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향 상세정보

나노로봇 암을 제어할 수 있는 더 나은 방법

How to better control a nanorobotic arm

2018-01-25

뮌헨 공과대학(Technical University Munich)과 NIM(Nanosystems Initiative Munich)의 연구진은 전기장을 사용해서 DNA 나노기계를 움직이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이 기술 적분에 팔처럼 움직이는 DNA 로보틱스 시스템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매우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전기장으로 구동되는 새로운 “로봇 암(robot arm)”은 사각형 베이스와 “기어 스틱(gear stick)” 으로 구성되고, DNA 분자를 기반으로 하는 다른 기계보다 용액 속에서 100,000 배 더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나노로봇은 DNA 종이접기(origami) 방법을 사용해서 만들어졌다.

DNA 종이접기는 정교한 나노구조를 만드는 강력한 방법이고, 10년 전에 처음 개발되었다. DNA 종이접기를 사용해서 나노크기의 로봇 비행기, 분자 무기 등과 같은 장치가 이미 만들어졌다. 이러한 시스템은 DNA 교배(hybridization) 반응과 같은 현상으로 구동되는데, 이것은 시스템을 매우 느리게 움직이게 만들었다. 따라서 외부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힘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화물 이송에 사용될 수 없다.

나노로봇 암에 전기장을 가하면 몇 밀리세컨드(millisecond) 안에 위치를 바꿀 수 있는데, 이것은 이전 방법에 비해서 5 배 빠른 수치이다. 이러한 동작은 컴퓨터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이동 패턴도 수행할 수 있다. 이 나노로봇 암을 이용하면 나노입자와 분자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생체 분자 나노구조가 완충액 속에서 조작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최초의 사례이다. 로봇 암은 플랫폼 위의 화학결합 프로세스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항원, 항체, DNA-단백질 결합과 같은 생체분자 간의 분자 상호작용을 조사하는 단일-분자 바이오센서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새로운 나노로봇은 새로운 유형의 디지털 메모리와 3차원 프린팅의 기초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향후에 매우 중요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저널 Science에 “A self-assembled nanoscale robotic arm controlled by electric fields” 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DOI: 10.1126/science.aao4284).

관련연구자 Enzo Kopperger
관련기관 Technical University Munich
과학기술분류 기계
본문키워드(한글) 나노로봇, 암, 전기장, 나노시스템
본문키워드(영문) nanorobot, arm, electic field, nanosystem
원문언어 영어
국가 독일
원문출판일 2018-01-19
출처 http://nanotechweb.org/cws/article/tech/7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