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소형 무인기 추진용 프로펠러의 전산해석 및 풍동시험
Numerical Analyses and Wind Tunnel Tests of a Propeller for the MAV Propulsion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38 no.10, 2010년, pp.955 - 965  

조이상 (한양대학교 기계공학부) ,  이세욱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기계공학과) ,  조진수 (한양대학교 기계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소형 무인기 추진용 MH-75 프로펠러는 자유와 설계기법을 이용하여 설계변수인 허브팁 비, 비틀림각 분포, 최대 캠버의 위치와 크기 그리고 시위 길이를 변화시키며 설계 요구조건을 만족하도록 공력설계 되었다. MH-75 프로펠러는 주파수영역 패널법을 이용하여 설계요구조건을 만족시키고, 다양한 초소형 무인기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정지추력 특성과 비행속도 및 회전수 변화에 따른 성능 특성을 예측하였다. 그리고 MH-75 프로펠러의 공력해석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펠러의 추력특성에 대한 풍동시험을 수행하였다. MH-75 프로펠러의 추력 성능은 설계요구조건을 만족하였으며, 저레이놀즈 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2차원 익형 해석용 XFOIL 프로그램에 비해 3차원 효과를 고려하는 주파수영역 패널법을 이용하는 것이 비교적 풍동시험 결과와의 오차가 적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H-75 propeller for the MAV propulsion is designed using a free vortex design method which considers design parameters such as the hub-tip ratio, the twist angle distribution, the maximum camber location and the chord length of the propeller blad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MH-75 prop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주파수 영역 패널법은 프로펠러 블레이드 면을 통과하는 유동이 없을 때의 하중 분포(블레이드면 윗면과 아랫면의 압력차)를 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하중분포를 계산하는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실제 캠버면에서의 경계조건을 이웃하는 헬리컬면(helical surface)에서의 경계 조건으로 변환시킨다.

가설 설정

  • MH-75 프로펠러 블레이드는 반경방향의 속도 분포의 설정이 용이하며, 블레이드의 설계와 익렬 배치가 간편한 자유와 설계기법(free vortex design method)[14]으로 설계되었다. 자유와 설계기법은 반경과 절대 속도의 원주방향 성분의 곱이 항상 일정하다는 가정으로, 퍼텐셜 유동에서의 자유와 유동(free vortex flow)과 같은 형태를 나타내며 식 (1)과 같이 표현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소형 비행체 추진용 MH-75 프로펠러의 공력설계, 공력해석 및 풍동실험의 결과는? 1) MH-75 프로펠러 설계시 허브비의 변화는 프로펠러의 추력과 효율 특성에 비교적 적은 영향을 나타내었다. 2) MH-75 프로펠러의 자유와 설계기법에 따른 이론적인 비틀림 각 분포는 허브 부분에서 블레이드 단면 추력계수가 음(-)의 값을 나타내는 유동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프로펠러 허브 부분에서의 피치각을 줄임으로써 받음각을 작게하여 실속이 발생하지 않도록 비틀림 각을 결정하였다. 3) MH-75 프로펠러는 단면 에어포일의 최대 캠버가 작을수록, 최대 캠버의 위치가 블레이드 전연보다 후연에 위치할수록 프로펠러 추진효율은 증가하였지만, 추력 성능이 낮게 예측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MH-75 프로펠러의 최대 시위 길이가 증가할 수록 전체적으로 프로펠러의 추력성능은 증가하지만 효율은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최대 시위 길이가 증가 할수록 추력의 증가와 동시에 블레이드 형상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5) MH-75 프로펠러의 공력해석 결과, 프로펠러 추력을 발생시키는 음(-)의 압력차가 허브 부분에서 팁 부분으로 갈수록 블레이드의 전연에서 더욱 크게 발생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프로펠러블레이드의 단면 추력은 블레이드 시위길이가 가장 큰 위치에서 발생하였다. 6) MH-75 프로펠러의 풍동시험결과와 전산해석 결과의 비교를 통해, 3차원 효과를 고려하는 주파수영역 패널법이 저레이놀즈 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2차원 익형 해석용 XFOIL 프로그램 보다는 정치 추력 및 전진 비행시의 추력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초소형 비행체에 사용되는 프로펠러로는 무엇을 사용하고 있는가? 초소형 비행체는 다양한 목적으로 전세계적으로 많은 대학 및 연구소 등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프로펠러는 주로 Union 사의 U-80 프로펠러와 같은 RC용 프로펠러를 사용하거나, 초소형 비행체의 추력, 동력, 및 효율 등의 요구 조건에 따라 RC용 프로펠러를 변형하여 사용하고 있다[3].
초소형 비행체가 차세대 민수용 및 군수용 장비로 각광받는 이유는? 최근에는 사람이 직접 육안으로 탐색이 힘든 지역에서 정찰, 교통 및 환경 감시에 활용이 가능한 초소형 비행체(Micro Air Vehicle, MAV)의 개발이 증대되고 있다[1]. 초소형 비행체는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에 비해 협소한 지역이나 도심 시가지를 저공 무인 정찰, 방사능 오염도 측정, 도심지 교통량 파악 및 대기오염 측정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차세대 민수용 및 군수용 장비로 각광을 받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Muller, T. J. and DeLaurier, J. D., "An Overview of Micro Air Vehicle Aerodynamics", Fixed and Flapping Wing Aerodynamics for Micro Air Vehicle Applications, Edited by Muller, T. J., Progress In Astronautics and Aeronautics, Vol. 195, 2001, AIAA, Inc. 

