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김광일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3-03 |
과제시작연도 |
2022 |
주관부처 |
질병관리청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KDCA) |
연구관리전문기관 |
질병관리청 |
등록번호 |
TRKO202300028473 |
과제고유번호 |
1776000200 |
사업명 |
헬스케어이종데이터활용체계및인공지능개발(R&D) |
DB 구축일자 |
2023-11-15
|
키워드 |
노인.노쇠.예방.디지털 헬스케어.웨어러블 디바이스.Older adults.frailty.prevention.digital healthcare.wearable device.
|
초록
▼
고령화로 인해 만성질환의 부담이 늘어나고 노인 의료비가 증가하나 노인의 건강수준은 개선되지 못하고 돌봄 부담이 증가하고 있음. 질병중심의 관리 전략은 노인의 신체 및 인지 기능저하를 효과적으로 예방하지 못함. 향후 건강하고 활기찬 노년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쇠기반의 새로운 접근방식이 필요함. 글로벌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은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전망임. 노인을 대상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이용하여 건강을 증진하고자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디지털 헬스케
고령화로 인해 만성질환의 부담이 늘어나고 노인 의료비가 증가하나 노인의 건강수준은 개선되지 못하고 돌봄 부담이 증가하고 있음. 질병중심의 관리 전략은 노인의 신체 및 인지 기능저하를 효과적으로 예방하지 못함. 향후 건강하고 활기찬 노년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쇠기반의 새로운 접근방식이 필요함. 글로벌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은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전망임. 노인을 대상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이용하여 건강을 증진하고자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디지털 헬스케어 기반의 노쇠 중재를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음. 이에 현황분석을 바탕으로 노쇠예방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디바이스 활용 방안 수립, 노쇠 지표 발굴,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활용한 노인 친화적인 노쇠 중재 및 모니터링 방안 마련, 노쇠 예방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응용 연구 프로토콜 개발 및 제안을 하고자 하였음.
설문조사에서 고령자의 인터넷, 스마트폰 이용률은 매우 높았으나 스마트폰 사용자 중에서도 혼자서 앱을 설치할 수 있는 경우는 소수로 주로 자녀가 앱을 설치해주고 있어 향후 앱 기반의 건강관리 모델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가족의 도움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됨. 앱과 웨어러블 기기를 기반으로 의료정보 관리 및 의료진과의 소통에 활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고, 이에 디지털 기술이 실제 건강 및 질병관리에 연계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보다 많이 활용될 수 있겠음.
최근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의 동향은 모니터링이나 교육을 제공하는 소극적인 중재에서 환자의 행동 패턴을 변화시키는 목적으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며, 컴퓨터나 웹 기반에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는 것으로 변화가 관찰되었음.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사용하여 노쇠를 평가하는 것은 일상생활의 방해 없는 감지 및 빅데이터 분석 기능을 결합하여 기능에 대한 종합적인 관점을 제공하므로 전통적인 노쇠 진단 및 선별 과정보다 장점을 가지고 있음. 새로운 노쇠지표 측정 과정은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간단한 숫자나 시각화된 방법을 활용하여 사용자 친화성을 가져야 하고, 연구자의 연구를 위한 심화 데이터 추출이 가능해야 할 것임.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은 신체 뿐만 아니라 인지적, 기능적, 환경적, 사회적 영역을 모두 포함하여 통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응용하여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노쇠를 평가하고 이를 기반을 한 맞춤형 노쇠 예방 중재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문 4p)
Abstract
▼
Due to population aging, the burden of chronic diseases and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increase, and at the same time, the health level of the elderly does not improve and the burden of care increases is emerging as another problem. Chronic disease management, which focuses on diseases that do
Due to population aging, the burden of chronic diseases and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increase, and at the same time, the health level of the elderly does not improve and the burden of care increases is emerging as another problem. Chronic disease management, which focuses on diseases that do not consider the effects on the body and cognitive function, fails to effectively prevent functional decline,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burden of care. We need a new frailty-based approach to health promotion and function. The global smart healthcare market is showing a high growth rate, and with the prospect of explosive growth in demand for digital healthcare due to COVID-19. Although it has been proposed, there are still many challenges to be solved for frailty intervention based on digital healthcare.
Therefor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establish a plan to utilize healthcare devices to prevent frailty, discover frailty indicators, prepare elderly-friendly frailty intervention and monitoring plans using digital healthcare technology, and develop a research protocol for applying digital healthcare technology to prevent frailty.
In our study, the Internet and smartphone usage rates of the older adults were very high, but among smartphone users, only a small number of smartphone users were able to install apps by themselves, and mainly their children installed the apps. There were not many cases where apps and wearable devices were used for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with medical providers, so it is expected that digital technology will be used more when it is developed to be linked to actual health and disease management.
A recent trend in digital healthcare research has been to provide various efforts to actually change the behavioral patterns of older adults from passive interventions that provide monitoring and education using digital devices, and progress using mobile devices in computer or web applications. Identifying frailty using digital healthcare technology is superior to traditional frailty diagnosis and screening processes, as it combines non-disruptive detection and big data analysis of daily life to provide a holistic view of functioning.
The process of measuring new frailty indicators should be easy to use without fear even for non-experts, should be user-friendly by using simple numbers or visualized methods, and should be able to extract in-depth data for research by researchers.
The newly developed digital healthcare technology provides an opportunity to see not only the body but also the cognitive, functional, environmental, and social domains in an integrated manner.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vulnerability of multiple areas and organs inherent in frailty.
(source : Summary 5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목차 ... 3
- 요약문 ... 4
- Summary ... 5
- 학술연구개발용역과제 연구결과 ... 7
- 제1장 최종 목표 ... 7
- 제2장 국내외 기술 현황 ... 19
- 제3장 최종 연구 내용 및 방법 ... 34
- 제4장 최종 연구 결과 ... 49
- 제5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191
- 제6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 194
- 제7장 연구용역과제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197
- 제8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197
- 제9장 연구비 사용 내역 및 연구원 분담표 ... 198
- 제10장 참고문헌 ... 199
- 제11장 첨부서류 ... 202
- 끝페이지 ... 22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