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전자 드라이브, 재앙일 수 있다

2015-08-06

2013년 1월 하버드 의대 조지 처치(George Church) 교수 연구팀은 ‘크리스퍼(CRISPR)’란 이름의 효소(유전자 가위)를 사용해 인간 세포 속의 DNA를 자르고 짜 맞출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과학자들은 현재 이 기술을 활용해 간질환 등의 문제를 풀어내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생태계 적용을 시도하고 있다. 특정 유전자를 종 전체로 확산시키는 기술인 ‘유전자 드라이브(Gene Drive)’를 말한다. 이 방식을 활용, 말라리아 내성을 지닌 모기를 퍼뜨리면 말라리아 예방이 가능하다는 것.
제초제에 강한 내성을 제거한 잡초를 만들어 이식할 경우 손쉽게 잡초를 박멸할 수 있다. 의료, 농업 분야 등에서 장밋빛 청사진이 그려지고 있는 가운데 과거 공룡과 같은 생물을 되살리는 ‘멸종생물 부활 프로젝트’까지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질병 막을 수 있지만 생태계에는 재난”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 위험성을 경고하는 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학의 데이비드 굴위츠(David Gurwitz) 교수는 최근 ‘인디펜던트’ 지를 통해 “모기 안에 사는 말라리아 기생충 확산을 막을 수 있지만 그보다 더한 재난을 초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인체에 치명적인 박테리아성 독소들을 전염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다. ‘유전자 드라이브’ 기술을 잘못 사용할 경우 치명적인 생태계 파괴가 우려된다며, 이런 사고를 막기 위해 ‘유전자 드라이브’ 연구에 대한 엄격한 규제를 촉구하고 나셨다.
굴위츠 교수를 비롯한 27명의 유전학자들은 지난 주 미국 국립과학원(U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를 통해 ‘유전자 드라이브’ 기술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에 들어갔다. 또 이번 주 ‘사이언스’ 지를 통해 연구 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해줄 것을 촉구했다.
이들 유전학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이 기술을 잘못 사용할 경우 엄청난 위험이 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굴위츠 교수는 특히 테러리스트를 우려했다. 이 기술을 갖고 생화학무기를 개발해 살포할 경우 치명적인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
이 기술을 잘못 적용할 경우 그동안 진화해온 종(種) 자체를 변형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핵 폭탄이 인류 전체를 멸망시킬 수 있는 것처럼 새로 탄생한 종이 그동안 살고 있던 종들을 멸종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미국 하버드대 비스연구소(Wyss Institute)의 유전학자 게빈 에스펠트(Kevin Esfeldt) 교수는 ‘유전자 드라이브’가 같은 종(種) 안에 있는 염색체를 공학적 방식을 통해 새로운 모습으로 파격적인 변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영국 등 정부 차원에서 가이드라인 검토

영국의 진워치(Genewatch) 헬렌 월리스(Wallace) 박사는 “처치 박사가 주장하는대로 모기를 유전자 변형시킬 경우, 바이러스는 내성을 이기기 위해 더 치명적인 형태로 진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최근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기술 가운데 ‘유전자 드라이브’를 빼놓을 수 없다. 이 기술을 통해 그동안 풀지 못했던 난제들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
인류를 괴롭히는 기생충과 질병, 그리고 농작물 해충과 잡초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에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에 투입되고 있다. 그러나 ‘유전자 드라이브’에 대한 경각심이 제기되면서 많은 연구소들이 자체적인 규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인터네셔날 비즈니스타임즈’는 4일 보도를 통해 공동 연구를 하고 있는 캘리포니아 대학, 하버드대 비스 연구소가 최근 ‘유전자 연구’의 범위를 제한하는 자체적인 기준을 제정했다고 전했다. 연구 범위와 적용 범위 등을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
영국에서도 자체적인 규제 움직임이 일고 있다. 정부 연구개발 정책을 자문하고 있는 합성생물학 지도자 위원회(Synthetic Biology Leadership Council)에서는 최근 ‘유전자 드라이브’를 정책 어젠더에 포함시켰다.
위원회 관계자는 “연구 상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영국 정부 차원에서 해야 할 일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유전자 드라이브’를 놓고 찬·반 논쟁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각국 정부가 어떤 가이드를 내놓을지 과학기술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