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ata Science 기반 기후변화 대응 지원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전략 마련 연구
Developing a Strategy for Building a Data Science-based Climate Change Response Support Platform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연구원
연구책임자 진대용
참여연구자 표종철 , 조윤랑 , 한국진 , 김도연 , 김선태 , 한현경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21-12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2200017608
DB 구축일자 2022-12-05
키워드 연구데이터관리계획.기후변화 대응.데이터플랫폼.연구데이터.기후환경데이터.Data Management Plan (DMP).Climate Change Response.Data Platform.Research Data.Climate Environment Data.

초록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 결론
ㅇ 본 연구는 기후환경 분야의 데이터 사이언스(Data Science) 대응 플랫폼 전략 구축을 통해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후변화 대응을 강화하고, 디지털 전환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시범 연구임
ㅇ 1차 연도 연구에서는 분야별 기후변화 적응에 활용이 가능한 KEI 및 주요 외부기관의 데이터 현황을 조사하고,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활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데이터를 제안함
ㅇ 2차 연도 연구에서는 기존 적응데이터와 함께 최근 기후변화 연구에 활용도가 높은 응용데이터인 위성 데이터

Abstract

Ⅵ. Conclusion and Policy Recommendations
❏ Conclusion
ㅇ This study is a pilot study to strengthen data-centered responses to climate change and lay the foundation for digital transformation by establishing a data-science response platform strategy in the field of climate environment.
ㅇ In t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언 ... 3
  • 요약 ... 5
  • 목차 ... 19
  • 표목차 ... 21
  • 그림목차 ... 24
  • 약어 ... 28
  • 제1장 서론 ... 3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1
  • 2. 연구 범위 ... 33
  • 3. 연구 내용 및 방법론 ... 34
  • 제2장 기후환경 데이터 인벤토리 고도화 ... 36
  • 1. 국내 기후환경 응용 데이터 현황 ... 36
  • 2. 기후변화 대응 관련 데이터 현황 ... 61
  • 제3장 기후환경 데이터 관리 실행체계 구축 ... 93
  • 1. KEI 연구데이터 관리 개요 ... 93
  • 2. 연구데이터의 수집 및 관리 ... 103
  • 3. 연구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 124
  • 4. 연구데이터의 보존 및 공유 ... 133
  • 5. 연구데이터 구축 서비스 사례 및 시사점 ... 143
  • 6. KEI 연구데이터 활용·관리 체계 정립 ... 153
  • 제4장 KEI 기후환경 데이터 플랫폼 구축전략 ... 160
  • 1. KEI 기후환경 데이터 플랫폼 구축 개요 ... 160
  • 2. KEI 기후환경 데이터 플랫폼 구축전략 수립 ... 168
  • 제5장 KEI 기후환경 데이터 제공 서비스 구축 ... 192
  • 1. KEI 기후환경 데이터 제공 서비스 개요 ... 192
  • 2. KEI 기후환경 데이터 제공 서비스 방안 마련 ... 193
  • 3. 기후환경 정책-데이터 연계 서비스 방안 ... 210
  • 제6장 결론 및 제언 ... 213
  • 1. 결론 ... 213
  • 2. 연구의 한계점 및 보완사항 ... 216
  • 참고문헌 ... 219
  • 부록 ... 231
  • 부록Ⅰ. 국립산림과학원 DAF 설문지 전문 ... 233
  • 부록Ⅱ. KEI 기후환경 데이터 플랫폼 구축전략 마련을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 구성 문항 ... 241
  • 부록Ⅲ. 기후환경 데이터 인벤토리(기후변화 대응-완화 부문) ... 248
  • Executive Summary ... 271
  • 끝페이지 ... 305

표/그림 (141)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