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고려대학교 Korea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김경해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1-12 |
과제시작연도 |
2020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
등록번호 |
TRKO202200019307 |
과제고유번호 |
1711121013 |
사업명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DB 구축일자 |
2023-03-21
|
키워드 |
만성요통.생물심리사회모델.사이토카인.재발.신체활동.chronic low back pain.biopsychosocial model.cytokines.pain flares.physical activity.
|
초록
▼
□ 연구개요
본 연구는 생물심리사회적 모델(biopsychosocial model)에 근거하여 비특이적 만성 요통환자의 신체활동, 스트레스, 기분, 염증성 바이오마커, 통증 자가관리(통증의 강도, 일상생활 간섭, 장애)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기술적 종단연구(longitudinal descriptive study)이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연구목표1: 만성요통환자의 신체활동, 일별 증상(우울감, 스트레스), 염증성 바이오마커, 통증 파국화, 움직임 공포, 통증 자가관리의 자가 효능감을 기술하고 변수
□ 연구개요
본 연구는 생물심리사회적 모델(biopsychosocial model)에 근거하여 비특이적 만성 요통환자의 신체활동, 스트레스, 기분, 염증성 바이오마커, 통증 자가관리(통증의 강도, 일상생활 간섭, 장애)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기술적 종단연구(longitudinal descriptive study)이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연구목표1: 만성요통환자의 신체활동, 일별 증상(우울감, 스트레스), 염증성 바이오마커, 통증 파국화, 움직임 공포, 통증 자가관리의 자가 효능감을 기술하고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이에 따른 요통환자의 통증, 일상생활 장애를 확인한다.
☞ 계획대로 각 21명의 비특이적 만성요통환자와 21명의 건강한 대조군을 모집함.
☞ 연구대상자는 다이어리, 핏비트 활동 추적기, 타액 수집 도구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완료함.
☞ 목표1 변인들의 시간적 변화를 시각화하고 정량화하였음. 요통환자의 스트레스, 움직임 공포, 장애, 통증 변수의 시간적 변동을 표현한 Table 1에서 일괄적으로 움직임 공포가 높았고, 일별 상태변수인 스트레스, 장애도 정상보다 높았음을 알 수 있었음. 특히, 13일간 스트레스의 변화가 통증과 유사하게 변화한다는 것을 확인함.
연구목표2: 만성요통환자군과 건강한 대조군 간의 신체활동, 불안, 우울감, 타액 염증성 바이오마커, 통증 및 장애의 변화를 비교·분석한다.
☞ 각 타액 염증성 바이오마커(IL-6, IL-10, TNF-α)의 평균을 그룹별로 비교함.
☞ 타액 염증성 바이오마커 중 IL-10이 일별 스트레스, 불안, 우울, 통증 파국화, 일상생활 간섭, 장애와 관련이 있었음.
☞ 다층모형분석으로 통증 및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를 확인하였음. 이러한 영향은 그룹 간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는 만성요통의 생물(신체활동, 염증성 바이오마커)·심리(불안, 우울, 스트레스)·사회적 요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맞춤형 통증 관리 프로그램 제공의 초석을 마련한다. 염증반응이 요통의 주요한 메커니즘으로 인식되고 있어 IL-10, IL-6, TNF-α 농도를 요통환자의 신체활동, 기분, 스트레스, 통증 정도와 비교함은 효과적인 맞춤형 통증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IL-10가 불안, 우울, 일별 스트레스와 관계가 있었고 자가관리 상황적 요소인 통증파국화, 움직임 공포에 영향을 받아서 자가관리 결과적 요소인 통증 및 장애에 최종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통환자의 스트레스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하고, 통증신경과학 교육과 탈감작화(desensitization) 교육이 요통환자의 통증 조절 및 장애 정도 감소를 위해 활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개발의 결과는 정량적 감각기능 검사(quantitative sensory testing[QST])를 이용해 통증과 통증 민감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함으로 개인 맞춤형 통증 관리의 객관적 지표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러한 정보를 통합하여 맞춤형 통증 재발 방지 프로그램을 위한 빅데이터를 마련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 헬스케어의 중심인 개인 맞춤형 의료에 혁신을 촉진할 것이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결과 요약문 ... 2
- 목차 ... 3
-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4
- 1.1 연구개발의 필요성 ... 4
- 1.2 연구개발의 목적 ... 4
- 1.3 연구의 최종목표 ... 4
- 2.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과정 및 수행 내용 ... 4
- 2.1 연구개발과제의 이론적 기반 ... 4
- 2.2 연구개발과제 수행 과정 및 내용 ... 4
- 3.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결과 및 목표 달성 수준 ... 6
- 1) 정성적 연구개발성과(연구개발결과) ... 6
- 2) 세부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 9
- 3) 목표 달성 수준 ... 9
- 4. 연구개발성과의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정도(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9
- 5.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 10
- 6. 참고문헌 ... 10
- 붙임1 세부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 12
- 끝페이지 ... 1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