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농림축산검역본부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
연구책임자 |
최준구
|
참여연구자 |
김현정
,
강해은
|
보고서유형 | 연차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0-12 |
과제시작연도 |
2020 |
주관부처 |
농림축산식품부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
연구관리전문기관 |
농림축산검역본부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
등록번호 |
TRKO202400012167 |
과제고유번호 |
1545021141 |
사업명 |
농림축산검역검사기술개발(R&D) |
DB 구축일자 |
2024-10-02
|
키워드 |
모기.등에모기.모니터링.매개체성 질병.
|
초록
▼
4. 당해년도 연구결과 요약
○ 세부과제명: 전국 공항만 및 가축사육농가 모기 및 등에모기 분포조사 및 매개체성 질병 모니터링
1. 전국 공항만지역 동물질병 매개체 모니터링
1) 모니터링지역 : 전국 공항만지역(10개소, 공항1, 항만6, 동물계류장3)
2) ‘20년 10월까지 모기 모니터링 결과: 6속 16종 16,476마리 채집 및 분류 완료
● 5종 질병원인체(flavivirus, EEEV, WEEV, VEEV, ZIKV) 검사 결과 모두 음성 확인
3) ‘17-’19년도 모기 모니터링 결과 :
4. 당해년도 연구결과 요약
○ 세부과제명: 전국 공항만 및 가축사육농가 모기 및 등에모기 분포조사 및 매개체성 질병 모니터링
1. 전국 공항만지역 동물질병 매개체 모니터링
1) 모니터링지역 : 전국 공항만지역(10개소, 공항1, 항만6, 동물계류장3)
2) ‘20년 10월까지 모기 모니터링 결과: 6속 16종 16,476마리 채집 및 분류 완료
● 5종 질병원인체(flavivirus, EEEV, WEEV, VEEV, ZIKV) 검사 결과 모두 음성 확인
3) ‘17-’19년도 모기 모니터링 결과 : 19종, 68,734마리 채집 및 질병검사 완료
● Cul. pipiens(33,864마리, 49.3%)가 우점종으로 나타남
● 8월 가장 많은 개체수 채집(18,627마리, 27.1%)
● 5종 질병원인체(flavivirus, EEEV, WEEV, VEEV, ZIKV) 검사결과 모두 음성
4) ‘20년 10월까지 등에모기 모니터링 결과: 4종 등에모기 288마리 채집됨
5) ‘17-’19년도 등에모기 모티터링 결과 : 9종 1,181마리 채집 및 분류 완료
● C. circumscriptus(805마리, 68.2%), C. arakawae(314마리, 26.6%)순으로 채집
● ‘17년 시료 BTV 검사결과 전남 광양항 5월 채집 C. arakawae 1개 개체에서 BTV 양성 확인, 바이러스 미분리. 이외 매개체성 질병 검사 결과 전 시료 음성 확인
● ‘19년 9월 부산신항에서 채집된 C. circumbasalis는 분류동정기준 및 유전자 검사결과가 일치, 지금까지 기록된 적이 없는 미기록된 종으로 잠정 분류
2. 가축사육농가 동물질병 매개체 모니터링
1) 가축사육농가 모니터링 지역 점진적 확대
● 태국 아프리카마역(African horse sickness) 발생에 따라 말목장 매개체 모니터링 강화
- ’20년도 모니터링 지역: 한국마사회 소속 말농장(제주, 부산, 과천, 장수 5곳) 추가
- ’18-‘19년도 모니터링 지역: 전국 가축사육농가 16개소,
- ‘17년도 모니터링지역 : 제주 가축사육농가 10개소
2) ’20년도 10월까지 모기 모니터링 결과: 속 16종 11,626마리 모기가 채집
● 대부분 Aedes vexans nipponi(5,919마리, 50.9%)와 Anopheles sinensis(4,479마리, 38.5%)종이 많이 잡혀, 2017-2019년 채집결과와 같은 경향을 보임.
