... 77
  • 2.2 RF-WAVE 수위 측정 ... 79
  • 2.3 순수 수세 검출 및 수위/유속 검지 ... 80
  • 3. RF-WAVE 실증 결과 ... 84
  • 4. RF-WAVE 고찰 ... 89
  • 제5장 결론 ... 91
  • 1. 결론 ... 91
  • 2. 활용 및 파급효과 ... 93
  • 참고문헌 ... 97
  • 서지자료 ... 101
  • Bibliographic Data ... 102
  • 끝페이지 ... 103

표/그림 (69)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