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저면 광각 탄성파 탐사자료를 이용한 BSR 부근의 P파 속도 분석
P-wave Velocity Analysis Around the BSR Using Wide-angle Ocean-bottom Seismic Data 원문보기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v.12 no.2, 2009년, pp.173 - 182  

김병엽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연구본부) ,  변중무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지구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8년 4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동해 울릉분지 내에 있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유망지역을 대상으로 OBS를 이용하여 광각 탄성파 탐사를 실시하였다. 이 탐사는 광각 탄성파 자료를 통해 가스하이드레이트 부존 심도에서의 2차원 탄성파 속도 분포를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탐사지역의 층서구조와 기본 속도구조 도출을 위해 64채널 스트리머를 사용한 2차원 탄성파 반사법 탐사도 동시에 수행하였다. 취득한 광각 반사파 자료는 $\tau$-p 분석을 통해 각각의 OBS가 위치한 지점에서의 1차원 구간속도를 구하고 이렇게 구한 속도모델은 최종 속도 분포를 도출하기위해 사용된 탄성파 주시 역산법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빠른 수렴을 위한 초기 속도 모델로 활용하였다. 초기 층서 모델은 2차원 반사법 탐사에서 얻은 중합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고 최상위층에서부터 하위층으로 순차적으로 모델링 및 역산을 수행하는 layer stripping 방식으로 최종 속도 모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탐사지역의 가스하이드레이트 존재로 인한 BSR 위아래 층의 속도 역전현상 뿐만 아니라 컬럼/침니 구조에서의 속도가 주변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pril 2008, KIGAM carried out an ocean-bottom seismometer (OBS) survey in the central Ulleung Basin where strong bottom simulating reflectors (BSRs) were revealed from previous surveys and some gas-hydrate samples were retrieved by direct sampling.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estimate the 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해의 가스하이드레이트 유망지역 중 한 지점을 선택하여 64채널 스트리머를 이용한 2차원 반사파 자료와 OBS를 이용한 광각 해저면 반사파 자료를 취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BSR과 주변의 P파 속도분포를 도출하였다. 광각 OBS 탐사의 경우 이제까지 심부 지구조 연구를 위한 굴절법 탐사에 많이 활용되어왔으나 최근 세계적으로 가스하이드레이트 탐사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바, 울릉분지 내의 가스하이드레이트 유망지역에 대해 해저면 200 ~ 400 m 근처의 상대적으로 천부 반사파 취득을 목적으로 하여 탐사를 설계하였다. 2차원 반사법 탐사자료는 기본 전산처리를 통하여 중합단면도 도출에 사용되었고 셈블런스 속도분석을 함께 실시하여 층서 정보뿐만 아니라 기본 속도 정보를 얻게 해 주었다.
  • 모델링을 위한 층서 모델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BSR의 심도가 명확해야한다. 하지만 08GH-001 측선 상에는 침니/컬럼 구조나 강한 진폭 이벤트에 의해 일부 BSR이 보이지 않는 구간이 많으므로 이를 OBS자료의 분석을 통해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한다. Fig.

가설 설정

  • 모델의 속도구조는 τ −p 영역에서 그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1.5 km/s의 속도를 가진 해수층, 해저면에서 0.2 km까지는 1.8 km/s의 속도를 가진 0.2 km 두께의 고속도층(BSR 위), 그 아래에 0.2 km 두께의 1.4 km/s의 저속도층(free gas 층) 그리고 나머지 층은 2.0 km/s의 속도를 가진 0.6 km 두께의 층을 가정하였다(Fig. 8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8년 4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동해 울릉분지 내에 있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유망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OBS를 이용하여 광각 탄성파 탐사의 목적은? 2008년 4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동해 울릉분지 내에 있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유망지역을 대상으로 OBS를 이용하여 광각 탄성파 탐사를 실시하였다. 이 탐사는 광각 탄성파 자료를 통해 가스하이드레이트 부존 심도에서의 2차원 탄성파 속도 분포를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탐사지역의 층서구조와 기본 속도구조 도출을 위해 64채널 스트리머를 사용한 2차원 탄성파 반사법 탐사도 동시에 수행하였다. 취득한 광각 반사파 자료는 $\tau$-p 분석을 통해 각각의 OBS가 위치한 지점에서의 1차원 구간속도를 구하고 이렇게 구한 속도모델은 최종 속도 분포를 도출하기위해 사용된 탄성파 주시 역산법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빠른 수렴을 위한 초기 속도 모델로 활용하였다.
천연 가스하이드레이트은 어떠한 형태로, 주로 어디에 분포하는가? 천연 가스하이드레이트는 저온, 고압 환경에서 메탄과 같은 가스 분자가 물 분자와 결합하여 형성된 얼음과 같은 형태의 결정으로 낮은 온도 환경을 가진 영구동토층이나 고압·저온 환경의 심부 해저 퇴적층에 주로 분포한다(Sloan, 1998; Max et al., 2006).
가스하이드레이트 탐지에 있어서 탄성파 탐사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가스하이드레이트를 탐지하는 데 있어서 탄성파 탐사는 가스하이드레이트의 부존 여부, 공간적인 분포 그리고 물성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이면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는 1996년도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 기초연구를 수행한 이래 1997년부터 가스하이드레이트 탐지를 목적으로 한 해양물리탐사를 실시하였고 2000년에서 2004년까지 5년에 걸쳐 동해 울릉분지 전역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탄성파 탐사를 실시한 바 있다(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7;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길영, 유동근, 김원식, 이호영, 박근필, 2008, LWD/MWD를 이용한 동해 울릉분지 가스하이드레이트 탐사, 물리탐사, 11, 263-270 

