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물 성능디자인을 위한 미기후 기반 기상데이터의 기존 기상데이터와 비교를 통한 활용 가능성 연구
A study on Applicability through Comparison of Weather Data based on Micro-climate with existing Weather Data for Building Performative Design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1 no.6, 2011년, pp.101 - 108  

김언용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 ,  전한종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eather data has important role for performative building design. If the data location is close to building site, the result of performative design can be accurate. The data which have used nowadays in Korea are from U.S. Department of Energy (DOE) and Korea Solar Energy Society (KSES) but the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물성능디자인을 위한 환경 및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위해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국내의 모든 지역의 기상데이터를 제공하는 미기후기반 GBS VWS, Meteonorrm 기상데이터를 검토하기위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기상데이터인 DOE 와 학회의 기상데이터를 비교한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 제공되는 DOE 기상데이터가 인천, 강릉, 울산, 광주 4개 지역뿐인 관계로 4개 지역의 기상데이터만을 비교 검토 한다.
  • 하지만 이 기상데이터에 대한 검토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기상데이터와 기존의 기상데이터의 비교분석을 통한 결과를 제시하여, 건축 설계자에게 기상데이터선택을 위한 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이용가능한 미기후를 위한 기상데이터 및 방법은 무엇인가? 현재 국내에서 사용가능한 미기후를 위한 기상데이터로는 해외에서 개발된 데이터 및 방법이 있다. 현재 이용가능한 데이터 및 방법은 미국 Autodesk사의 GreenBuilding Studio6)(이하 GBS)의 Virtual Weather Station(이하 VWS)이라는 기상데이터 및 스위스의 Meteotest사의 Meteonorm7)을 이용하여 작성되는 기상데이터가 있다. 이 방법들은 기존의 기상데이터 구축방법인 TMY(Typical Meteorological Year)와 TRY(Test Reference Year)의 방법을 사용 하지 않고 새로운 방법을 사용 하여 미기후 기반의 기상데이터를 제공한다.
표준 기상데이터 산출방법에는 무엇이 사용되고 있는가? 건물성능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상데이터는 관측된 기상데이터를 통계적 처리를 이용하여 표준 기상데이터로 산출한 결과 이며, 이를 위한 산출방법으로는 TMY, TRY 등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비교대상으로 사용되는 기상데이터는, TMY, TRY, MM510), RUC(Rapid Update Cycle)를 이용하여 산출된 데이터이며, 각각의 방법은 계산을 위해 사용하는 필요관측기상데이터 기간의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기상데이터의 작설을 위해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기상데이터의 작성을 위해서 중요한 요소는 관측 기상데이터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기상데이터의 경우 학회의 기상데이터와 같이 국내에서 작성된 기상데이터의 경우는 기상청 관측소의 기상데이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해외에서 제작된 기상데이터들은 WMO(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에 등록된 국내 기상 관측소의 측정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송승영, 기후특성 분석 프로그램과 기후설계 프로세스, 설비저널, 대한설비공학회, 32(8), 2003.08 

  2. 유호천, 김경률, 노경환, 이지은, 표준기상데이터 형식 분석 및 프로그램 적용현황, 한국태양에너지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7. 11 

  3. 유호천, 대한민국 주요도시의 표준 기상데이터 작성, 한국태양에너지학회지, 8(1), 2009 

  4. 조민수, 권오경, 기상수치시뮬레이션을 위한 그리드포털 시스템 개발, 한국기상학회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2007.10 

  5. Autodesk, Autodesk Green Building Studio Questions and Answers, Autodesk, 2009 

  6. Autodesk, Autodesk Sustainable Design Curriculum 2010 Student Workbook, Autodesk, 2010 

  7.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Tips & Tricks for Using EnergyPlus, U.S. Department of Energy, 2010. 12 

  8. Stuart Malkin, Weather Data for Building Energy Analysis, Autodesk Green Building Studio White Paper, Autodesk,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