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연구책임자 |
장봉주
|
참여연구자 |
임상훈
,
노희성
,
정인택
,
김진국
,
이강오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0-12 |
과제시작연도 |
2020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등록번호 |
TRKO202100022051 |
과제고유번호 |
1711124601 |
사업명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
DB 구축일자 |
2021-11-13
|
키워드 |
화이트박스.디지털페어링.기상감시.기상재해.기상관측.WhiteBox.Digital Pairing.Weather Surveillance.Weather Disaster.Weather Observation.
|
초록
▼
본 연구는 시공간적 비임계치 특성을 갖는, 쉽고, 저렴하고, 작고, 정확한 첨단 기상 관측 기술과 언제나, 어디서나, 누구나 설치 및 활용할 수 있는 정밀 강수관측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관측 자료의 디지털페어링 기술 및 실시간 시뮬레이션 해석 기술을 개발하여, 도심, 도로망, 및 농림 수산업 단위의 수재해 예측 및 수자원 활용 서비스 핵심 기술 개발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결과는 MEC(mobile edge computing) 기반의 GPS, 초소형 전파센서, 온습도, 대기압 및 비전 센서 등
본 연구는 시공간적 비임계치 특성을 갖는, 쉽고, 저렴하고, 작고, 정확한 첨단 기상 관측 기술과 언제나, 어디서나, 누구나 설치 및 활용할 수 있는 정밀 강수관측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관측 자료의 디지털페어링 기술 및 실시간 시뮬레이션 해석 기술을 개발하여, 도심, 도로망, 및 농림 수산업 단위의 수재해 예측 및 수자원 활용 서비스 핵심 기술 개발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결과는 MEC(mobile edge computing) 기반의 GPS, 초소형 전파센서, 온습도, 대기압 및 비전 센서 등을 포함하는 옥외 설치용 WhiteBox의 프로토타입 개발하고, 실증을 통해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아울러 개발된 WhiteBox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수문기상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또한 보다 안전한 스마트시티 재난 감시망을 구축하기 위해 WhiteBox 뿐 아니라, 다양한 재난 요소를 탐지할 수 있는 단말 기술들을 제안함으로써 디지털 페어링을 위한 핵심 요소 기술들로써 그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출처 : 서지자료 - 초록 101p)
Abstract
▼
This study developed an easy, inexpensive, small and accurate advanced weather observation technology with spatio-temporal non-critical characteristics and a precise precipitation and atmospheric wheather observation network technology that anyone can install and use anytime, anywhere. In addition,
This study developed an easy, inexpensive, small and accurate advanced weather observation technology with spatio-temporal non-critical characteristics and a precise precipitation and atmospheric wheather observation network technology that anyone can install and use anytime, anywhere. In addition, by developing digital pairing technology and real-time simulation analysis technology of real-time observation data based on this, We have made it possible to use it as a core technology for water disaster prediction and water resource use services in urban areas, road networks,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units. The final result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of a WhiteBox prototype for outdoor installation equipped with MEC (Mobile Edge Computing) based GPS, millimeter wave sensor, temperature and humidity, atmospheric pressure, vision sensor, etc., and demonstrated its excellence. As the final result of this study, we developed and demonstrated a MEC (Mobile Edge Computing)-based WhiteBox prototype for outdoor installations equipped with GPS, millimeter wave sensors, temperature and humidity, atmospheric pressure, and vision sensors and demonstrated its excellence. In addition, in order to establish a safer smart city disaster monitoring network, the possibility was verified as key element technologies for digital pairing by proposing terminal technologies that can detect not only WhiteBox but also various disaster factors.
(출처 : Bibliographic Data - Abstract 102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요약문 ... 4
- Executive Summary ... 8
- 목차 ... 12
- 표목차 ... 14
- 그림목차 ... 16
- 제1장 서론 ... 19
- 1. 연구의 필요성 및 개요 ... 19
- 2. 국내외 기술 동향 ... 24
- 3. 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 29
- 제2장 디지털 페어링을 위한 요소 기술 개발 ... 33
- 1. 인공강우 네스트 개발 ... 35
- 2. 초소형 전파센서 기반 강수관측 기술 개발 ... 39
- 2.1 전파센서 활용 강수 관측자료 분석 ... 39
- 2.2 초소형 전파센서 기반 강수관측 알고리즘 개발 ... 41
- 3. 다중센서를 포함한 WhiteBox 프로토타입 개발 ... 44
- 4. WhiteBox 프로토타입 검증 결과 ... 49
- 5. WhiteBox를 활용한 디지털 페어링 요소 기술 ... 52
- 5.1 다종 센서 관측값 자동 동기화 기술 ... 52
- 5.2 실시간 WhiteBox 자료 분석 및 GIS 표출 시스템 ... 54
- 제3장 정밀 강수 관측 및 검증 기술 개발 ... 57
- 1. 개요 ... 57
- 2. 정밀 강수 관측을 위한 시스템 구성 ... 60
- 3. 정밀 강수 관측 알고리즘 ... 62
- 4. 정밀 강수 관측 실증 및 고찰 ... 64
- 제4장 하천 재해 감시 단말 기술 개발 ... 73
- 1. 개요 ... 73
- 2. RF-WAVE 세부 기술 ... 76
- 2.1 RF-WAVE 유속 측정 ... 77
- 2.2 RF-WAVE 수위 측정 ... 79
- 2.3 순수 수세 검출 및 수위/유속 검지 ... 80
- 3. RF-WAVE 실증 결과 ... 84
- 4. RF-WAVE 고찰 ... 89
- 제5장 결론 ... 91
- 1. 결론 ... 91
- 2. 활용 및 파급효과 ... 93
- 참고문헌 ... 97
- 서지자료 ... 101
- Bibliographic Data ... 102
- 끝페이지 ... 10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