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양대학교 HanYang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김주형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4-03 |
과제시작연도 |
2023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
등록번호 |
TRKO202400008281 |
과제고유번호 |
1711179876 |
사업명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
DB 구축일자 |
2024-09-19
|
키워드 |
디지털 트윈.의사결정 지원.맞춤형 공간 구성.공간 인식도.생체지표.Digital Twin.Decision-making Support.Personalized Spatial Composition.Spatial Perception.Bio-markers.
|
초록
▼
◻ 연구개요
COVID-19 팬더믹 이후 접촉 최소화를 위한 개인 공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생체지표 기반 감성디자인, 개인의 기질을 반영한 퍼스널 디자인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지만, 실내 공간은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불평등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맞춤형 공간 구성에 한계가 있음.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디지털트윈 기반 기질, 인식도, 생체지표를 융합한 의사결정 프레임워크 개발을 목표로 함. 이를 위해 1) 디지털 트윈(혼합현실, 3D 모델링)을 활용하여 공간 시각화로 직관적 정보를 제공하여 기존 의사소통 방식
◻ 연구개요
COVID-19 팬더믹 이후 접촉 최소화를 위한 개인 공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생체지표 기반 감성디자인, 개인의 기질을 반영한 퍼스널 디자인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지만, 실내 공간은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불평등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맞춤형 공간 구성에 한계가 있음.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디지털트윈 기반 기질, 인식도, 생체지표를 융합한 의사결정 프레임워크 개발을 목표로 함. 이를 위해 1) 디지털 트윈(혼합현실, 3D 모델링)을 활용하여 공간 시각화로 직관적 정보를 제공하여 기존 의사소통 방식 한계 해소, 2) 개인 기질/성향 검사, 뇌파, 심전도 등의 생체지표, 공간 인식도를 통합하여 의사결정 지원 프레임워크를 개발 3) 확대적용을 위해 그룹의 의사결정 성향, 선호 공간의 유형에 따른 그룹 맞춤형 공간구성 의사결정 프레임워크를 개발할 것이며, 이는 건축공학, 심리학, 생리학 등의 다학제 간 융합연구를 통해 맞춤형 공간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원천 기술임.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정량적 목표 : 당초 계획인 (1) SCI급 논문 4편 게재, (2) 국내 논문 6편 게재, (3) 국내 학술대회 논문 4편 게재, (4) 석사 인력 4인 배출, (5) 박사 인력 2명 배출 중, SCI급 논문 4편 게재, 국내 논문 2편 게재, 국내 학술대회 논문 4편 게재, 석사 인력 6인 배출, 박사 인력 1명 배출을 달성하여, 주요 목표 (1), (3), (4)를 달성하였음.
정성적 목표 : 클라이언트에게 발생할 수 있는 정보 불평등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혼합현실을 활용한 공간 의사결정 지원 모형을 개발하였음. 체계적 이론고찰을 통해 인간의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 구성 요소를 분류하였으며, 공간의 색, 벽 재질, 바닥 재질, 가구 배치, 천장 높이로 분류하였으며, 해당 옵션을 구성할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였음.
연구 목표대비 정량적 연구결과는 효과적으로 수행되었으며, 미흡한 부분((2) 국내 논문 4편 부족, (5) 박사 인력 1명 부족)이 있으나, 이는 보완 가능한 범위 내의 내용임. 정성적 연구결과는 목표한 내용을 충분히 수행하였으며, 프레임워크 제안을 통해 추후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초석을 다짐.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공간 구성, 가상 환경, 생체지표, 공간 인식, 업무 효율, 개인의 기질이 복합적으로 연구하여 공간 구성 요소가 인간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업무 수행 능력과 뇌파 및 심박수 등 생채지표, 공간에 대한 정성적 감성척도를 활용하였음.
본 과제에 활용된 공간 구성 요소 뿐 아니라, 다양한 공간 구성 요소를 통해, 학습 효과, 업무 효과, 창의성 등 다양한 영향에 대해 분석함으로서 인지심리, 교육공학, 뇌과학, 공간 심리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의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결과 요약문 ... 2
- 목차 ... 3
-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4
- 2.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과정 및 수행 내용 ... 5
- 1) 주요 연구 변경사항 ... 5
- 2) 연구과제의 수행 과정 및 수행 내용 ... 5
- 3.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결과 및 목표 달성 수준 ... 8
- 1) 정성적 연구개발성과(연구개발결과) ... 8
- 2) 세부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 8
- 3) 목표 달성 수준 ... 8
- 4) 목표 미달 시 원인 분석 ... 8
- 4. 연구개발성과의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정도(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8
- 5.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 9
- 6. 자체점검표 ... 9
- 7. 참고문헌 ... 9
- 끝페이지 ... 3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