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건축을 위한 BIM기반 친환경건축 설계프로세스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Green Building Design Process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1 no.2, 2011년, pp.113 - 122  

김미경 (한양대학교 건축학과) ,  장원준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원) ,  최현아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  전한종 (한양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bout 30% of the total annual energy consumption on the earth is used in the architectural activities, including construction, maintenance management, and demonstration of a building. Also, 40% of the natural resource consumption, 50% of $CO_2$ emissions, and 20%~50% of industrial waste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건축물의 설계를 위해 건축가가 보다 적극적으로 친환경건축을 구현할 수 있도록 건축설계 초기단계에서부터 건물의 에너지성능을 객관적으로 예측하고 반영할 수 있도록 BIM기반 친환경건축 설계프로세스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이러한 특징은 설계 초반에서 친환경에 대한 고려를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초기설계에 지속가능 개발을 위한 프로세스를 통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 본 논문에서는 친환경건축물 구현을 목표로 BIM 적용을 위한 다양한 에너지성능분석도구에 대한 조사,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BIM기반 통합 설계프로세스의 진행 단계별 에너지분석 요소들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 제안한 BIM기반 친환경건축 설계프로세스를 적용한 시범 프로젝트를 통해 그 적용가능성을 검증해 보았다. 에너지성능분석과 관련된 누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실제 건물의 구축된 프로세스를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BIM기반 친환경건축 설계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실제 건축물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성능분석을 실시하여 BIM모델의 유효성과 신뢰성을 검증한 후 대안모델을 제시하여 BIM기반 친환경건축 설계프로세스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하도록 진행되었다.
  •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는 지속가능한 개발 철학을 건축분야에 접목하여 각종 개발행위가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사회구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구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건축분야의 환경 인증제도를 처음으로 도입한 나라는 영국으로서 1990년대 초반부터 이 제도를 연구 개발하여 현재 상당히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후 각 국의 평가모델 및 인증제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목적은 무엇인가?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는 지속가능한 개발 철학을 건축분야에 접목하여 각종 개발행위가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사회구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구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건축분야의 환경 인증제도를 처음으로 도입한 나라는 영국으로서 1990년대 초반부터 이 제도를 연구 개발하여 현재 상당히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후 각 국의 평가모델 및 인증제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BIM 기반 통합 설계프로세스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미국 건축가 협회 AIA(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는 설계 단계를 4단계로 나누어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에서도 설계과정을 기획설계(PD; Pre-Design) - 계획설계(SD; Schematic Design) - 기본설계(DD; Design Development) - 실시설계(CD; Construction Document) 4단계로 구분하고 있다.6) BIM 기반 통합 설계프로세스는 최근 AIA에서 제안하고 있는 개념설계(Co; Conceptualization)-예비설계 (Cd; Criteria Design) - 상세설계(Dd; Detailed Design) - 최종설계(Id; Implementation Documents)로 구분할 수 있다.7) 그림 1은 기존 설계프로세스와 BIM 통합 설계프로세스를 단계별로 비교한 그래프이다.
선진국에서 실시하는 친환경 에너지 인증제도의 예시로 무엇이 있는가? 특히 선진국에서는 미국의 LEED2), 영국의 BREEAM3), 일본의 CASBEE4) 등 환경과 에너지를 고려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를 실시하여 친환경건축물 축조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이석모, 친환경건축 통합설계 프로세스, Building Plus. no.251, 2009. 07 

  2. 이황, 친환경 건축설계 시뮬레이션, 문우당, 2009. 08 

  3. 파렌하이트 주거문화연구소. 친환경 건축물 기획시리즈 1탄 친환경 건축물이란, 2009. 07 

  4. 김민성, 정인영 역, Green BIM(BIM 을 통한 성공적인 지속가능 디자인), SPACETIME, 2010. 04 

  5. AIA California Council, A Working Definition Integrated Project Delivery Version 1-updated May 15, McGraw_Hill Construction, 2007. 

  6. Eastman Chuck, Teicholz Paul, Sacks Rafael, Liston, Kathleen, BIM Handbook, John Wiley & Sons Inc, 2007. 12 

  7. EDDY KRYGIGL, BRADLEY NIES, Green BIM, Wiley, 2008. 04 

  8. 김미경, 이현우, 전한종, 지속가능한 건축을 위한 BIM기반 건축 디자인 기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30권 제1호 통권 제 54집, 2010.10 

  9. 김석우, 그린 IT와 빌딩 에너지 효율, 한국 마이크로 소프트웨어 통권 309호, pp.126-133, 2009. 07 

  10. 김민성, BIM을 활용한 친환경디자인 기술지원 전력,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건축환경설비 3권 1호, pp10-18, 2009 

  11. 문현준, BIM을 활용한 친환경 건축 성능 분석 사례,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 통권 제480호, pp.57-61, 2009 

  12. 문현준, 박진우, 유승호, 최민석, 건축설계 프로세스를 고려한 BIM 기반 친환경 성능 분석 개선방안,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2008. 07 

  13. 송수원, 건물에너지 모니터링 및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신축건물의 에너지성능평가, 설비공학논문집 제20권 제3호, pp.155-166, 2008. 03 

  14. 이진희, 전한종, BIM기반 통합설계프로세스의 국내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6권 6호 통권65호, 2007. 12 

  15. 장원준, 전한종, BIM 기반 친환경 건축설계 프로세스 구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6. 정근주, 공동주택의 방위변화에 따른 냉 난방에너지 환경성능 비교,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제8권 2호, 2006. 

  17. 장원준, 김미경, 김승욱, 전한종, 지속가능 건축을 위한 BIM기반 건축 설계 프로세스에 관한 기초적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통권 제26호, pp.13-20, 2009. 06 

  18. 최현아, 지승열, 전한종, 환경 분석에 기반한 건축 설계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계 제28권 제1호 통권 52집, 2008. 10. 

  19. www.greenbuilding.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