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충남대학교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서상희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4-03 |
과제시작연도 |
2023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
등록번호 |
TRKO202400006184 |
과제고유번호 |
1711188676 |
사업명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DB 구축일자 |
2024-09-04
|
키워드 |
인플루엔자.바이러스.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백신.Influenza.Virus.Highly pathogenic.avian influenza.vaccine.
|
초록
▼
□ 연구개요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HA 단백질 부분에 고병원성 유전자 (R, K) 첨가는 세포내 Golgi Apparatus에서 Furin-like 효소에 의해 바이러스 Packaging 전에 분절되어 뇌를 포함 한 전신 기관세포에 감염하여 전신 기관을 파괴하여 감염된 가금에 치명적인 질병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그러나, 국제적으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분절 부위에 있는 고병원성 유전자 (RRRK), 염기성 아미노산 R (arginine) 및 K (Lysine),의 상호작용이 동물에 대한 병원성에 미
□ 연구개요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HA 단백질 부분에 고병원성 유전자 (R, K) 첨가는 세포내 Golgi Apparatus에서 Furin-like 효소에 의해 바이러스 Packaging 전에 분절되어 뇌를 포함 한 전신 기관세포에 감염하여 전신 기관을 파괴하여 감염된 가금에 치명적인 질병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그러나, 국제적으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분절 부위에 있는 고병원성 유전자 (RRRK), 염기성 아미노산 R (arginine) 및 K (Lysine),의 상호작용이 동물에 대한 병원성에 미치는 기전은 규명되어 있지 않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고병원성 H5N6 조류인플루엔자의 HA의 고병원성 유전자 (RRRK)의 병원성에 미치는 상호작용 규명 (I):
-재조합 바이러스[H5N6-HA (R), H5N6-HA (RR), or H5N6-HA (RRR)의 닭에 대한 치사율: H5N6-HA (R) 재조합 바이러스로 감염된 닭은 100% 생존, H5N6-HA (RR) 재조합 바이러스로 감염된 닭은 50% 생존, H5N6-HA (RRR) 재조합 바이러스로 감염된 닭은 100% 사망하였음.
-재조합 바이러스[H5N6-HA (R), H5N6-HA (RR), or H5N6-HA (RRR)의 오리에 대한 치사율: H5N6-HA (R) 재조합 바이러스로 감염된 오리는 100% 생존, H5N6-HA (RR) 재조합 바이러스로 감염된 오리는 70% 생존, H5N6-HA (RRR) 재조합 바이러스로 감염된 오리는 100% 사망하였음-닭 에 대한 재조합 바이러스들 , H5N6-HA (K), H5N6-HA (RK), H5N6-HA (RRK) 의 병원성 규명:H5N6 조류인플루엔자 HA 분절 위치에 (RK, RRK)를 가진 재조합 바이러스, H5N6-HA (RK), H5N6-HA (RRK),로 감염한 닭 들은 감염 4일까지 모두 폐사 하였으나, HA 분절 위치에 (K)를 가진 재조합 바이러스, H5N6-HA (K), 로 감염한 닭 들은 모두 생존하였음.-오리 (n=10)에 대한 재조합 바이러스들, H5N6-HA (K), H5N6-HA (RK), H5N6-HA (RRK), 의 병원성 규명:H5N6 조류인플루엔자 HA 분절 위치에 (RK, RRK)를 가진 재조합 바이러스, H5N6-HA (RK), H5N6-HA (RRK),로 감염한 2주령 오리들은 감염 6일까지 모두 폐사 하였으나, HA 분절 위치에 (K)를 가진 재조합 바이러스, H5N6-HA (K), 로 감염한 2주령 오리들은 모두 생존하였음.
○ 고병원성 유전자 (RRRK)의 Peptide 백신의 닭 및 오리에 대한 면역원성 및 방어효능 규명: RRRK를 포함한 H5 cleavage site 펩타이드는 다양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감염으로부터 닭 및 오리를 방어하였음.
○ 고병원성 유전자 (H5-RRRK)의 변형 Peptide 백신 항원 (H5-K, H5-RK, H5-RRK) 의 면역원성 및 방어효능 검증:
-닭 (n=10 per group)에 대한 고병원성 유전자 (H5-RRRK)의 변형 Peptide 백신 항원 (H5-K, H5-RK, H5-RRK) 의 면역원성 및 방어 효능 검증:닭 항체역가: 펩타이드 (H5-K, H5-RK, H5-RRK) 에 대한 항체 역가는 3주 (0.26OD-0.57OD)후부터 확인되고 5주 (0.27-0.48OD) 후 에도 지속되었음. 닭 치사율: 펩타이드 (H5-RRK) 백신 한 닭은 H5N6 조류인플루엔자 공격접종 시 모두 생존하였으나, 펩타이드 (H5-K, H5-RK) 백신 한 닭은 H5N6 조류인플루엔자 공격접종 시 4일까지 모두 폐사하였음. -오리 (n=10 per group)에 대한 고병원성 유전자 (H5-RRRK)의 변형 Peptide 백신 항원 (H5-K, H5-RK, H5-RRK) 의 면역원성 및 방어효능 검증: 오리 항체역가: 펩타이드 (H5-K, H5-RK, H5-RRK) 에 대한 항체 역가는 3주 (0.39OD-0.47OD)후부터 확인되고 5주 (0.31-0.38OD) 후에도 지속되었음.오리 치사율: 펩타이드 (H5-K, H5-RK, H5-RRK) 백신 한 오리는 H5N6 조류인플루엔자 공격접종 시 모두 생존하였고, 이는 3주령 이상의 나이에 따른 저항성임.
