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과제명 | AOP 기반 복합독성 검출장치 개발 및 제품화 |
---|---|
주관연구기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연구책임자 | 하태환 |
참여연구자 | 김하룡, 김종운, 윤현석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1-03 |
과제시작년도 | 2019 |
주관부처 |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
등록번호 | TRKO202200004145 |
과제고유번호 | 1485016963 |
사업명 | 안심살생물제관리기반기술개발사업(R&D) |
DB 구축일자 | 2022-07-09 |
키워드 | 독성발현경로.검출기.살생물제.기능성 2D 나노재료.리셉터.Adverse outcome pathway.Detector.Biocides.Functional 2D nanomaterials.Receptors. |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본 연구개발 목표는 AOP 기반 복합살생물제 고 선택적 바이오 리셉터를 개발하고, 이를 포함하는 2D 기능성 나노소재 기반 전기적/광학적 어레이 검출 플랫폼 개발에 있다.
또한, 이들을 포함하는...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본 연구개발 목표는 AOP 기반 복합살생물제 고 선택적 바이오 리셉터를 개발하고, 이를 포함하는 2D 기능성 나노소재 기반 전기적/광학적 어레이 검출 플랫폼 개발에 있다.
또한, 이들을 포함하는 실시간, 고감도 (복합)살생물제* 현장 검출장치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며, 벤처기업의 니즈를 반영하여 “생활화학제품 내 복합독성 검출 및 실시간 검사”가 가능한 분석 장비를 개발하여 기술이전을 진행함과 동시에 제품화에 목적이 있다.
* 복합살생물제: IPBC(3-iodo-2-propynyl buty carbamate)/propiconazole/tetuconazole
살생물제: CMIT (5-Chloro-2-methyl-4-isothiazolin-3-one), IPBC (3-Iodo-2-propynyl butyl carbamate), PHMG (Polyhexamethylene guanidine), PHMB (Polyhexamethylene Biguanide)
□ 연구개발성과
1. 정성적 연구 성과
- MEMS 기반 고감도 전계감응효과 플랫폼 개발 성공
- 신규 인터페이싱 화합물 합성 성공
- 전하밀도이론(DFT)을 통한 카벤화합물과 그래핀 트랜지스터간의 이론 분석 성공
- 인간 통각 수용체 TRPA1 리셉터 나노베지클 발현 성공
- 살생물제 검출용 바이오 센서 플랫폼 세계최초 개발
- 살생물제 검출용 바이오 센서의 재현성, 환경 안정성 확보
- 생활화학제품 내 함유된 살생물제 검출
2. 정량적 연구 성과
- 논문 5편 (SCI 상위 0.006%, IF 53, 1편 포함)
- 특허 출원 21건, 등록 3건
3. 경제적 성과
- 소마알앤디주식회사, 정액기술료 4천만원,“생활화학제품 내 복합살생물제 검출용 바이오센서”, 2020.09.22
4. 사회적 성과
- “사람 코보다 정확한 바이오나노 전자코 개발”, 201904, 2019대한민국 과학축제
(바이오 센서 플랫폼 제조 기술 및 시민 참여 시현)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살생물제 검출 가능한 센서 플랫폼 제조 기술 확보
- 생활화학 제품 내 함유된 살생물제 스크리닝 가능한 바이오 센서 플랫폼 기술 개발
- 생활화학제품 내 살생물질을 실시간 모니터링 함으로써, 생활화학제품 안전확보가 가능하며, 국민 보건 복지 증진에 기여함.
(출처 : 요약문 4p)
AOP 기반 복합독성 검출장치 개발 및 제품화
주관연구기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책임연구자 :
하태환
발행년월 : 2021-03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