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헬스케어 인공지능 연구 활용을 위한 윤리 지침 및 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Ethical Guidelines and Educational Program for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Healthcare Research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
연구책임자 김한나
참여연구자 김소윤 , 김은애 , 김준혁 , 심진아 , 이유리 , 김수민 , 이정임 , 김아린 , 이동기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23-04
과제시작연도 2022
주관부처 질병관리청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KDCA)
등록번호 TRKO202300028507
과제고유번호 1776000228
사업명 헬스케어이종데이터활용체계및인공지능개발(R&D)
DB 구축일자 2023-11-15
키워드 헬스케어 데이터.인공지능 연구.윤리 지침.윤리 교육 프로그램.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개인정보 보호법.Healthcare Data.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Ethical Guidelines.Ethics Education.Bioethics and Safety Act.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초록

본 연구는 급속도로 발전하는 헬스케어 인공지능 연구의 기획과 수행에 적용할 수 있는 윤리원칙 및 실제적으로 활용가능한 지침을 개발하는 것, 그리고 연구자들의 교육 수요를 파악하여 연구 윤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첫째, 이 연구는 국내‧외 헬스케어 인공지능 연구에 적용가능한 윤리원칙 및 지침,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7년 이후 보건·의료분야에 특정한 AI 가이드라인이 개발되기 시작한 이래, 보건 분야 18개, 연구 분야 27개, 정부 기관 발행 22개

Abstract

This project aims to develop ethical principles and guidelin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rapidly developing healthcare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and to develop a research ethics education program by identifying the educational needs of researchers.

The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목차 ... 3
  • 요약문 ... 7
  • Summary ... 9
  • II. 학술연구개발용역과제 연구결과 ... 11
  • 제1장 최종 목표 ... 11
  •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 11
  • 제2절 연구목표 및 범위 ... 14
  • 제3절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 대한 기여도 ... 15
  • 제2장 국내외 기술 현황 ... 17
  • 제1절 헬스케어 스마트기술 및 산업의 잠재적 가치와 활용 ... 17
  • 제2절 헬스케어 AI 시장규모 및 미래 전망 ... 18
  • 제3절 세계 주요국의 헬스케어 AI 분야의 발전 전략 ... 18
  • 제3장 최종 연구 내용 및 방법 ... 22
  • 제1절 헬스케어 AI 연구 윤리원칙 및 지침 ... 22
  • 제2절 연구자 대상 헬스케어 AI 연구윤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 25
  • 제3절 전문가, 연구자 및 일반인의 참여와 소통, 연구 결과의 확산 ... 29
  • 제4장 최종 연구용역과제 결과 ... 32
  • 제1절 헬스케어 AI 관련 주요 개념 ... 32
  • 제2절 국내‧외 헬스케어 AI 윤리원칙 지침 동향 조사 ... 37
  • 제3절 국내‧외 헬스케어 AI 윤리 사례 조사 ... 81
  • 제4절 국내‧외 헬스케어 AI 윤리 교육 동향 조사 ... 98
  • 제5절 일반인 대상 헬스케어 AI 윤리 인식 조사 ... 116
  • 제6절 전문가 대상 헬스케어 AI 윤리 교육 수요 조사 ... 141
  • 제7절 헬스케어 AI 연구 윤리 원칙 활용 지침 개발 ... 217
  • 제8절 연구자 대상 AI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 248
  • 제9절 결과 확산 ... 259
  • 제5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308
  • 제6장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계획 ... 310
  • 제7장 연구용역과제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317
  • 제8장 기타 중요 변경사항 ... 317
  • 제9장 연구비 사용 내역 및 연구원 분담표 ... 318
  • 제10장 참고문헌 ... 321
  • 제11장 첨부서류 ... 333
  • 1. AI 윤리원칙 및 지침 발간·발표 동향 ... 333
  • 2. WHO 의료분야 AI 윤리와 거버넌스 지침서 일부 번역 ... 342
  • 3. UNESCO 윤리 지침 초안 (한국어판) ... 352
  • 4. 일본인공지능학회 윤리지침 (한국어판) ... 389
  • 5. 미 백악관 과학기술정책국(OSTP) AI 권리장전 청사진 ... 391
  • 6. 설문 조사를 위한 기관심의위원회 승인 자료 ... 393
  • 7. 일반인 대상 설문조사지 ... 395
  • 8.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지 ... 409
  • 9. 국내·외 학술 관련 자료 ... 430
  • 10. 언론홍보 ... 439
  • 11. 주요 회의록 및 공청회 ... 444
  • 끝페이지 ... 455

표/그림 (151)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