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기술진흥원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등록번호
TRKO202100022689
과제고유번호
1425145461
사업명
지역특화산업육성+(R&D)
DB 구축일자
2021-11-06
키워드
미세 물입자.공기정화.유해가스.필터 없음.임펠러.micro water particle.air cleaning.harmful gas.nonfilter.Impeller.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공기청정기능이 우수한 수처리 정화기술 개발 및 원격 제어기반의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함. 〇 강력한 속도의 미세 물입자 생성 기술 개발 〇 미세 물입자를 이용한 미세먼지, 유해가스, 바이러스 포집 기술 개발 〇 포집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와 바이러스 살균하는 기술 개발 〇 물살균 및 물정화 기술 개발 〇 저소음 구조 고안 〇 고풍량에 따른 물입자 배출 억제고안 〇 수조벽면 물때방지, 미세먼지를 고형화하는 물회오리 생성기술 개발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공기청정기능이 우수한 수처리 정화기술 개발 및 원격 제어기반의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함. 〇 강력한 속도의 미세 물입자 생성 기술 개발 〇 미세 물입자를 이용한 미세먼지, 유해가스, 바이러스 포집 기술 개발 〇 포집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와 바이러스 살균하는 기술 개발 〇 물살균 및 물정화 기술 개발 〇 저소음 구조 고안 〇 고풍량에 따른 물입자 배출 억제고안 〇 수조벽면 물때방지, 미세먼지를 고형화하는 물회오리 생성기술 개발 〇 자체 진단, 공기질 분석이 가능한 다양한 센싱 기술 개발 〇 센싱기술 기반의 원격 관제 모니터링 기술 개발 〇 경제적 성과 : 3억원, 고용 5명 〇 기술적 성과 : 수처리 정화기술 및 구조 확보, 공기청정 스마트 제어 기술, 원격 관제 기술 확보.
전체 내용 미세 매시망을 적용한 고속회전하는 블래이드를 적용하여, 오염물질과 물의 밀접접촉을 통해 공기정화가 이루어지는 청정기의 개발. (1) 정화 모듈 개발 - 최적의 블레이드 형성 도출 - 구동시 모터 소음과 물의 벽면 때림에 따른 소음 최소화하는 방식 개발 (2) 정수 모듈 개발 - 전해수 생성 모듈 적용 - 포집된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와 바이러스 살균 (3) 시제품 개발 - 미세 물입자 생성 임펠러 제작 - 임펠러 구성물에 대한 시금형 제작 적용 (4) 성능시험/ 특허 출원(국내) - 공기질 관련 시험, 소음 시험 - 살균력, 미세먼지 제거효율, SOx 제거효율 - 특허 2건 /PCT 1건 (5) 컨트롤 회로 개발 - RF Evaluation Module 개발 - 손쉬운 업그레이드 및 디버깅 - 2.4Ghz RF 통신 모듈 개발 - IR 통신 가능한 부가모듈 회로 (6) 센싱모듈 개발 - 공기질 센싱 종류 :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온도, 습도, 수위, 암모니아 측정을 위한 측정 센서 적용 - 실시간 자동 모니터링 기능 - 제품 규격 및 위치에 적합한 형태고려 (7) 원격 관제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 - 자동 on/off 및 예약기능 - 실시간 작동 현황, 위치 조회, 센서감지, 오작동 감지 (8) 디자인 개발 - 설치 환경을 고려한 디자인 전개 (9) 시제품 개발 및 실증화 샘플 제작 - 디자인에 준한 기구 및 케이스 실증화 샘플 제작 (10) 성능시험/KC 인증 획득 / 특허 출원(국내) - 공기질 관련 센싱 정확도 시험, 소음 성능 향상을 위한 시험 진행 - 살균력, 미세먼지 제거효율, SOx 제거효율 향상을 위한 시험 진행 (11) 양산형 통합형 앱 개발 - 풍량조절, 풍향, 조명 - 설정(알람, 예약, 시간, 민감도) - on/off 및 예약기능을 갖도록 함