  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7, 가스하이드레이트 지구물리탐사 연구 1단계 최종보고서 

  3. Bessonova, E. N., Fishman, V. M., Ryaboyi, V. Z. and Stinikova, G. A., 1794, The tau method for inversion of travel time-I. Deep seismic sounding data, Geophys. J. R. Astr. Soc., 36, 377-398 

  4. $B\ddot unz$ , S., Mienert, J., Vanneste, M. and Andreassen, K., 2005, Gas hydrate at the Storegga Slide: Constraints from an analysis of multicomponent, wide-angle seismic data, Geophysics, 70, B19-B34 

  5. Diebold, J. B. and Stoffa, P. L., 1981, The traveltime equation, tau-p mapping, and inversion of common midpoint data, Geophysics, 46, 238-254 

  6. Holbrook, W. S., Hoskins, H., Wood, W. T., Stephen, R. A., Lizarralde, D. and Party, L. S., 1996, Methane hydrate and free gas on Blake Ridge from vertical seismic profiling, Science, 273, 1840-1843 

  7. Iyer, H. M. and Hirahara, K., 1993, Seismic Tomography, Chapman & Hall, 733 

  8. Jaiswal, P., Zelt, C. A. and Pecher, I. A., 2006, Seismic charac-terization of a gas hydrate system in the Gulf of Mexico using wide-aperture data, Geophys. J. Int., 165, 108-120 

  9. Lee, H. Y., Park, K. P., Yoo, D. G., Koo, N. H., Kim, W. S., Kim, B. Y., Kang, D. H. and Kim, H. J., 2008, Geophysical activity of gas hydrate exploration in Korea,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as Hydrate (ICGH 2008) 

  10. Max, M. D., Johnson, A. H. and Dillon, W. P., 2006, Economic Geology of Natural Gas Hydrate, Springer, 45-46 

  11. Medwind, H. 1975, Speed of Sound In Water: A Simple Equation for Realistic Parameter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58, 1318-1319 

  12. Park, K. P., 2008, Gas hydrate exploration activities in Korea,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as Hydrate (ICGH 2008) 

  13. Petersen, C. J., Papenberg, C. and Klaeschen, D., 2007, Local seismic quantification of gas hydrates and BSR characterization from multi-frequency OBS data at northern Hydrate Ridge,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55, 414-431 

  14. Sheriff, R. E., 2002, Encyclopedic Dictionary of Applied Geo-physics, 4th Ed., Series Editor: Scherrer E. F., SEG 

  15. Shipley, T. H., Houston, M. H., Bufer, R. T., Shaub, F. J., McMillen, K. J., Ladd, J. W. and Worzel, J. L, 1979, Seismic evidence for widespread possible gas hydrate horizon continental slopes and rises, AAPG Bull., 63, 2204-2231 

  16. Sloan, E. D. JR., 1998, Physical/chemical properties of gas hydrates and application to world margin stability and climatic change, In: Henriet J. P. and Mienert J. (eds) Gas Hydrates: Relevance to World Margin Stability and Climate Change,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 137, 31 

  17. Spence, G. D., Minshull, T. A. and Fink, C., 1995, Seismic studies of methane gas hydrate, offshore Vancouver Island, Proceedings of the Ocean Drilling Program, Scientific Results, 146, 163-172 

  18. Tinivella, U. and Accaino, F., 2000, Compressional velocity structure and Poisson's ratio in marine sediments with gas hydrate and free gas by inversion of reflected and refracted seismic data(South Shetland Islands, Antarctica), Marine Geology, 164, 13-27 

  19. Tinivella, U., Lodolo, E., Camerlenghi, A. and Boehm, G., 1998, Seismic tomography study of a bottom simulating reflector off the South Shetland Islands (Antarctica), In:Henriet J. P. and Mienert J.(eds) Gas Hydrates: Relevance to World Margin Stability and Climate Change,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 137, 151 

  20. Yilmaz, O., 2001, Seismic data analysis: Processing, Inversion and Interpretation of Seismic Data: 2nd Ed., Society of Exploration Geophysicists, Tulsa 

  21. Zelt, C. A., 1999, Modelling strategies and model assessment for wide-angle seismic travetime data, Geophys. J. Int., 139, 183-204 

  22. Zelt, C. A. and Smith, R. B., 1992, Seismic traveltime inversion of 2-D crustal velocity structure, Geophys. J. Int., 108, 16-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