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엔 지정 기초과학의 해, 2022년에는 기초과학 진흥을 위한 발상 전환부터

2022-05-27

2022년은 유엔이 지정한 세계 기초과학의 해입니다. 이 사실을 잘 알지 못하는 분들이 훨씬 많습니다만, 전국자연대학장협의회에서는 연중 사업으로 기초과학의 중요성을 알리는 행사를 대학들에서 진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초과학의 튼튼한 뒷받침이 없이는 우리나라의 미래는 사상누각이 될 것이 우려되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동경 올림픽에서 메달을 따지 못했음에도 너무나 밝고 맑게 웃으며 즐거워하던 배구 선수들과 높이뛰기 선수를 기억하십니까. 그때 바로 그 높이뛰기 선수는 얼마 전 드디어 세계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는 기쁜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처음부터 세계 최고인 경우는 없습니다. 다듬고 다듬어 나아가면서 성장하다 보면 그런 날이 오는 것입니다. 노자의 도덕경에 나오는 글귀 중에 合抱之木 生於毫末 (합포지목 생어호말)이 있습니다. 아름드리 나무도 붓털같이 가벼운 싹에서 자라나온다는 뜻입니다. 세계 최고가 되는 것도 붓털처럼 가벼운 새싹에서부터 출발해야 하는 것입니다. 인류를 먹여 살리고 지구를 위기에서 구할 엄청난 과학 기술도 붓털과 같은 기초과학에서부터 자라나는 것입니다. 그런 새싹을 수도 없이 키워야 그 중에서 아름드리 나무도 자라나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입니다. 이제는 체육뿐 아니라 과학기술 분야에서도 싹부터 차근차근 잘 키워야 합니다.
노벨상의 시간이 되면 항상 우리는 일본과 비교를 당합니다. 그런데 일본의 경우는 우리와는 달랐습니다. 튼튼한 기초과학 지원의 역사가 오래 되어서 매년 노벨상 후보들이 나오고 그 중에 노벨상 수상자들도 나오는 것입니다. 그 수상자들이 이룬 업적들을 보면 예측 가능한 과학 기술이 아니라 전혀 새로운 것들이 많고, 그 기반에는 오랜 기간의 붓털과 같은 연구들이 있었습니다. 장기적 지원이 가능해서 한 주제를 끝까지 팔 수 있도록 하는 연구를 1,000개만 수십 년씩 지원하면 그 중에 한두 개는 노벨상에 가까이 가는 것이 생기는 것입니다. 요즘은 일본도 노벨상 후보들이 고갈되었다는 이야기도 들립니다. 지난 몇십 년간 유행만 쫓아가면서 생기는 일이라고 합니다. 우리는 시작도 제대로 못해보고 유행만 좇고 있는 건 아닌지 성찰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1987년 기초과학진흥법이 제정되었다가 이후 기초연구진흥법으로 개정되면서 기초과학의 중요성은 희미해졌고, 그 지원의 근거도 희박해졌다는 것이 현장의 목소리입니다. 새 정부에서는 기초과학 진흥에 관한 특별법을 만들어서라도 그 지원의 탄탄한 근거를 마련해야 합니다.
모든 법의 근본에는 헌법이 있습니다. 스위스 헌법 제64조 제1항은 ‘연방은 과학 연구와 혁신을 장려한다’로 되어 있고, 스페인 헌법 제44조 제2항에는 ‘공권력은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과학, 학술조사 및 기술연구를 촉진한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탈리아 헌법 제9조는 ‘공화국은 문화의 발전과 과학 및 기술 연구를 장려한다.’입니다. 우리 헌법과 비교해 보면, 우리의 제127조 1항은 “국가는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 및 인력의 개발을 통하여 국민경제의 발전에 노력하여야 한다”로 되어 있습니다. 경제 발전을 위해 과학기술의 혁신을 해야 한다는 발상은 추격자의 생각입니다. 이제는 선도자의 발상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헌법부터 고쳐야 할 것입니다. 경제 발전이 아니라 궁극의 호기심에서 출발하여 자연의 섭리를 규명하고자 하는 기초과학을 도모하는 것이 ‘헌법을 위배하는 발상’일 수도 있는, 어불성설인 상황을 벗어나야 합니다.
저는 꼬마선충 연구만 30년 이상 해 오고 있습니다. 한 가지 연구를 지치지도 않고 이렇게까지 하다니 하고 놀라는 분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정도는 약과입니다. 초파리의 초기발생 연구자였던 칼텍의 에드 루이스 교수는 1930년대 고등학생일 때 초파리 연구를 시작해서 1995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습니다. 무려 60년입니다. 이 정도로 뚝심 있게 연구하는 곳에서 노벨상이 나오는 것입니다. 그래서 지치지 않는 연구 지원이 참으로 중요합니다. 기초과학 연구 진흥은 그 결과를 볼 때까지 오래 걸립니다. 긴 호흡으로 밀고 나가길, 새 정부의 뚝심을 기대해 봅니다.


* 이 글은 한국물리학회에서 발간하는 웹진 ‘물리학과 첨단기술’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

[결점 없는 세상을 꿈꾸다 특집 – 새로운 우주를 만들다 : 빛과 전자의 이중성이 발견한 결정 이야기]
[결점 없는 세상을 꿈꾸다 특집 – 단결정 성장법 소개]
[결점 없는 세상을 꿈꾸다 특집 – 한국물리학회지로 본 한국의 단결정 성장]
[결점 없는 세상을 꿈꾸다 특집 – 국내 단결정 연구그룹의 최신 연구동향]

관련 콘텐츠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