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김장주
|
참여연구자 |
김윤희
,
권장혁
,
주병권
,
이준엽
,
이찬재
,
전영민
,
이범성
,
김태형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9-07 |
과제시작연도 |
2019 |
주관부처 |
산업통상자원부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
등록번호 |
TRKO202200006231 |
과제고유번호 |
1711093063 |
사업명 |
전자정보디바이스산업원천기술개발(R&D) |
DB 구축일자 |
2022-08-19
|
키워드 |
지연형광.청색 발광체.적색 발광체.청색 호스트.적색 호스트.고효율.고색순도.장수명.
|
초록
▼
3. 개발결과 요약
□ 최종목표
1. 적색 지연형광 소자
외부양자효율 20%, 구동수명 15,000 시간, 색좌표 (0.65, 0.34)
2. 청색 지연형광 소자
외부양자효율 20%, 구동수명 2,600시간, 색좌표 (0.15, 0.18)
3. 지연형광 열화특성모델 혹은 파라미터 개발
□ 개발내용 및 결과
고효율, 고색순도, 장수명의 적색/청색 지연형광 소자를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방면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짐. 신규한 청색/적색 지연형광 발광 도펀트, 호스트 합성, 전기적/광학적 측면
3. 개발결과 요약
□ 최종목표
1. 적색 지연형광 소자
외부양자효율 20%, 구동수명 15,000 시간, 색좌표 (0.65, 0.34)
2. 청색 지연형광 소자
외부양자효율 20%, 구동수명 2,600시간, 색좌표 (0.15, 0.18)
3. 지연형광 열화특성모델 혹은 파라미터 개발
□ 개발내용 및 결과
고효율, 고색순도, 장수명의 적색/청색 지연형광 소자를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방면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짐. 신규한 청색/적색 지연형광 발광 도펀트, 호스트 합성, 전기적/광학적 측면에서의 소자구조 최적화, 그리고 소자의 구동 열화의 물리적 메커니즘을 연구함.
고효율 진청색 지연형광 소자: y<0.16의 진청색 지연형광 소자에서 세계최고수준의 고효율을 달성함.
1. EQE 32.3%, CIE (0.14, 0.15)
2. EQE 23.7%, CIE (0.148, 0.158)
3. EQE 21.5%, CIE (0.15, 0.06)
장수명 청색 지연형광 소자: 세계최고수준의 청색 지연형광소자 수명을 달성함.
1. EQE 28.1%, CIE (0.16, 0.39), 400nit LT50 1,600h
2. EQE 4.4%, CIE (0.15, 0.14), 400nit LT50 1,100h
3. EQE 22.4%, CIE (0.14, 0.31), 400nit LT50 1,000h
고효율 적색 지연형광 소자: x>0.57의 적색 지연형광 소자에서 세계최고수준의 고효율을 달성함.
1. EQE 21.4, CIE (0.59, 0.41)
2. EQE 12.0, CIE (0.62, 0.38)
장수명 적색 지연형광 소자: 세계최고수준의 적색 지연형광소자 수명을 달성함.
1. EQE 11.3%, CIE (0.63, 0.37), 1000nit LT50 14,100h
2. EQE 13.4%, CIE (0.62, 0.38), 1000nit LT50 11,200h
3. EQE 18.2%, CIE (0.62, 0.38), 1000nit LT50 1,000h
□ 기술개발 배경
현재 유기발광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발광재료는 청색의 경우 형광으로 효율과 수명이 떨어지며, 적색의 경우 높은 단가의 이리듐 재료를 사용함. 본 연구를 통해 성능과 단가가 모두 기존 재료보다 뛰어난 적색/청색 지연형광 재료를 개발하고자 함.
□ 핵심개발 기술의 의의
현재 지연형광 기술이 적용되어 상요화된 유기발광디스플레이는 없는 상황. 본 과제를 통해 개발한 청색/적색 지연형광 유기재료 및 소자를 적용하면 기존의 형광/인광 재료 보다 뛰어난 성능을 기대할 수 있음. 또한 발광재료를 대부분 해외 제품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지연형광재료 개발을 통해 유기디스플레이의 국산화율을 크게 높일 수 있음.
□ 적용 분야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 가전 TV, 사이니지 광고판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의 적색과 청색 발광 유기 재료에 적용될 수 있음.
(출처 : 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초록 5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최종보고서 초록 ... 4
- 기술개발사업 주요 연구성과 ... 9
- 목차 ... 30
- 제1장 서론 ... 31
- 제1절 과제의 개요 ... 31
- 제2장 과제 수행의 내용 및 결과(기술개발 내용 및 방법) ... 31
- 제 1 절 최종 목표 및 평가 방법 ... 31
- 제 2 절 단계 목표 및 평가 방법 ... 34
- 제 3 절 연차별 개발 내용 및 개발 범위 ... 42
- 제 4 절 수행 결과의 보안등급 ... 55
- 제 5 절 유형적 발생품(연구시설, 연구장비 등) 구입 및 관리 현황 ... 56
- 제3장 결과 ... 57
- 제1절 연구개발 최종 결과 ... 57
- 가. 연구개발 추진 일정 ... 57
- 나. 연구개발 추진 실적 ... 77
- 다. 기술개발 결과의 유형 및 무형 성과 전체 ... 82
- 제 2 절 연구개발 추진 체계 ... 143
- 제 3 절 고용 창출 효과 ... 151
- 제 4 절 자체보안관리진단표 ... 152
- 제 4 장 사업화 계획 ... 153
- 제 1 절 시장 현황 및 전망 ... 153
- 제 2 절 사업화 계획 ... 153
- 끝페이지 ... 157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