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 내 사회적 교환관계 수준이 산업사고에 미치는 효과모델 검증
An Examination of a Mod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hange Level(POS and LMX) and Industrial Accidents 원문보기

산업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v.17 no.2, 2002년, pp.100 - 105  

김형수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양병화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오세진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posed and examined a model in whic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der-member exchange are linked to safety communication safety commitment, and accidents. In addition, a moderating effect of role overloa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ommunication and safety commitm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와 같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모델에 제시된 각 변인들 간의 관계성 및 각 변인을 포함한 전체 모델의 부합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동일한 안전몰입의 수준이라고 하더라도 상사로부터 충분한 모니터링을 받고 있는 종업원들은 안전사고의 가능성이 더 줄어든다고 가정할 수 있다. 즉, 안전몰입은 수행모니터 링과 상호작용하여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D. A. Hofmann, R. Jacobs, F. L. Landy, 'High Reliability Process Industries: Individual, Micro,and Macro Organizational Influences on Safety,'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 26, pp. 131- 149, 1995 

  2. D. Zohar, 'Safety Climate in Indystrial Orga- nizations: Theoretical and Applied Implic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65, pp. 96- 102, 1980 

  3. R. L. Brown and H. Holmes, 'The Use of a Factor-Analytic Procedure for Assessing the Validity of an Employee Safety Climate Model,'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18, pp 455-477, 1986 

  4. N. Dedobbeleer and F. Beland, 'A Safety Climate Measure for Construction Site,' JournaI of Safety Research, Vol. 22, pp. 99-103, 1991 

  5. D. M. Dejoy, 'Managing Safety in the Workplace: An Attribution theory Analysis and Model,'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 25, pp. 3-17, 1994 

  6. T. Niskanen, 'Assessing the Safety Environment in the Work Organization of Road Maintenance Job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26, pp. 27-39, 1994 

  7. D. A. Hofmann and A. Stetzer, 'A Cross-Level Investigation of factors Influencing Unsafe Behaviors and Accidents,' Personnel Psychology, Vol. 49, pp. 307-339, 1996 

  8. D. A. Hofmann and A. Stetzer, 'The Role of Safety Climate and Communication in Accident Interpretation : Implication from Negative Events,'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1, pp. 644-657, 1998 

  9. R. M. Mclntyre and E. Salas, 'Measuring and Managing for Team Performance : Emerging Prin-ciples from Complex Environments. ; Team Effec- tiveness and decision Making in Organizations,'San Francisco : Jossey-Bass, pp. 9-45, 1995 

  10. D. A. Hofmann and F. P. Morgeson, 'Safety-Related Behavior as a Social Exchange : The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der- Member Exchang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4, pp. 286-296, 1999 

  11. P. Blau,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New York : Wiley, 1964 

  12. R- Eisenberger, R. Huntingto, S. Hutchiso, D. Sowa,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of AppIied Psychology, Vol. 71, pp. 500-507,1986 

  13. G. B. Graen and T. A. Scandura, 'Toward a Psychology of Dyadic Organizing,'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I. 9, pp. 175-208,1987 

  14. S. Dawson, 'Managing Safety Offshore' Offshore Operations Post Pipe Alpha : London, 1991 

  15. J. T. Reason, 'Human Error in Medicine : vii-xv.' Hillsdale, NJ : Erlbaum, pp. 45-55, 1994 

  16. C. Wright, 'Routine Deaths : Fatal Dccidents in the Oil Industiy,' Sociological Review, Vol. 4, pp.265-289, 1986 

  17. J. L. Komaki, 'Toward Effective Supervision : An Operant analysis and Comparison of Managers at Work,'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71, pp. 270-279, 1986 

  18. J. L. K.omaki, M. L. Desselles, E. D. Bowman,'Definitely not a Breeze : Extending an Operant Model of Effective Supervision to Team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74, pp. 522-529, 1989 

  19. J. L. Komaki, S. Zlotnick, M. Jensen, 'Devel- opment of an Operant-Based Taxonomy and Observational Index of Supervising Behavior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71, pp. 26 0-269, 1986 

  20. J. R. Jr. Larson, C. Callahan, C, 'Performance Monitoring : How It Affects Productivi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75, pp. 530-538,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