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웰빙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스마트하우징 기술개발 기획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주거학회
연구책임자 윤영호
참여연구자 채창우 , 김성완 , 조해성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25-02
과제시작연도 2023
주관부처 국토교통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연구관리전문기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등록번호 TRKO202500000312
과제고유번호 1615013421
사업명 국토교통연구기획
DB 구축일자 2025-04-08
키워드 스마트하우징.리빙랩.수요자 맞춤형.웰빙 주거.고령친화.Smart Housing.Living Lab.User-Oriented.Well-Being Residential.Age-Friendly.

초록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웰빙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스마트하우징 기술개발

◼ 전체 내용
웰빙 주거환경 형성을 위한 국민체감형 미래 주거산업생태계 조성

◼ 1단계
❏ 목표
지속가능한 AIC(Aging in Community) 기반 거주자 수요맞춤형 웰빙 주거 모델 구축
❏ 내용
- 거주자 수요맞춤형 주거 공간모델 개발 기획
- 웰빙 주거문화 형성을 위한 생활환경 서비스 개발 기획
- 쾌적하고 건강한 주거를 위한 주거성능 향상 기술 개발 기획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3
  • 요 약 문 ... 5
  • 목차 ... 18
  • 표목차 ... 21
  • 그림목차 ... 23
  • 제1장 기술의 정의 및 필요성 ... 29
  • 1.1 기술의 정의 및 연구 배경 ... 31
  • 1.1.1 기술의 정의 ... 31
  • 1.1.2 연구 배경 및 목적 ... 44
  • 1.2 연구 범위 및 기술 개발 필요성 ... 49
  • 1.2.1 연구 범위 ... 49
  • 1.2.2 기술 개발 필요성 ... 54
  • 제2장 국내외 동향 및 환경분석 ... 59
  • 2.1 국내외 정책 동향 ... 61
  • 2.1.1 국내 정책 동향 ... 61
  • 2.1.2 국외 정책 동향 ... 94
  • 2.2 국내외 시장현황 및 전망 ... 106
  • 2.2.1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 106
  • 2.2.2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 112
  • 2.3 기술 동향 분석 ... 123
  • 2.3.1 특허 동향 분석 ... 123
  • 2.3.2 논문 동향 분석 ... 130
  • 2.3.3 기술 수요 도출 ... 136
  • 2.4 유사 과제분석 ... 172
  • 2.4.1 관련 용어별 경향 분석 ... 172
  • 2.4.2 세부 분야별 분석 ... 176
  • 제3장 연구개발과제 구성 및 추진 전략 ... 181
  • 3.1 비전 및 목표 ... 183
  • 3.1.1 기획연구의 최종 비전 및 목표 ... 183
  • 3.1.2 단계별 목표 ... 192
  • 3.2 핵심기술요소 선정 및 TRL 목표 ... 195
  • 3.2.1 핵심기술요소(CTE) 도출 ... 195
  • 3.2.2 기술성숙도(TRL) 단계별 목표 ... 196
  • 3.3 기술개발에 따른 미래상 ... 199
  • 3.3.1 현황 및 미래상 ... 199
  • 3.3.2 기술개발 전략 및 효과 ... 200
  • 3.3.3 R&D 전후 수준(모습) 비교 ... 203
  • 3.4 연구개발과제 구성 ... 205
  • 3.4.1 핵심기술별 주요 내용 및 추진 전략 ... 205
  • 3.4.2 세부 과제 간 연계 관계 ... 207
  • 3.4.3 과제별 연차별 기술로드맵 및 성과 로드맵 ... 208
  • 3.5 성과의 활용 방안 ... 211
  • 3.5.1 성과의 활용 방안 ... 211
  • 3.6 연구수행체계 제안 ... 215
  • 3.6.1 연구수행체계 제안 ... 215
  • 제4장 사전타당성 검토 ... 217
  • 4.1 정책적 타당성 ... 219
  • 4.1.1 분석 개요 ... 219
  • 4.1.2 분석 결과 ... 219
  • 4.2 과학기술적 타당성 ... 228
  • 4.2.1 분석 개요 ... 228
  • 4.2.2 분석 결과 ... 228
  • 4.3 경제적 타당성 ... 232
  • 4.3.1 분석 개요 ... 232
  • 4.3.3 분석 결과 ... 233
  • 제5장 인력투입계획 및 소요 예산산정 ... 237
  • 5.1 전체사업 소요 예산 ... 239
  • 5.1.1 연구일정에 따른 인력투입 계획 ... 239
  • 5.1.2 소요예산 산정 ... 242
  • 5.2 세부과제 별 소요 예산 ... 243
  • 5.2.1 세부과제 별 소요 예산 ... 243
  • 제6장 과제 제안요구서 ... 251
  • 6.1 과제 제안요구서(RFP) ... 253
  • 6.2 평가기준 설정 ... 264
  • 6.2.1 평가항목 ... 264
  • 6.2.2 가점 및 감점기준 ... 266
  • 참고문헌 ... 267
  • 부록 ... 273
  • 부록1 과제카드(핵심기술) ... 275
  • 부록2 전문가용 설문지 ... 282
  • 부록3 주거이용자용 설문지 ... 288
  • 부록4 전문가 포럼 ... 302
  • 부록5 기획위원회 ... 314
  • 부록6 주거약자 생활행위 시나리오 및 평가지표 도출 ... 328
  • 끝페이지 ... 350

표/그림 (225)

참고문헌 (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