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농림축산검역본부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
연구책임자 |
최준구
|
참여연구자 |
김현정
,
박현진
,
강해은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0-12 |
과제시작연도 |
2020 |
주관부처 |
농림축산식품부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
연구관리전문기관 |
농림축산검역본부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
등록번호 |
TRKO202400012169 |
과제고유번호 |
1545021065 |
사업명 |
농림축산검역검사기술개발(R&D) |
DB 구축일자 |
2024-10-02
|
키워드 |
반추류.등에모기.바이러스성 질병.Ruminant.Culicoides.Arbovirus.
|
초록
▼
5. 최종 연구결과 요약
○ 세부과제명: 국내 사육 반추류에서의 등에모기 매개 국내 미발생 바이러스성 질병 검색 및 특성 분석
1. 검색 대상 질병 원인체 및 검사 방법
● 검색 대상 질병 원인체: Orthobunyavirus(Shamonda, Sathuperi, Peaton), 블루텅 바이러스 등
● 혈액 및 조직 시료: 혈액 및 조직을 세포(BHK-21, BoT)에 접종 후 CPE 관찰
● 등에모기시료: 유전자 검사* 후 양성개체에 대해 세포접종 (KC cell, BoT, BHK-21)
* 국내사
5. 최종 연구결과 요약
○ 세부과제명: 국내 사육 반추류에서의 등에모기 매개 국내 미발생 바이러스성 질병 검색 및 특성 분석
1. 검색 대상 질병 원인체 및 검사 방법
● 검색 대상 질병 원인체: Orthobunyavirus(Shamonda, Sathuperi, Peaton), 블루텅 바이러스 등
● 혈액 및 조직 시료: 혈액 및 조직을 세포(BHK-21, BoT)에 접종 후 CPE 관찰
● 등에모기시료: 유전자 검사* 후 양성개체에 대해 세포접종 (KC cell, BoT, BHK-21)
* 국내사육 반추류 및 등에모기 매개 질병원인체 검색을 위한 유전자 검사법: real time RT-PCR 및 RT-PCR
2. 매개체성 질병 원인체 검사
1) 무증상 반추류(소, 염소 등)에 대한 매개체성 질병검사
- 항원검사
● ‘20년 무증상 반추류 혈액시료: 소 401마리 혈액에 대한 항원검사 모두 음성
● ’18-‘19년 채취한 소 677마리, 염소 347마리에 대한 매개체성 질병(BTV, simbu group 등) 항원검사 결과 모두 음성
● 2017-20년 TSE예찰사업 관련 염소시료(355마리)에 대한 블루텅바이러스, 슈말렌베르그 바이러스 및 simbu serogroup 바이러스 검사결과 모두 음성
- 항체검사
● ‘20년 소 401마리 혈청검사 결과 전남영암(9월) 소혈청시료 1건 블루텅 항체 양성 확인(c-ELISA)
● ’18-‘19년 소 677마리 중 ’18년 전남 무안(8월) 및 전남 해남(11월)에서 채혈한 소 혈청시료 2건에서 블루텅 항체 양성 확인
2) 1세미만 감시동물 혈청에 대한 매개체성 질병검사
- 항원검사
● ’20년 감시동물 혈청 상반기 시료(400개) 검사 결과 모두 음성, 하반기 시료는 취합되는 대로 검사 예정
● ’19년 722개 시료 KC세포에서 3번 맹목 계대 후 BHK21세포로 계대 접종 통해 세포변성 유무(CPE)확인 결과 모두 음성 확인
- 항체검사
● ’20년 400마리 혈청 시료에 대한 블루텅 항체 검사 결과 전남 장성 시료 2건에서 양성 확인, 하반기 시료는 취합되는 대로 검사 예정
● ’19년 722마리 혈청에 대해 블루텅 항체검사 결과 4개 시료(제주지역 채취시료)에서 양성 확인
3) 임상증상(기립불능, 신경증상 등) 발현 소에 대한 매개체성 질병검사
● ’20년 임상증상을 보인 소 43두에 대한 전혈 및 조직 202점 세포 접종 후 CPE 검사 결과 41두 174점에 대해서는 음성, 나머지는 검사 진행 중
● ‘18-’19년 임상증상을 보인 소 149두에 (전혈 및 조직 386점) 검사 결과 음성 확인
4) 소 유사산 태아 및 기형송아지에 대한 매개체성 질병 검사
● ‘20년 질병진단과 소유사산태아 의뢰 시료 1건에 대해 슈말렌베르그 외 기타 등에모기 매개 바이러스 검사 결과 음성 확인
● ‘18-’19년 소 유사산태아 102마리에 대한 조직(뇌, 심장, 신장태반, 간, 근육 등)샘플 203점에 대해 검사 결과 등에모기 매개체성질병 항원검사 결과 음성
5) 질병매개체(등에모기)에 대한 매개체성 질병검사
● ‘20년 전국 21개 가축사육농가에서 10월까지 채집한 등에모기 13,459마리 검사 결과 경기도 김포 농가에서 채집한 Culicoides tainanus 1마리에서 블루텅 양성, 그 외 모두 음성
● ’18-‘19년 전국 16개 가축사육 농가에서 채집한 등에모기 33,548마리에 대한 매개체성 질병 검사 결과 음성 확인
6) 야생 사슴(고라니, 노루)에 대한 매개체성 질병 검사
● ‘20년 야생사슴(고라니 263, 노루 199) 혈액 462점 검사 진행 중
● ’18-’19년 야생 사슴(고라니 351, 노루 164) 혈액 515점 검사 결과 모두 음성 확인
(출처 : 요약 1p)
Abstract
▼
