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상세정보
과제명 |
고령자 낙상 예측/예방을 위한 통합 측정/분석 시스템 개발 |
주관연구기관 |
(주)옵토닉스
|
연구책임자 |
지유강
|
참여연구자
|
고승욱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1-06
|
과제시작년도 |
2020
|
주관부처 |
중소벤처기업부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
등록번호 |
TRKO202100022292
|
과제고유번호 |
1425146444
|
사업명 |
지역특화산업육성+(R&D) |
DB 구축일자 |
2021-11-06
|
키워드 |
낙상.낙상예방.낙상예측.보행분석.고령자.fall.fall prevention.fall prediction.gait analysis.senior.
|
초록
▼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고령자를 대상으로 낙상위험도 및 신체지수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통합적인 기능평가를 통한 낙상예방 측정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고령자 개인별 맞춤형 낙상예방을 위한 서비스를 ...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고령자를 대상으로 낙상위험도 및 신체지수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통합적인 기능평가를 통한 낙상예방 측정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고령자 개인별 맞춤형 낙상예방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
◦ 고령자 낙상예방 통합 시스템은 자연스러운 보행패턴을 수집하기 위한 사용자 자동인식 기술개발, 낙상위험도 평가도구 전산화, 균형 및 보행분석을 위한 하이브리드 보행분석장비 개발과 낙상검사 데이터 관리를 위한 데이터 서버 구축을 포함 함
○ 전체 내용
◦ 기술개발 개요
- 고령자의 낙상은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상태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사회 심리적 요인을 포함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
- 낙상을 유발하는 요인은 다양하며, 관련 요인이 많을수록 낙상의 위험은 높아짐
- 본 과제에서 제안하는 고령자 낙상예방을 위한 낙상예방관리시스템은 고령자의 신체/운동 특성에 따른 낙상 등의 문제점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핵심 위험윈자를 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합시스템을 개발하고, 수집되고 분석된 정보와 종합적 측정 시스템의 토대위에 고령자 맞춤형 분석을 통한 낙상 예방 통합 서비스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함
◦ 기술개발 내용
- 하이브리드 보행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하이브리드 보행분석장비 시제품 개발
- 비콘을 이용한 사용자 위치 인식을 통한 보행 측정 시작/종료 기술 개발
- 웹 기반 데이터 수집 관리 시스템 개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낙상 위험 유효 보행 파라미터 정의 및 상관관계 분석
□ 연구개발성과
1. 정성적 연구개발 성과
가. 하이브리드 보행분석시스템 개발
◦ 사용자 보행 측정을 위한 보행측정시스템 개발
- 깊이카메라와 매트타입 보행분석시스템을 통한 사용자 골격인식과 움직임 측정을 바탕으로 한 키네매틱 보행패턴 및 보행자세 등의 핵심 보행 파라미터들과 동시에 압력센서 기반 매트타입 시스템을 통한 시⋅공간적 보행 파라미터의 종합적인 측정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보행분석시스템 개발
◦ 다면적 평가/분석을 위한 간편 보행분석시스템 개발/테스트
나. 낙상예방시스템 시장 도입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정의 및 시범 테스트
◦ 비즈니스 모델
◦ 시범 테스트 진행
다. 주요 보행 파라미터 확립관 그들 파라미터의 개인별 특성에 따른 낙상과의 상호관계 분석을 통한 낙상 위험도 평가
◦ 340 Case 낙상 통합 검사 로우데이터 분석
- 보행 평균속도, Single support std 및 double support std를 기반으로 한 낙상자 예측 알고리즘 개발
라. 제품 홍보 및 마케팅
◦ 제품 홍보를 위한 전시회 참가
- KIMES 2021 (국제의료기기, 병원 설비 전시회), 코엑스
◦ 제품 시연회 개최 및 전문가 자문
- 본사 전시실에 보행분석시스템을 설치하고 관련 전문가, 주간보호시설 관계자, 의료기기 판매 기관 등 시연회 개최
2. 정량적 연구개발 성과
가. 지식재산권
나. 저작권
다. 시제품
라. 사업화 계획
마. 고용창출
3. 목표 달성 수준
추진목표 - 하이브리드 보행분석시스템 개발
달성내용
- 깊이카메라 기반 보행분석 SW 개발 (Tango STEP Camera)
- 매트타입 보행분석 SW 개발 (Tango STEP Mat)
- 하이브리드 보행분석 SW 개발 (Tango STEP Pro)
- 매트타입 보행분석장치 개발
- 의료기기 1등급 신고 완료 (식약처)
- SW 성과물 등록 2종 (한국저작권위원회)
- GaitAnalyzerLITE 기술문서 1종
- 기능 규격서 1종
- 깊이카메라 보행분석시스템 시제품 1종
- 매트형 보행분석시스템 시제품 3종
- 하이브리드 보행분석시스템 시제품 1종
