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뮤직비디오 의상에 나타난 남성 이미지 연구 -2000년부터 2002년 현재까지-
A Study on the Male Images shown in the Music Videos Costumes -Focused on the Music Videos produced between 2000 and 2002-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4 no.3, 2004년, pp.27 - 42  

도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양숙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sic videos provide for many others images, alluring the audience to fall in another emotional world, while the sexual images shown in them suggest new images of man and woman. Today, men's images are being interpreted from various viewpoints. As interests in men's fashion are visualized through mu...

주제어

참고문헌 (40)

  1. 박미아 (1993), 뮤직비디오 이야기 서울: 우리문화사. P. 13 

  2. 김형곤 (1992), 새로운 영상 매체 뮤직비디오. 포스트 모던시대의 비판 언론학. 서울: 한울. p. 312 

  3. 엄혁, 이유남, 강영희, 김복진. 백지숙 공저 (1993). TV : 가까이 보기. 멀리서 읽기. 서울: 현실문화 연구. pp.129-131 

  4. 하남경 (1994), 뮤직비디오 수용을 통한 젊은이들의 문화적 실천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8-29 

  5. 강경호 (1998). 케이블TV 뮤직비디오의 심의에 관한 연구 중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2 

  6. 최대실 (1998). 뮤직비디오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4 

  7. 백지숙 (2000) 뮤직비디오를 둘러싼 시선과 이미지들. 문화읽기 . 삐라에서 사이버문화까지. 서울: 현실문화연구. pp. 244-245 

  8. 최대실. (1998). 뮤직비디오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9. 강명구 (1996), 소비대중문화와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민음사, p. 261 

  10. 고지형. POP Music Video 의상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3-24 

  11. 김수경 (1998) 서양복식에 표현된 남성 이미지의 해석에 관한 고찰-닫힌 체계에 의한 인체 이미지를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집, p. 35 

  12. Kuhne Thomas 외 조경식. 박은주 역 (2001). 남성의 역사. 서울: 솔, pp. 9-10 

  13. 이민선. 남성의 몸과 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 

  14. 김수경 (1998) 서양복식에 표현된 남성 이미지의 해석에 관한 고찰-닫힌 체계에 의한 인체 이미지를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집, p. 36 

  15. Edwards, Tim (1997). Men in the mirror: Men's fashion, masculinity and consumer society. CASSELL, p. 12 

  16. Kellner. D. (1994), Madonna, fashion and identity, on fashion. New Jersey: Rutgers Univ. Press. p. 160 

  17. Craik, J., 정인희. 함연자. 정수진. 김경원 역 (2002), 패션의 얼굴 서울: 푸른솔. p. 307 

  18. 전경숙. 이기향, 최진영 (2000). 남성 동성애자 집단의 의복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50권, 8호. p. 69 

  19. 김수경. (1998) 서양복식에 표현된 남성 이미지의 해석에 관한 고찰-닫힌 체계에 의한 인체 이미지를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집, p. 36 

  20. 정세희 (2000), 영화의상에 나타난 젠더(Gender) 정체성-1930년대부터 1990년 대 까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21. 김택환 (1997). 영상미디어론, 서올: 커뮤니케이션북스. P. 93 

  22. 정은영 (1994), 한국 소녀들의 뮤직비디오 소비와 문화적 실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7 

  23. Vinken. B. (1999), Transvesty-travesty: Fashion and gender. Fashion Theory, VoL 3. Issue 1. p. 35 

  24. Craik. J.. 정인희. 함연자. 정수진. 김경원 역 (2002), 패션의 얼굴 서울: 푸른솔. p.332 

  25. 이민선. 김민자 (2000) 남성의 몸과 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I)-남성 패션에 표현된 에로 티시즘을 중심으로-. 복식학회지, 제51권, 1호. p. 167 

  26. 김유로 (1999),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쾌락주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p. 38 

  27. 정세희. (2000), 영화의상에 나타난 젠더(Gender) 정체성-1930년대부터 1990년 대 까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3 

  28. 김윤정 (2000). 현대 디자인에 나타난 앤드로지너스 경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29. 장미숙 (1998), 현대 메이크업에 나타난 네오아방가르드 경향에 관한 연구- 1990년대 후반 캣워크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7-38 

  30. 이민경, 한영숙 (1999), 블랙 페티시 패션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제7권, 2호. p. 324 

  31. 타타르키비츠 W., 손효주 역 (1999), 미학의 기본 개념사 서울: 미술문화. P. 316 

  32. 장미숙. (1998), 현대 메이크업에 나타난 네오아방가르드 경향에 관한 연구- 1990년대 후반 캣워크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5 

  33. 윤혜진 (1998) 후기자본주의의 사회의 여가특성과 패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4 

  34. 김유로 (1999),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쾌락주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p.49 

  35. 학원사 편집부 (1998). 철학대사전 서울. 학원사. p. 81 

  36. 한명숙, 이민경. 패션의 사이버펑크 (Cyberpunk)개념 분석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제16권, 2호. p. 56 

  37. Hollander. A., 채금석 역 (1996). 의복과 성(性). 서울: 경춘사, p. 46 

  38. 파피나, J., 송병선 역 (1998) 악마의 이야기. 서울:. 예문, pp. 183-184 

  39. 파피나, J., 송병선 역 (1998) 악마의 이야기. 서울:. 예문, p. 236 

  40. Russell, J. B.. 최은석 역 (2000). 악마의 문화사. 서울: 황금가지, p. 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