Culicoides biting midges are one of the smallest blood sucking insects, which involved in the transmission of pathogens of domestic livestock as principle vectors of arboviruses. To date, more than 50 viruses including Bluetongue virus (BTV) and Simbu serogroup viruses such as Akabane virus, Aino vi
Culicoides biting midges are one of the smallest blood sucking insects, which involved in the transmission of pathogens of domestic livestock as principle vectors of arboviruses. To date, more than 50 viruses including Bluetongue virus (BTV) and Simbu serogroup viruses such as Akabane virus, Aino virus, Schmallenberg virus and Shamonda virus in the genus Orthobunyavirus, have been isolated worldwide from Culicoides spp. and some of these cause severe economic losses resulting from abortion, stillbirth and congenital abnormalities in ruminants.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arboviruses, the surveillance was conducted for asymptomatic ruminant blood from slaughter houses, sentinel cattle serum of less than 1 year, tissues and blood of cattle showing clinical symptoms such as neurological symptoms, aborted fetuses, and Culicoides, etc during 2018-2020 in this study. Total of 1,078 cattle blood and 313 tissue samples form goat, 1247 serum samples from sentinel cattles, 797 blood and tissue samples from cattle showing clinical symptoms, 977 blood samples from wild deer and 47,820 Culicoies were teseted for arbovirus. The bovine serum samples were secreened with cELISA(competitive ELISA). As a result, all antigen tests on bovine blood and tissues were negative for BTV, simbu serogroup. But, in culicoides samples, only BTV was detected in sample of Culicoides tainanus from Gyeonggido in 2020. In the antibody test, three samples of bovine serum collected from Jeonnam were positive. Although BTV was only detected in a limited area and year, this study suports the view that the view that the risk of of introduction of these arboviruses in the country exists. Continued vector monitoring will be needed to identify areas of risk and quickly detect new introductions.
(source : Abstract 21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I. 연구배경 및 목표 ... 3
- 1. 연구배경 ... 3
- 2. 연구최종목표 ... 4
- 3.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5
- Ⅱ. 연구방법 및 수행전략 ... 5
- 1. 재 료 ... 5
- 2. 연구전략 및 방법 ... 6
- III. 연구결과 ... 8
- 가. 제1세부과제명: 국내 사육 반추류(소, 염소 등)에서의 등에모기 매개 국내 미발생 바이러스성 질병 검색 및 특성 분석 ... 8
- IV. 연구결과요약 ... 16
- 1) 무증상 반추류(소, 염소 등)에 대한 매개체성 질병검사 ... 16
- 2) 1세미만 감시동물 혈청에 대한 매개체성 질병검사 ... 16
- 3) 임상증상(기립불능, 신경증상 등) 발현 소에 대한 매개체성 질병검사 ... 17
- 4) 소 유사산 태아 및 기형송아지에 대한 매개체성 질병 검사 ... 17
- 5) 질병매개체(등에모기)에 대한 매개체성 질병검사 ... 17
- 6) 야생 사슴(고라니, 노루)에 대한 매개체성 질병 검사 ... 17
- V. 고 찰 ... 17
- VI. 참고자료 ... 19
- VII. 영문초록 ... 21
- 끝페이지 ... 2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