3) ‘17-’19년도 모기 모니터링 결과 : 18종 47,126마리 채집 및 질병 원인체 검사
● 공항만 지역에서는 Cul. pipiens 종이 압도적이었던 반면, 가축사육농가 지역에서는 Aed. vexans nipponi(23,579마리, 50.0%), Ano. sinensis(14,886마리, 31.6%)가 우점종으로 나타남
● 7월(13,714마리, 29.1%) 및 8월(22,895마리, 48.6%) 집중 발생
4) ‘20년 10월까지 등에모기 모니터링 결과: 12종 14,273마리 채집 및 분류 완료
● 지역별, 시기별 채집 등에모기 14,273마리 풀링 후 등에모기 매개체성 질병(BTV, Simbu group, AHS)검사 결과 김포에 위치한 농장에서 BTV 양성 1건 확인
5) ‘17-’19년도 등에모기 모니터링 결과 : 17종 35,986마리 채집 및 질병검사 완료
● ‘17년 제주지역 10개소에서 채집한 등에모기의 경우 C. tainanus(2,328마리, 71.5%)가 우점종으로 나타남
● 하지만 ’18년부터 전국으로 확대한 후 등에모기 채집 결과 C. arakawae (13,966마리, 38.9%), C. punctatus(12,548마리, 34.9%), C. tainanus(3,910마리, 10.9%) 및 기타 14종(5,562마리, 15.5%) 순으로 채집 우점종 확인
● ’18-‘19년 등에모기 우점종은 내륙의 경우 C. arakawae 종이, 제주지역 C. tainanus 종으로 내륙과 제주지역의 등에모기 분포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
● BTV 검사결과 ‘17년 채집한 C. tainanus(6월 1마리, 7월 2마리), C. punctatus(6월 17마리), C. lunchiensis(7월 1마리)에서 BTV 양성, 바이러스 미분리, 이외 질병 원인체 검사 결과 모두 음성
3.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농장 환경시료(곤충) 정밀검사 실시(2019년~)
- 2019년 9.16. ASF발생으로 이후 발생역학을 규명하기 위해 생물학적매개체(곤충)에 대한 ASF 항원검사 실시
1) 2020년 ASF 항원검사
i) 채집장소: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농장, 복합영농인 양돈농장 및 멧돼지 방역대(10km)농장 등
ii) 생물학적 매개체 1,238건(5,968점)에 대해 ASF 항원검사를 실시한 결과 음성 확인
2) 2019년 ASF 항원검사 실시
1) (ASF 발생관련 부처협업) ASF 발생농장 환경시료(곤충)에 대한 ASF항원검사 실시
● 곤충채집: 질병관리본부 매개체분석과
● 채집장소: 파주, 연천, 김포, 강화 발생농장 주변
● 시료검사: 채집 곤충 속 분류 후(침파리 등 1337마리, 173개 풀) ASF 항원에 대해 실시간 유전자 검사법 실시 결과 모두 음성 확인
2) ASF 발생지 14개 농장 역학시료(곤충) 채집(10.18-31; 2주간 9회)에 대한 ASF 항원검사 실시
● 현재 8회차까지 분류 후(침파리 등 26,147마리, 2,945개 풀) ASF 항원에 대해 실시간 유전자 검사법 실시 결과 모두 음성 확인
4. 등에모기 도감 작성
1) 국내 등에모기 도감 발간 완료(2018.12. 정부간행물등록번호 : 11-1543061-000324-14)
2) 일본 등에모기 연구문헌(3종) 번역집 발간 완료(2017.12.15.)
3) 도감 미등록 등에모기종 시료 확보 추진
(출처 : 요약 1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I. 연구배경 및 목표 ... 3
- 1. 연구배경 ... 3
- 2. 연구최종목표 ... 4
- 3.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4
- II. 연구방법 및 수행전략 ... 5
- 1. 재 료 ... 5
- 2. 연구전략 및 방법 ... 5
- III. 연구결과 ... 5
- 가. 전국 공항만 및 가축사육농가에서의 모기 및 등에모기 분포조사 및 매개체성 질병 모니터링 ... 5
- IV. 연구결과요약 ... 7
- 가. 전국 공항만 및 가축사육농가에서의 모기 및 등에모기 분포조사 및 매개체성 질병 모니터링 ... 7
- V. 참고문헌 ... 33
- 끝페이지 ... 3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