연구개발성과 (1) 정화 모듈 개발 - 최적의 블레이드 형성 도출 - 구동시 모터 소음과 물의 벽면 때림에 따른 소음 최소화하는 방식 개발 - 물 살균모듈 개발 (2) 시제품 개발 - 미세 물입자 생성 임될러 제작 - 자체 시험용 시제품 3기 제작 - 성능 시험용 시제품 4기 제작 (3) 특허출원 및 등록 - 특허출원 2건, PCT 출원 1건 - 특허등록 1건 (4) 디자인 개발 - 판금형 디자인 1건, 금형개발형 디자인 1건 도출 - GOOD DESIGN AWARD 출품 (5) 회로개발 - 자동 on/off 및 예약기능 -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온도, 습도, 수위, 암모니아 측정을 위한 측정 센서 적용 (6) 성능시험 - 공기질 관련 시험 이산화황 제거율 96%, 염화수소 제거율 98.05% 암모니아 제거율 96.95% 아세트산 제거율 99% 미세먼지 제거 청정화능력 : 83.9% 내부수조의 물을 이용한 세균 사멸율(황색포도상구균) : 99.9% 최대풍량 : 6.4 CMM 작동소음 : 2 CMM 풍량에서 40db 원격제어 모듈 통합연동 시험 : 적합등록 스마트폰용 앱 개발 : 엠스토어 등록 KC 인증 : 등록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〇 미세 매시망 모듈의 활용 - 코로나 살균 부스에 사용되는 소독액(에탄올) 트랩장치 적용 가능 - 코로나 바이러스 살균 및 유독가스 사고가 빈번한 화장실 설치용 정화기 적용하여, 황화수소 및 암모니아 냄새를 제거하는 용도의 모듈화 상품이 가능. 〇 상품화 계획 - 가정용 모델 개발 모듈을 이용한 가정용 공기 청정기 상품화 계획 5CMM급 공기 청정기는 양산화 설계를 통해, 시제품보완을 계획하고 있으며, 향후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금형개발 조달이 가능할 경우, 양산화를 계획. - 산업용 모델 버섯재배사와 같이 높은 습도가 필요하고, 곰팡이 억제가 필요한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상품화 계획. 이러한 상품의 경우, 금형개발 없이 판금화 설계 모델을 적용하여 바로 생산이 가능함. 일부 현장에서의 상용화 실험을 진행하고, 보완하여 상품화를 기대하고 있음. - 시험실용 모델 실험실용 흄후드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정화 배기시키는 시스템에 적용하는 응용 상품화 가능성 확인. 실험실에서 잦은 유해가스 노출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서, 발생된 유해가스를 챔버 내에서 정화 배기할 경우, 상당 부분의 사고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이에 적합한 스크러버 모델을 현재의 미세 매시망 모듈을 적용하여 상품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 5p)
목차 Contents
표지 ... 1
제 출 문 ... 3
최종보고서 ... 4
보고서 요약 ... 5
목차 ... 8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9
(1) 개발기술의 중요성 및 타당성 ... 9
(2) 국내·외 관련 기술의 현황 ... 9
(3) 기술개발 시 예상되는 기술적·경제적 파급 효과 ... 10
2.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과정 및 수행 내용 ... 11
1) 목표 ... 11
(1) 종합목표 ... 11
(2) 기술개발 목표 ... 11
(3) 경제적 성과목표(사업기간내) ... 12
2) 기술개발 수행과정 및 수행내용 ... 13
3.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결과 및 목표 달성 정도 ... 83
1) 연구수행 결과 ... 83
(1) 정성적 연구개발성과 ... 83
(2)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 84
(3) 세부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 85
(4) 계획하지 않은 성과 및 관련 분야 기여사항 ... 90
2) 목표 달성 수준 ... 91
4. 목표 미달 시 원인분석 ... 93
1) 목표 미달 원인(사유) 자체분석 내용 ... 93
2) 자체 보완활동 ... 94
3) 연구개발 과정의 성실성 ... 95
5. 연구개발성과의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정도 ... 99
6.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 100
별첨1. 성실이행 서약서 ... 102
별첨2. 자체보안관리진단표 ... 103
끝페이지 ... 104
참고문헌 (25)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