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자원(폐플라스틱/폐유리/폐아스콘)을 재활용한 중온 개질아스콘 제품의 시험인증 및 실증기술 개발
Test cer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ubstantiation technique for the warm mix modified asphalt products using waste resource(waste plastic, waste glass and reclaimed asphalt pavemen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연구책임자 조영진
참여연구자 이상철 , 김광우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21-09
과제시작연도 2021
주관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등록번호 TRKO202200012337
과제고유번호 1711131452
사업명 공공조달연계형국민생활연구실증사업화지원(R&D)
DB 구축일자 2022-10-13
키워드 폐자원.재활용.시험·인증·실증.중온개질첨가제.순환 중온 개질 아스콘.Waste resources.Recycling.testing·certification·demonstration.Warm modified additives.Recycled warm modified asphalt paving mixtures.

초록

기존 정부R&D 연구성과물(고온 개질 아스콘 제품) 기반 국민의 안정적인 생활(환경유해성, 교통안전 등)을 목적으로 성능개선(중온 생산/시공 효과, 내구성능 개질효과 등)을 위한 연구개발을 통해 폐자원(폐플라스틱/폐유리/폐아스콘)을 재활용한 순환 중온 개질 아스콘 제품을 개발하고 개발제품의 현장 시험실증, 경제성 및 만족도 평가를 진행하여 아스콘 현장 적용성이 우수한 제품을 개발하였다. 연구성과물은 다음과 같다.
(1) 중온 개질첨가제, (2) 순환 중온 개질 아스콘 제품
(3) 현장 시험실증 및 단기/장기 현장 공용성능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요약문 ... 4
  • 목차 ... 5
  • 1.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 8
  • 1-1. 과제 개요 ... 8
  •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 8
  • 가. 연구개발 필요성 ... 8
  • 나. 연구개발 중요성 ... 11
  • 1-3. 연구개발의 목표 ... 13
  • 가. 연구개발 최종목표 ... 13
  • 나. 최종목표의 성격 및 설정근거 ... 14
  • 1-4. 연구개발의 범위 ... 15
  • 1-5. 연구개발의 추진전략 및 체계 ... 19
  • 가. 연구개발의 추진전략 ... 19
  • 나. 연구개발의 추진체계 ... 20
  • 다. 연차별 연구개발 추진일정 ... 22
  • 라. 연구개발 단계별 추진 일정 ... 25
  • 2. 연구수행 내용 및 성과 ... 27
  • 2-1. 기술개발 현황 ... 27
  • 가. 일반현황 ... 27
  • 나. 폐자원(폐플라스틱/폐유리/폐아스콘) 재활용 기술 ... 28
  • 다. 중온 아스콘 도포포장 기술 ... 36
  • 2-2. 사용재료 및 폐자원(폐플라스틱/폐유리/폐아스콘) 재활용소재 개발 ... 46
  • 가. 아스팔트 바인더 ... 46
  • 나. 골재 및 채움재 ... 46
  • 다. 폐아스콘 재활용 아스콘용 순환골재 ... 47
  • 라. 폐유리 재활용 아스콘용 순환골재 ... 48
  • 마. 폐플라스틱 재활용 개질첨가제 ... 53
  • 바. 중온 첨가제 및 투입방법 개선 ... 54
  • 2-3. 중온 개질아스팔트 바인더 개발 ... 56
  • 가. 중온 개질아스팔트 바인더의 개발과정 ... 56
  • 나. 첨가제 조합 및 개질아스팔트(PMA, Polymer Modified Asphalt) 제조 ... 56
  • 다. 중온 개질아스팔트 바인더 특성 ... 58
  • 2-4. 순환 중온 개질아스콘 개발 ... 61
  • 가. 개요 ... 61
  • 나. 기층(BB-2) 최적 배합설계 ... 63
  • 다. 중간층(MC-1) 최적 배합설계 ... 64
  • 라. 표층(WC-2) 최적 배합설계 ... 65
  • 마. 고함량 아스콘용 순환골재(RAP)를 사용한 아스콘 배합설계 및 Re-recycling ... 66
  • 바. 플랜트 생산시스템 최적화 및 시제품 생산 ... 68