추진목표 - 비콘 기반 사용자 자동인식 및 낙상위험도 자가진단 앱 개발
달성내용
- 안드로이드 기반 거리 인식 및 사용자 자동인식 앱 개발 완료
- 낙상위험도 평가도구 7종 적용 완료
- 사용자 자동인식 앱 개발 완료
- SW 성과물 등록 1종 (한국저작권위원회)
추진목표 -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 개발
달성내용
- 웹 기반 데이터 수집 관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 완료
- 낙상위험도 평가 및 비콘 관리 관리자 페이지 개발 완료
- 데이터베이서 명세서 1종
- 웹 기반 RESTful 인터페이스 설계 기술문서 1종
추진목표 - 낙상예방 서비스 시나리오 설계
달성내용
- 특허 출원 1건
- 발명의 명칭 : 낙상 예방 관리 시스템
추진목표 - 유효 보행 파라미터 정의 및 상관관계 분석
달성내용
- 3차원적 보행 모니터를 통한 낙상 보행 특성 연구
- 다면적 낙상 보행 패턴 확립
- 낙상 관련 보행 데이터 수집
- 낙상관련 보행 데이터 수집 분석
추진목표 - 정량적 평가 목표
달성내용
-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을 통한 공인시험 및 시험성적서 발급
추진목표 - 특허출원
달성내용
- 특허 출원 1건
- 외 PCT 출원 1건
추진목표 - SW 저작권 등록
달성내용
- SW 저작권 등록 3건
추진목표 - 고용
달성내용
- 청년인력 2명 고용
가. 정량적 평가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낙상으로 인한 사고는 많은 재활비용을 필요로 하고 다른 안전사고에 비해 대부분 예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낙상예방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을 통한 사전 예방이 중시되고 있으며, 낙상 예방 통합 솔루션을 통한 낙상에 대한 인식 변화와 고령자 의료비 절감에 크게 기여 가능
◦ 기존 보행분석 기술은 보행능력 측정을 주요기술로 개발되어 왔으며, 결과정보를 관련 전문가가 분석하여 위험군 분류 및 처방을 제공하는 반면, 본 기술은 낙상의 위험요인을 전반적으로 측정/분석하고 낙상 위험군 모델, 사용자별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학습하여 낙상의 위험도를 예측하고 사용자 맞춤형 예방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 함
◦ Flexible Pressure Sensor 기술을 통하여 체압 분석을 통한 치료/예방/분석 기술, 웨어러블 인터페이스를 통한 VR 인터랙션 기술 등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가능
◦ 낙상 예방 통합 솔루션을 통해 수집된 다양한 정보는 낙상 예측, 파킨슨 질환, 뇌졸중,치매 등 의학 분야뿐만 아니라 보행 패턴에 따른 주택 설계, 고령자 특성을 반영한 UX 등의 분석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
◦ 핵심자원 확보
- 중소벤처기업부의 “중소기업 연구인력지원사업”을 활용하여, 연구개발 및 제품 사업화에 필요한 고급인력 확보 예정
- 광주테크노파크 “광주지역 전략산업 및 지식서비스업 청년채용 지원사업”을 통해 우수 청년인재를 확보하여 기업과 직원 모두 지속성장 가능한 사업발판 마련
- 약 1,500여명의 낙상예방 프로그램을 위한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1,000case 이상의 낙상예방을 위한 감사를 수행 중이며 낙상위험도에 대한 설문, 신체지수 측정,균형 및 보행능력 평가 등 통합적인 기능 평가 및 분석을 위한 기초데이터 사전 확보
(출처 : 요약 4p)
목차
Contents
▼
- 표지 ... 1
- 제 출 문 ... 2
- 최종보고서 ... 3
- 보고서 요약 ... 4
- 목차 ... 9
-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0
- 1) 개발기술의 중요성 및 타당성 ... 10
- 2) 국내·외 관련 기술의 현황 ... 13
- 3) 기술개발 시 예상되는 기술적·경제적 파급 효과 ... 19
- 2.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과정 및 수행 내용 ... 21
- 1) 목표 ... 21
- (1) 종합목표 ... 21
- (2) 기술개발 목표 ... 22
- (3) 경제적 성과목표(사업기간내) ... 23
- 2) 기술개발 수행과정 및 수행내용 ... 24
- 3.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결과 및 목표 달성 정도 ... 61
- 1) 연구수행 결과 ... 61
- (1) 정성적 연구개발성과 ... 61
- (2)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 68
- (3) 세부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 69
- 2) 목표 달성 수준 ... 71
- 4. 연구개발성과의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정도 ... 75
- 5.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 76
- 별첨자료 1 : 시험 성적서 ... 78
- 별첨자료 2 : 특허 출원서 ... 97
- 별첨자료 3 : 소프트웨어 저작권 등록서 ... 98
- 별첨자료 4 : 상표 출원서 ... 101
- 별첨자료 5 : 의료기기 1등급 신고서 ... 102
- 끝페이지 ...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