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문의료와 ICT에 기반한 지역협력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community-based collaborative care model based on home-based medicine and IC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성공회대학교
연구책임자 김창오
참여연구자 최은희 , 신동수 , 유원섭 , 장숙랑 , 윤주영 , 박한나 , 최문정 , 남혜진 , 이연호 , 정현진 , 서동민 , 남일성 , 이태훈 , 이혜진 , 조미희 , 이자경 , 전용호 , 최재우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22-04
과제시작연도 2021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등록번호 TRKO202300004869
과제고유번호 1465034373
사업명 국민건강스마트관리연구개발사업(R&D)
DB 구축일자 2023-08-16
키워드 지역사회 통합돌봄.방문의료.정보통신기술.보건복지 거버넌스.장기요양예방.Community Care.Home-Based Primary Care.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Health and Social Welfare Governance.Prevention of Long-Term Care.

초록

○ 본 연구는 다음의 4단계 절차에 따라 추진됨.
- 1단계 준비단계: 의료, 간호, 보건, 복지, 공학분야 12명 다학제 연구팀 구성
- 2단계 체계분석: 문헌고찰 및 8개사업 운영구조 분석(SELFIE 프레임웤 적용)
- 3단계 포럼수행: 24명의 국내외 전문가와 함께 총 7회 공개포럼 수행
- 4단계 대안제안: 전문가 숙의를 통해 통합돌봄 혁신모형(최종안) 제안

○ 전문가 숙의과정을 통하여 기존의 노인돌봄체계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통합돌봄 혁신모형의 18가지 영역별 권고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안함

Abstract

We critically reviewed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 community care pilot project, and examine how health care and social services with different financial resources and delivery systems can be developed into an integrated care model that reflects a person-centered perspec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보고서요약 ... 2
  • 요약서 ... 10
  • 요약문 ... 11
  • 제출문 ... 24
  • 목차 ... 28
  • 표목차 ... 30
  • 그림목차 ... 32
  • 제1장 서론 ... 35
  •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36
  • 2. 연구목적 ... 36
  • 3. 연구방법 ... 37
  • 제2장 이론적 배경 : 통합돌봄의 국외사례 ... 41
  • 1. PRISMA(Program of Research to Integrate the Services for the Maintenance of Autonomy) 모형 ... 42
  • 2. Joint Strategic Commissioning 모형 ... 49
  • 3. SELFIE(Sustainable intEgrated chronic care modeLs formulti-morbidity: delivery, FInancing, and performancE) Framework ... 54
  • 제3장 기존체계 분석 : 통합돌봄 재설계의 필요성 ... 67
  • 1. 우리나라 주요 지역사회중심 보건의료복지 사업운영 현황 ... 68
  • 2. 8가지 사업의 운영구조 분석 ... 117
  • 3. 지역협력 모형개발을 위한 접근법 ... 149
  • 제4장 선도사업을 통해 바라본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과제 ... 155
  • 1. 지역사회통합돌봄 대두 배경 ... 156
  • 2. 지역사회통합돌봄 정의 및 지향점 ... 158
  • 3. 지역사회통합돌봄 선도사업 소개 및 성과 ... 159
  • 4. 지역사회통합돌봄체계 재구상 ... 166
  • 제5장 전문가포럼 : 통합돌봄 연속포럼 주요결과 요약 ... 177
  • 1. 지역사회 통합돌봄 추진 4년, 그리고 앞으로 10년 ... 178
  • 2. 환자중심 일차의료, 지역사회 안으로 녹아들 수 있을까? ... 187
  • 3. 우리나라에서 재택의료, 성공할 수 있을까? ... 189
  • 4. 지역사회가 원하는 재가간호, 과연 어떤 모습일까? ... 194
  • 5. 이제는 예방이다: 장기요양 예방을 위한 지역 만들기 ... 200
  • 6. Post-AI 시대, 지역사회 통합돌봄 어떻게 변화할까? ... 204
  • 7. 종합포럼: 지역통합돌봄 2.0 모형의 제안 ... 207
  • 제6장 쟁점사항 : 부문별 대안요소 검토사항 ... 211
  • 1. 노인주치의 제도 구상 ... 212
  • 2. 노인맞춤 돌봄서비스사업의 발전방안 ... 225
  • 3. 방문건강관리사업의 통합적 운영 방안 ... 236
  • 4.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리더십 개편방안 ... 242
  • 5. 의사‧간호사 인력 확보방안 ... 250
  • 제7장 보건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한 통합돌봄 혁신모형의 제안 ... 261
  • 1. 모형개발의 원칙과 한계점 ... 262
  • 2. 목표와 대상자 ... 263
  • 3. 재정 ... 266
  • 4. 서비스 전달 ... 272
  • 5. 리더십과 거버넌스 ... 276
  • 6. 인력 ... 280
  • 7. 정보통신기술과 연구 ... 283
  • 제8장 결론 ... 287
  • 1. 연구내용의 요약 ... 288
  • 2. 연구의 한계점 ... 290
  • 3. 연구의 의의 ... 290
  • 참고문헌 ... 291
  • 부록. 통합돌봄 연속포럼 1~7회차 전사자료 ... 295
  • 끝페이지 ... 505

표/그림 (77)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