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품곶감 추출물 첨가 요구르트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 Supplemented with Low Grade Dried-Persimmon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4 no.6, 2008년, pp.735 - 741  

고서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 ,  김순임 (숙명여자대학교 나노바이오소재센터) ,  한영실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to which had been added extracts of low quality dried persimmons, in an attempt to expand the range of use of low-quality dried persimmons. In the results of our sensory evaluation, our optimal results wer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곶감의 제조과정 중에 다량 발생하는 하품곶감의 이용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어 이를 활용한 기호성이 좋으며, 기능성이 높은 하품곶감 추출물을 첨가한 요구르트를 개발하여 그 품질을 평가하였다. 곶감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품 곶감을 활용한 기호성이 좋으며 기능성이 높은 곶감요구르트를 개발하고자 하품 곶감 추출물을 첨가한 요구르트를 제조하고 그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1) It is mixture of L. bulgaricus and St. thermophillu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로운 생리활성이 강화된 요구르트를 제조하려는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요구르트의 근원은 확실치 않으나 중동에서 시작되어 세계로 전파되었다고 알려지고 있으며, 가향 또는 가당으로 품질을 개선하고 건강식품으로의 인식 및 편리한 포장 등으로 소비자의 취향에 부응하여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우유 가공품이 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액상 요구르트가 주종을 이루었으나 수년전부터 유고형분 함량과 젖산균 수가 많은 커드상의 요구르트 및 이와 유사한 제품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되고 있다(Ko YT와 Kim HJ 1990). 최근에는 건강 지향적인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우유에 발효기질의 일부로 쑥(Kim JI와 Park SI 1999), 알로에(Shin YS 등 1995), 단감(Cho YS 등 2003), 밤(Jin HS 등 2001), 감자(Shin YS 등 1994), 쌀(Kim MS 등 1993), 호박(Han MJ와 Lee YK 1993) 등의 천연 소재를 요구르트에 첨가하여 기존의 요구르트의 기능성뿐만 아니라 새로운 생리활성이 강화된 요구르트를 제조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감의 주성분은 무엇인가? 또한 감은 사과, 밀감에 이어 국내에서 대량 생산되는 주요 과실로서 재배에 큰 어려움이 없어 재배농가의 소득 증대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Moon KD 등 1997, Park YK 등 2000). 감의 주성분은 당질로서 그 함량이 15~16%로 포도당과 과당이 주를 이루는데 단감과 떫은감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감에 대한 임상학적 약리작용과 효능은 동의보감에서 잘 나타나 있듯이 맛이 달며 독이 없고 심폐를 부드럽게 하고 갈증을 멎게 하며 폐위와 심열을 낮게 하고 술의 열독을 풀고 구건과 토혈을 그치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곶감 농축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요구르트를 20일 동안 저장하면서 5일 간격으로 색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명도 값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요구르트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명도 L값은 제조직후 대조군 요구르트는 69.97이고 0.5% 곶감요구르트의 L값은 63.34에서 20일에는 72.48, 69.46으로 저장기간 동안의 명도의 변화는 미미한 차이를 보여 저장기간에 따른 명도의 변화는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제조직후 대조군 요구르트 및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GH, Song WD, Park DS, Lee Y, Lee DS, Choi SJ. 2001. Package atmosphere and quality as affected by modified atmosphere conditions of persimmon(Diospyros Kaki Thunbergfrui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1):200-204 

  2. Bae JH, Hong KR, Oh DH, Park JR, Choi SH. 2000. Fermentation characteristic of set-type yoghurt from milk added with mugwort extract. Korean J Food Sci 20(1):21-29 

  3. Chameber JV. 1979. Culture and processing techniques important to the manufacture of good quality yogurt. Cult Dairy Prod J 14(1):28-34 

  4. Cho JR, Kim JH, In MJ. 2007. Effect of garlic powder on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Korean J Soc Appl Bio Chem 50(1):48-52 

  5. Cho YS, Cha JY, Kwon OC, Ok M, Sin SR. 2003. Preparation of yogurt supplemented with sweet persimmon powder and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10(2):175-182 

  6. Choi HJ, Son JH, Woo HS, An BJ, Bae MJ, Choi C. 1998. Change of composition in the species of persimmon leaves (Diospyros kaki folium) during growth. Korean J Food Sci Technol 30(3):529-534 

  7. Davis JG. 1970. Laboratory control of yogurt. Dairy Ind. 36(2): 139 

  8. Han MJ, Lee YK. 1993. Development of yogurt containing pumpkin. J Food Hygiene 8(1):63-68 

  9. Harte F, Luedecke L, Swanson B, Barbosa-Canovas GV. 2003. Low-fat set yogurt made from milk subjected to combinations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and thermal processing. J Dairy Sci 86(4):1074-1082 

  10. Hepner G, Fried R, Jeor St, Fusetti L, Morin R. 1979. Hypercholesterolemia effect of yogurt and milk. Am J Clin Nutr 32(4):19-24 

  11. Hood SK, Zottola EA. 1998. Effect of low pH on the ability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to survive and adhere to human intestinal cells. J Food Sci 55(1):506-511 

  12. Jeremija LR, Kurmann JA. 1978. Yoghurt. Technical Dairy Publishing House, Copenhagen, Denmark. p 6 

  13. Jin HS, Kim JB, Lee KJ. 2001. Iso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or chestnut yogurt. Korean J Food Sci Nutr 14(1):211-216 

  14. Kim JI, Park SI. 1999. The effect of mugwort extract on the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J Food Hygiene 14(4):352-357 

  15. Kim MS, Ahn ES, Shin DH. 1993. Characteristic of yogurt containing puffed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25(3): 258-263 

  16. Ko YT, Kim HJ. 1990. Study on preparation of yogurt milk and soy prote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6):700-706 

  17. Kroger M, Weaver JC. 1973. Confusion about yogurt compositional and otherwise. J Milk Food Technol 36(4):388-394 

  18. Kroger M. 1976. Quality of yoghurt. J Dairy Sci 59(2):344-350 

  19. Lee HJ, Pak HO, Lee JM. 2006. Fermentation properties of yogurt added with rice bran. Korean J Food Cookery Sci 22(4): 488-494 

  20. Madigan MT, Martinko JM, Parker J. 1990.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10th ed. Prentice Hall, U.S.A pp 504-506 

  21. Moon KD, Kim JK, Kim JH. 1997. The compositions of fatty acid and amino acid and storage property in dried persimmon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 Products 4(1):1-10 

  22. Park HW, Koh HY, Park MH. 1989. Effect of packaging materials and methods on the storage quality of dried-persimm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2):321-325 

  23. Park YK, Kim HM, Kang YH. 2000. Phenolic composition in persimmon fruits and stabilization of discoloring compounds. Korean J Food and Nut 13(2):103-110 

  24. Robinson RK. 1981. Dairy microbiology II. Applied Science Publishers. U.K. p 113 

  25. Seong JH, Han JP. 1999. The qualitative differences of persimmon tannin and the natural removal of astringency.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1):66-70 

  26. Seong JH. 1994. Investigation on the condition of the removal of astringency during MA storage of astringent persimmon variety.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 Products 1(1):15-20 

  27. Shin YS, Lee KS, Lee JS, Lee CH. 1995. Preparation of yogurt added with aloe vera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Sci Nutr 24(2):254-261 

  28. Shin YS, Sung HJ, Kim DH, Lee KS. 1994. Preparation of yogurt added with potato and its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3):266-271 

  29. Taminme AY and Robinson RK. 1985. Yoghurt science and technology. Rerganon Press, Oxford 70(2):27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