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국립축산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
연구책임자 |
박남건
|
보고서유형 | 1단계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3-12 |
과제시작연도 |
2023 |
주관부처 |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
연구관리전문기관 |
농촌진흥청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등록번호 |
TRKO202400012402 |
과제고유번호 |
1395076746 |
사업명 |
축산시험연구 |
DB 구축일자 |
2024-10-07
|
키워드 |
농식품가공부산물.사료가치평가.가소화영양소 총량.agro-byproduct.feed evaluation.TDN.
|
초록
▼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국내 농식품가공부산물의 정밀사료가치 평가, 에너지가 제시 및 부산물 별 활용 방법 제시
○ 농식품가공부산물의 화학적 정밀사료가치 평가
○ 농식품가공부산물의 에너지가 추정 모델 적용 가소화영양소총량 제시 및 문헌조사
◎ 연구개발 내용
ㅇ 농식품가공부산물 샘플 수집
- 1년차 : 주요 농식품가공부산물 11건(건당 10점 이상 분석)
* 들깻묵, 참깻묵, 맥주박, 라면박, 버섯부산물(팽이, 느타리, 새송이), 비지, 제과부산물, 제빵부산물, 생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국내 농식품가공부산물의 정밀사료가치 평가, 에너지가 제시 및 부산물 별 활용 방법 제시
○ 농식품가공부산물의 화학적 정밀사료가치 평가
○ 농식품가공부산물의 에너지가 추정 모델 적용 가소화영양소총량 제시 및 문헌조사
◎ 연구개발 내용
ㅇ 농식품가공부산물 샘플 수집
- 1년차 : 주요 농식품가공부산물 11건(건당 10점 이상 분석)
* 들깻묵, 참깻묵, 맥주박, 라면박, 버섯부산물(팽이, 느타리, 새송이), 비지, 제과부산물, 제빵부산물, 생미강
- 2년차 : 식품가공 부산물 7건(건당 5점 이상 분석)
* 전통주 가공부산물(사용 재료별 분류), 과실류가공부산물(사과박, 배박 등), 파인애플박, 토도리박, 커피부산물, 홍삼박, 장유박 등
- 3년차 : 농산가공 부산물(착즙 및 가공) 9건(건당 3점 이상 분석)
* 기장피, 귀리피, 땅콩피, 보릿겨, 땅콩피, 커피피, 밤껍질, 배추부산물, 쌀도정부산물
ㅇ 농식품가공부산물의 화학적 사료가치 평가
- 조사항목 : 일반성분(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NDF, ADF, 조회분, NFC), 전분, 수용성 단백질, 당, ROM, 리그닌, 중성세제불용조단백질(NDICP),중성세제불용조단백질(ADICP), 아미노산, 광물질
ㅇ 농식품가공부산물 평균 및 분류 방법 설정(3년차)
- 기존 분석된 부산물 별 통계분석을 통한 최종 부산물 사료성분 데이터 확정
※ 변이계수(CV)가 큰 부산물의 경우 영양성분별 분류 및 표기방법 재설정
ㅇ 국내에서 분석이 어려운 ADICP, NDICP, ADL의 추정 모델 도출(3 년차)
* CP, NDF, ADF 등 활용 농식품가공부산물의 ADICP, NDICP, ADL 추정모델식 도출
ㅇ농식품가공부산물의 에너지가 추정모델 적용 진정 영양소 소화율 및 가소화영양소총량 제시
ㅇ농가 맞춤형 농식품부산물 사료화 관련 문헌 조사
ㅇ농식품가공부산물 정보제공 프로그램 업데이트
- 부산물의 이화학적 사료가치 평가 결과 및 TDN가 업데이트
- 농식품부산물 사료화 관련 연구 결과 업데이트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농식품가공부산물 활용 배합비 프로그램 업데이트
○ 한우표준사료성분표 홈페이지에 분석 데이터 제공
○ 농식품가공부산물의 정밀 분석 결과 활용 정밀 사료배합에 활용
(출처 : 요약문 2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요 약 문 ... 2
- 목차 ... 4
-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5
- 2.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과정 및 수행내용 ... 6
- 3.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결과 및 목표 달성 정도 ... 9
- 1) 연구 수행 결과 ... 9
- 2) 목표 달성 수준 ... 28
- 4. 목표 미달 시 원인분석 ... 28
- 1) 목표 미달 원인(사유) 자체분석 내용 ... 28
- 2) 자체 보완활동 ... 28
- 3) 연구개발 과정의 성실성 ... 29
- 5. 연구개발성과 및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정도 ... 29
- 6.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 29
- 7. 참고 문헌 ... 31
- 끝페이지 ... 3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