  • 2-5. 아스콘 플랜트 생산시스템 최적화 및 제품표준 ... 81
  • 가. 플랜트 생산시스템 최적 운영 매뉴얼 ... 81
  • 나. 순환 중온 개질 아스콘 제품표준 ... 109
  • 2-6. 순환 중온 개질 아스콘의 실내 공용성 평가 ... 132
  • 가. 개요 ... 132
  • 나. 순환 중온 개질 아스콘의 소성변형저항성 ... 141
  • 다. 순환 중온 개질 아스콘의 균열저항성 ... 144
  • 라. 순환 중온 개질 아스콘의 수분저항성 ... 145
  • 마. 순환 중온 개질 아스콘의 저온특성 ... 147
  • 바. 순환 중온 개질 아스콘의 동탄성계수 ... 148
  • 사. 순환 중온 개질 아스콘의 피로균열저항성 ... 152
  • 아. 순환 중온 개질 아스콘의 상대강도계수 산출 ... 154
  • 자. 혼합방법 개선에 따른 공용특성 및 노화도 개선효과 ... 155
  • 차. 중온 개질첨가제 사용에 따른 노화 회생효과 ... 158
  • 카. 중온 개질첨가제 사용에 따른 수분저항성 개선효과 ... 161
  • 타. 순환 중온 개질 아스콘 개발제품의 노화특성 평가 ... 164
  • 2-7. 순환 중온 개질 아스콘의 도로건설 현장 시험실증 ... 169
  • 가. 기층(BB-2) 제품 시험포장 ... 170
  • 나. 중간층(MC-1) 제품 시험포장 ... 172
  • 다. 표층(WC-2) 제품 시험포장 ... 173
  • 2-8. 현장 공용성 평가 및 모니터링 ... 174
  • 가. 실증도로 현장 하부구조에 대한 다짐평가 ... 174
  • 나. 실증도로 현장 공용성 평가 개요 ... 175
  • 다. 포장상태(PMS, Pavement Management System) 평가 ... 190
  • 라. 포장층 두께(GPR, Ground Penetrating Radar) ... 192
  • 마. 포장층 지지력(RDD, FWD) ... 192
  • 바. 실증도로 장기 공용성 평가 및 모니터링 ... 200
  • 2-9. 환경유해성 평가 ... 211
  • 가. 중금속 용출함량 ... 211
  • 나. 대기환경 유해물질 및 에너지 소비량 ... 214
  • 2-10. 자가회복기술 기반 예방적 유지보수 평가(Lab.Scale) ... 221
  • 가. 자가회복기술(Selfhealing) ... 221
  • 나. 자가회복률(Selfhealing Recovery Ratio) ... 224
  • 2-11. 경제성 평가 ... 228
  • 가. 순환 중온 개질아스콘의 제조원가 분석 ... 228
  • 나. 순환 중온 개질 아스콘의 경제성(LCC) 효과 ... 231
  • 2-12. 수요기관 참여 리빙랩 협의체 운영 및 추진실적 ... 236
  • 가. 수요기관 참여 리빙랩(Living-lab) 협의체 운영현황 ... 236
  • 나. 리빙랩(Living-lab) 협의체 추진실적 ... 237
  • 2-13. 순환 중온 개질 아스콘의 만족도 평가 ... 244
  • 가. 만족도 조사를 위한 설문서 ... 244
  • 나. 수요기관 만족도 ... 263
  • 다. 사용자 만족도 ... 279
  • 2-14. 기술적 성과 ... 289
  • 가. 기술수준 및 기술개발 성과 ... 289
  • 나. 연구 실적물 ... 291
  • 3.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 기여도 ... 300
  • 3-1. 연구목표 및 평가 착안점 ... 300
  • 가. 연도별 연구목표 및 평가 착안점 ... 300
  • 나. 최종 연구목표 및 평가 착안점 ... 301
  • 3-2. 목표 달성여부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 ... 302
  • 가. 목표 달성도 ... 302
  • 나. 후속연구의 필요성 ... 303
  • 3-3. 관련 분야 기술발전 기여도 ... 303
  • 4.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등 ... 304
  • 4-1. 활용 계획 ... 304
  • 가. 연구개발성과 현황 ... 304
  • 나. 연구개발성과 활용 계획 ... 304
  • 4-2. 활용분야 및 활용방안 ... 305
  • 4-3. 기대효과 ... 307
  • 가. 기술적 측면 ... 307
  • 나. 경제·산업적 측면 ... 307
  • 다. 사회적 측면 ... 307
  • 붙임. 참고문헌 ... 308
  • 끝페이지 ... 313

표/그림 (300)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