○ 고 병원성 H5N6 조류인플루엔자의 각 유전자의 닭 및 오리에 대한 병원성 및 전파성 규명: 재조합 H5N6 바이러스, H5N6-PB2 (H5N3), H5N6-PB1 (H5N3), H5N6-PA (H5N3), H5N6-HA (H5N3), 의 닭 및 오리에 대한 병원성 및 전파성 규명:
-닭에 대한 병원성 규명: 고병원성 H5N6 조류인플루엔자 HA를 포함한 재조합 바이러스 [H5N6-PB2 (H5N3), H5N6-PB1 (H5N3), H5N6-PA (H5N3)]로 감염한 닭은 감염 후 4일까지 100% 치사율을 보였고, 저병원성 H5N3 조류인플루엔자 HA를 포함한 재조합 바이러스 H5N6-HA (H5N3)로 감염한 닭은 100% 생존하였음. -닭에 대한 전파성 규명: 고병원성 H5N6 조류인플루엔자 HA를 포함한 재조합 바이러스 [H5N6-PB2 (H5N3), H5N6-PB1 (H5N3), H5N6-PA (H5N3)]로 감염한 닭을 접촉한 닭은 접촉 후 8일까지 100% 치사율을 보였고, 저병원성 H5N3 조류인플루엔자 HA를 포함한 재조합 바이러스 H5N6-HA (H5N3)로 감염한 닭은 100% 생존하였음.
-오리에 대한 병원성 규명: 고병원성 H5N6 조류인플루엔자 HA를 포함한 재조합 바이러스 [H5N6-PB2 (H5N3), H5N6-PB1 (H5N3), H5N6-PA (H5N3)]로 감염한 2주령 오리는 감염 후 6일까지 100% 치사율을 보였고, 저병원성 H5N3 조류인플루엔자 HA를 포함한 재조합 바이러스 H5N6-HA (H5N3)로 감염한 오리는 100% 생존하였음. -오리에 대한 전파성 규명:고병원성 H5N6 조류인플루엔자 HA를 포함한 재조합 바이러스 [H5N6-PB2 (H5N3), H5N6-PB1 (H5N3), H5N6-PA (H5N3)]로 감염한 2주령 오리를 접촉한 2 주령 오리는 접촉 후 9일까지 100% 치사율을 보였고, 저병원성 H5N3 조류인플루엔자 HA를 포함한 재조합 바이러스 H5N6-HA (H5N3)로 감염한 오리는 100% 생존하였음.
○ 닭 및 오리 CD4+ T 임파구 증식 H5N6 NP peptide 면역증강제 개발: 고 병원성 H5N6 NP (Nucleoprotein) (501 AA) 의 30-mer Peptide 합성: 각 Peptide간에는 5-mer 중첩되게 합성하였음.
-합성된 H5N6 NP Peptide의 닭 및 오리 CD4+ T 임파구 증식 실험: 20개 펩타이드 중 17번, 19번, 및 5번 펩타이드 (peptide)가 닭 및 오리 T 임파구 증식성을 자극하였음. 이 셋 중 17번 (NP 401-430) 및 19번 펩타이드 (NP 451-480)가 닭 및 오리 CD4 T 임파구 유도 주요 펩타이드 (peptide) 임.
○ 닭 및 오리 CD4+ epitope 첨가 고병원성 유전자 (RRRK) Peptide 백신의 닭 및 오리에 대한 면역성 및 방어효능 규명:
-닭 및 오리 (n=10 per group) 에 대한 CD4+ epitope-conjugated 고병원성 유전자 (RRRK) 기반 Peptide의 면역성 및 방어효능 검증:-백신한 닭 및 오리의 항체: CD4+ T 임파구 epitope Peptide 항원 (#19: NP 451-480: AKPEDVSFQGRGVFELSDEKATNPIVPSFD)를 첨가한 H5 cleavage peptide는 강한 항체를 닭 및 오리에서 유도하였음 (0.45: 닭; 0.35: 오리).-백신한 닭의 생존율: CD4+ T 임파구 epitope Peptide 항원 (#19: NP 451-480: AKPEDVSFQGRGVFELSDEKATNPIVPSFD)를 첨가한 H5 cleavage peptide를 접종받은 닭은 공격 접종 후 모두 생존하였음. -백신한 오리의 생존율: CD4+ T 임파구 epitope Peptide 항원 (#19: NP 451-480: AKPEDVSFQGRGVFELSDEKATNPIVPSFD)를 첨가한 H5 cleavage peptide를 접종받은 오리는 공격 접종 후 모두 생존하였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연구 결과물을 추가 논문 제출에 활용할 계획임.
-연구 결과물을 학회 발표 자료로 활용할 계획임.
-연구 결과물은 범용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가금 백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임.
-연구 결과물은 대유행 대비한 인플루엔자 범용 백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임.
(출처 : 요약문 2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결과 요약문 ... 2
- 목차 ... 3
-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4
- 2.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과정 및 수행 내용 ... 4
- 3.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결과 및 목표 달성 수준 ... 16
- 1) 정성적 연구개발성과(연구개발결과) ... 16
- 2) 세부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 17
- 3) 목표 달성 수준 ... 17
- 4. 연구개발성과의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정도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18
- 5.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 18
- 6. 자체점검표 ... 19
- 7. 참고문헌 ... 19
- 끝페이지 ... 3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