  2. 최원, "저레이놀즈수 영역의 초소형 비행체용 프로펠러 공기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세종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2. 

  3. 김종현, 황희철, 정대근, 윤광준, "초소형 비행체 개발을 위한 프로펠러의 실험적 연구", 제8회 항공기 개발기술 심포지엄 국방과학연구소, 2002. 

  4. Won, H. T., Nam, T. W., Lim, D. W., and Collins, K. B.,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Micro Air Vehicle Design Team Report for the 2004 MAV Competition", 8th International Micro Air Vehicle Competition conference, 2004. 

  5. http://www.nada.kth.se/~chris/pablo/pablo.html 

  6. Thompson, P., Ward, G., Kelman, B., and Null, W., "Design Report : Development of Surveillance, Endurance, and Ornithoptic Micro Air Vehicles", 8th International Micro Air Vehicle Competition conference, 2004. 

  7. http://www.mh-aerotools.de/airfoils/javaprop.html 

  8. 이기학, 김규홍, 이경태, 안존, "저레이놀즈수 영역의 초소형 비행체 프로펠러 설계 및 해석",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30권, 제5호, 2002, pp. 1-8. 

  9. Lee, K. H., Jeon, Y. H., Bae, E. S., and Lee, D. H., "Implementation of the Numerical Optimization for the Micro-Air Vehicle Propeller", 10th AIAA/ISSMO Multidisciplinary Analysis and Optimization Conference(AIAA 2004-4428), 2004. 

  10. Drela. M., "XFOIL: An Analysis and Design for Low Reynolds Number Airfoil", Low Reynolds Number Aerodynamics, Springer-Verlag, New York, 1989, pp. 1-12. 

  11. 이영빈, 김종암, 노오현, "SNU 초소형 비행체의 개발과 개선",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종합학술대회, 2004. 

  12. Williams, M. H., "An Unsteady Lifting Surface Theory for Single Rotation Propellers", Purdue University Report, 1985. 

  13. Cho, J., and Williams, M. H., "Counter Rotating Propeller Analysis Using Frequency Domain Panel Method", Journal of Propulsion and Power, Vol. 6, No. 4, 1990, pp. 426-434. 

  14. Horlock, J. H., Axial Flow Compressors, Robert E. Publishing Com, 19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